행정안전위원회 강원모 의원입니다.
			
			이렇게 발언의 기회를 주신 의장님, 동료 의원 여러분 감사합니다.
			
			늦은 시간까지 의원님들 수고 많으십니다.
			
			저는 오늘 두 가지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먼저 방금 통과된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의견입니다.
			
			이번 추경이 긴급추경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의회도 원포인트 개회로 안건을 다루었고 여론도 굉장히 관심이 높습니다.
			
			그런데 오전부터 심사된, 다루었던 내용들을 살펴보면 과연 이것이 긴급안으로 다룰 만큼 시급한 내용이었는지 또 내용은 충실했는지 저는 약간 의문이 듭니다.
			
			꼭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과연 5회 정부재난지원금을 시가 매칭하는 수준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있었는지 그런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아시다시피 여론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정부안대로 88%를 지급하는 것에 더불어서 과연 인천시가 100%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가의 여부였습니다.
			
			그런데 결국 그러지 못했고 왜 관심을 가지고 있냐 하면 지금 인천시 세수가 상반기에만 5000억 이상이 더 걷혔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100% 지급을 못 한다는 것이 저는 조금 아쉽다는 말씀을 드리지만 많은 의원님들이 이 부분에 대해서는 토론을 통해서 88% 지급을 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다음의 문제인데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인천시 차원의 특별한 대책이 준비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입니다.
			
			시정부는 “88% 지급을 하는 대신 아랫부분을 더 두텁게 하겠다.” 얘기를 했지만 사실 내용을 보면 아랫부분을 두텁게 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재난지원금을 700억 더 증액하는 외에 특별한 것이 뭐가 있습니까. 결국 700억 예산을 주면 필요할 때 사용하겠다는 것 아닙니까.
			
			그것 너무 한가한 얘기 아니겠습니까? 지금 의원님들 지역구 가서 상가들 한번 살펴보십시오. 폐업을 갖다가, 문을 닫고 임대하겠다는 상가들이 지금 속출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지급한다는 것 나중에 안을 낼 필요가, 지금 그런 상황이 아닌 거죠. 지금 당장이 급한 겁니다.
			
			언제 하겠다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물에 빠진 사람한테 지금 당장 살려내야 되는 거지 나중에 살려줄게 하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이번에 풀경비로 700억 예산을 갖다가 세웠는데 그 부분 하여간 신속하게 집행을 해서 조금이라도 희망을 주고 인천시가 이런 부분에서 먼저 치고 나가는 그런 모습을 꼭 봤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으로 이번에 안건으로 다룰 청라연장선 동의안에 대해 꼭 말씀드리고 싶은 게 있어서 나왔습니다.
			
			한마디로 이건 서울시 몽니며 인천시민의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일입니다. 저는 그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동의안의 핵심은 연장선 차량기지 건설에 사용되는 400억원에 대해 인천시가, 시의회가 동의를 하라는 얘기인데 도대체 무슨 근거로 의회의 동의를 요구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모든 인천시민이 요구하고 있고 인천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청라연장선 사업입니다.
			
			우리가 부담해야 될 규모가 4000억, 4조가 아니고 400억입니다. 이걸 인천시가 부담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반대할 이유가 없죠.
			
			그런데 왜 이걸 서울시가 인천시의회 지급보증을 요구하는 겁니까.
			
			제안설명에 보면 서울시는 예산 외의 의무부담사항이기 때문에 요청한다고 하는데 400억 예산 외의 어떠한 의무부담사항이 생긴다는 것인지 설명이 없습니다.
			
			백 번 천 번 양보해서 그렇다 쳐도 그러면 서울시의회의 동의를 받아야지 왜 인천시의회에서 동의를 받습니까. 한마디로 억지 논리를 만드는 거죠.
			
			잇몸이 없으면 이가 시린 법입니다. 서울시와 인천시는 같이 붙어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서로 협조하고 양보해야 될 사항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청라연장선이 완공되면 인천시민만 일방적으로 수혜를 받습니까? 서울시민은 이용 안 합니까? 청라에 살고 있는 아들, 딸, 며느리 보러 서울시민이 이용 안 할 겁니까?
			
			서울시 오세훈 시장이 10년 전에 어린이들한테 공짜 점심 못 먹이겠다고 시장직 사퇴했습니다.
			
			이번에는 인천시민의 자존심을 긁어놔야만 사업에 동의하겠다고 지금 어깃장을 놓고 있는 것입니다.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언젠가 이런 행동이 열 배 백 배로 되돌아갈 날이 있을 겁니다.
			
			순조로운 사업을 위해서 동의는 불가피하겠지만 서울시의 부당함을 반드시 지적하여야 합니다.
			
			이 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다시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며 만에 하나 또다시 이런 몽니를 부린다면 저희 인천시의회, 인천시도 절대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되겠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서 이 자리에 나왔습니다.
			
			발언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