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이런 자리를 마련해 주신 위원장님과 위원님들한테 감사드리겠습니다.
구청이 2022년부터 연번동의서를 징구했다고 주장하는데 저희가 실질적으로 연번동의서에 관한 사항을 최초로 인식하고 들은 시기가 2025년 2월 27일이었습니다.
지금 행정이 주민의 권리보다 구청의 형식논리에 더 무게를 둔 사항이라고 생각하고요.
그다음에 저희는 2018년도에도 한 번 무산된 경험이 있습니다.
그 무산된 이유가 당시에 행정을 처리하던 분의 결재로 이루어진 부분이 있고 또 하나, 지역상인의 자기 이권 때문에 반대로 인해서 무산된 경험이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2025년 들어와 가지고 저희가 물론 내부에서 혼란이 있었던 건 사실입니다. 저희 단체가 저희만 유지된 게 아니고 또 다른 단체도 저희하고 경합적으로 진행해 왔는데 지난 3월 18일 날 미추홀구 재생과에서 양 팀이 서로 동의서를 합쳐 가지고 미추2구역 재개발에 힘을 쓰자라고 합의가 됐습니다.
그래서 합의된 사항을 저희가 숫자적으로 교환해 가지고 확인해 보니까 도정법 66.7%보다 훨씬 능가한 75%를 저희가 달성했습니다.
제가 지금 말씀드리고 싶은 사항은 이번 구청에서 지금 국장님도 말씀하시고 위원장님도 말씀하셨지만 시와 구의 어떤 상호 연관 가능성이나 지침사항에 있어서 혼란이 왔다 치더라도 지금 75% 동의율을 무산시키는 건 타당치 않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연번동의서 강제 지침의 위법성 검토에 대한 사항을 좀 시정 부탁드리겠습니다.
두 번째, 법정 기준이 충족된 동의서를 구역지정 절차에 정상적 진행 보장을 요청드리겠습니다.
세 번째, 정치적 이해관계와 무관하게 주민 권리가 우선 보호돼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행정이 아니고 주민의 뜻과 법률이 기준돼야 한다고 저는 생각하고 저희 미추2구역 주민들은 이런 행정의 희생양이 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미추2구역 주민 대표로서 말씀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