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본부장 김진태입니다.
배부해 드린 책자를 중심으로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쪽부터 17쪽까지의 일반현황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1쪽 주요예산사업 현황입니다.
올해 주요예산사업은 총 27개 사업에 3220억 1400만원이 편성되어 있으며 5월 1일 기준으로 1729억 3300만원을 집행하여 집행률은 53.7%입니다.
사업별로 추진상황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경제정책과 소관 사항 4건입니다.
29쪽 지역 주력 산업의 빈 일자리 구인난 해소입니다.
인천 주력 산업의 구인난 해소를 통해 고용 안정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비 공모 사업으로 신규 고용 창출 1650명, 재직자 725명의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80억 중 78.1%인 62억 48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30쪽 시, 군ㆍ구 상생 일자리 지원입니다.
10개 군ㆍ구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하여 각 지역 여건과 특성에 맞춘 26개 사업을 선정ㆍ지원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32억 8000만원 중 97.7%인 32억 3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31쪽 지역 수요 맞춤형 인력 양성 및 취업 지원입니다.
구인ㆍ구직 수요에 따라 직업 훈련 과정을 운영하고 채용박람회를 개최하여 고용을 촉진하는 사업입니다.
118개 훈련과정에서 2699명 수료를 목표로 하며 채용박람회는 총 5회 개최 예정입니다.
총 예산 9억 1800만원 중 59%인 5억 42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32쪽 착한가격업소 활성화 지원입니다.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는 착한가격업소를 대상으로 맞춤형 물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 예산 4억 600만원 중 69.5%인 2억 82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이어서 소상공인정책과 소관 5건입니다.
35쪽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및 사회안전망 구축입니다.
소상공인이 경제위기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종합 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53억 7400만원 중 66.4%인 35억 7100만원을 집행했으며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개설을 위한 시설 개보수 예산 7억 5400만원은 올해 하반기 집행할 예정입니다.
37쪽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통한 민생경제 회복입니다.
담보력이 부족한 소상공인 대상으로 저금리 자금 대출과 이자를 지원하는 특례보증, 노란우산 가입장려금 지원, 소상공인 시장진흥자금 융자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298억 1300만원 중 38.7%인 115억 45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39쪽 활력 넘치는 전통시장 조성입니다.
인천시 관내 51개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시설 개선, 특성화, 경영 현대화 등 3개 분야 22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은 128억 600만원 중 76.3%인 97억 71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41쪽 지하도상가 운영 정상화 및 활성화입니다.
총 15개 상가 3427개 점포를 대상으로 침체된 지하도상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후설비 개선 및 관리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총 예산 117억 1900만원 중 59.8%인 70억 4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43쪽 소공업 사업장 집적화ㆍ고도화 용역입니다.
인천 소재 소공업 사업장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집적화ㆍ고도화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한 용역으로 총 예산 2억원은 용역 진행률에 따라 올해 하반기 집행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사회적경제과 소관 5건입니다.
45쪽 지속 가능한 사회적경제 자생력 강화입니다.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운영, 사회적경제기업 경영 안정 지원, 지속가능 공정무역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17억 9900만원 중 67.9%인 12억 21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48쪽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및 성장 지원입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인천형 예비 사회적기업 11개, 마을기업 4개, 협동조합 16개를 신규 지정하였습니다.
총 예산 5억 2800만원 중 45.5%인 2억 40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51쪽 상생유통지원센터 운영을 통한 판로 지원 확대입니다.
온ㆍ오프라인 유통 채널 확대 및 공공기관 우선 구매 지원을 통해 관내 사회적기업의 자립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4억 중 54.3%인 2억 17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53쪽 취업 취약계층 생계안정 도모입니다.
공공근로사업과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을 통해 취업 취약계층의 생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36억 6300만원 중 84.6%인 31억원을 집행했습니다.
55쪽 인천사랑상품권 운영 활성화입니다.
소상공인 매출 증대와 소비 진작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상품권 플랫폼 기능 강화를 통해 시민 이용 편의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1054억 중 39.1%인 412억 15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다음은 노동정책과 소관 4건입니다.
59쪽 가좌 근로자복합문화센터 건립입니다.
2025년 10월 개관을 목표로 현재 내부 인테리어 설계를 완료한 상황이며 9월까지 인테리어 공사를 마무리하고 10월부터 시민과 근로자를 위한 복지공간으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총 예산 53억 600만원 중 49.5%인 26억 28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60쪽 노동환경 실태조사 용역 추진입니다.
노동환경 분석과 노동 실태조사 용역을 추진 중이며 10월 중 용역 완료 후 제2차 노동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총 예산 6000만원은 하반기 전액 집행할 예정입니다.
61쪽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설치 운영 타당성조사 용역입니다.
중소 사업장의 작업복 사용 실태 및 장래 수요를 분석하여 작업복 세탁소 설치ㆍ운영의 최적 방안을 도출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용역으로 총 예산 3300만원은 하반기 전액 집행할 예정입니다.
62쪽 관내 소규모 사업장 산업재해 예방 지원입니다.
관내 고위험ㆍ안전취약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험성 평가, 작업환경 측정, 방어장치 및 휴게시설 개선 지원을 통해 산업 재해를 예방하고 노동자의 안전보건을 증진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2억 중 11%인 22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다음은 농축산과 소관 7건입니다.
67쪽 미래 전문 농업인 육성 및 농촌 삶의 질 향상입니다.
청년 인재의 농업 진출을 촉진하고 농촌지역에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86억 4600만원 중 53.1%인 45억 92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69쪽 농산물 유통 활성화입니다.
학교 급식 지원과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을 추진 중이며 총 예산 906억 3900만원 중 67.5%인 611억 48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72쪽 고품질ㆍ고부가가치 농식품 산업 육성입니다.
인천 농식품 수출 활성화와 농촌 융복합 산업 육성, 친환경농업 생산기반 확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35억 2900만원 중 93.1%인 32억 84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74쪽 안정적인 도ㆍ농 생산 기반시설 확충입니다.
도시농업 기반 확충과 농업생산 기반 시설 개선을 통해 시민의 도시농업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안정적인 영농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총 예산 211억 9900만원 중 42.9%인 90억 98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77쪽 지속가능한 축산업 육성입니다.
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환경 친화적 축산업 육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 예산 12억 2400만원 전액을 집행했습니다.
79쪽 가축 전염병 예방 강화입니다.
조류 인플루엔자, 아프리카 돼지열병, 럼피스킨 등 재난형 가축 전염병 예방을 위한 사업으로 총 예산 10억 400만원 중 66.7%인 6억 70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81쪽 사람과 동물이 함께하는 행복도시 조성입니다.
유기동물 보호 강화와 반려동물 문화 정착을 위한 인식 개선 사업으로 총 예산 37억 1600만원 중 26.3%인 9억 79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다음은 남촌농수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소관입니다.
87쪽 안전하고 효율적인 도매시장 운영 관리입니다.
도매시장의 이용객 편의 제공 및 활성화를 위해 시설물 보수ㆍ보강을 추진하는 사업으로 총 예산 6억 1800만원 중 5.3%인 33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삼산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소관입니다.
89쪽 안전하고 쾌적한 도매시장 관리 운영입니다.
도매시장 시설 관리 및 점검을 통해 이용 시민의 편익과 안전 확보를 추진하는 사업으로 총 예산 11억 1600만원 중 98.2%인 10억 96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이상으로 경제산업본부 소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보 고)
ㆍ2025년도 경제산업본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