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입니다.
인천광역시교육청 소관 2017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에 대한 검토결과를 보고 드리겠습니다.
위원님들께서는 배부해 드린 검토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고서 2쪽부터 13쪽까지 주요 내용에 대해서는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보고서 14쪽 결산 총괄입니다.
2017회계연도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비특별회계 최종예산액은 3조 6759억원으로 전년도 이월액 2563억원을 포함하여 예산현액은 3조 9322억원이며 세입 결산액은 3조 9002억원, 세출 결산액은 3조 4335억원으로 세계잉여금은 4667억원입니다.
최근 5년간 세입ㆍ세출 결산액은 계속 증가 추세이며 세입 결산액은 전년 대비 12.6%인 4375억원, 세출 결산액은 전년 대비 10.9%인 3380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보고서 15쪽 주요 세입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세입 총 징수결정은 3조 9060억원으로 3조 9002억원을 수납하였고, 불납결손액은 1억 900만원, 미수납액은 56억원이 발생하였습니다.
세입 결산액 3조 9002억원과 예산현액 3조 9322억원의 차액 319억원은 특별교부금 및 법정ㆍ비법정 이전수입 등 134억원 추가 수입과 도화지구 토지매입대금 등 자체수입 453억원의 결손액의 발생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보고서 21쪽 주요 세출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2017회계연도 세출결산 규모를 보면 예산현액은 3조 9322억원, 세출 결산액은 3조 4335억원으로 예산현액 대비 87.4%가 집행되었고, 전년도 집행률 89.8%보다 2.4%가 감소되었으며 3359억원이 이월되었으며 1627억원은 불용되었습니다.
전년도 이월액 2563억원보다 31%인 795억원이 증가한 3359억원이 2018년도로 이월되었습니다.
예비비지출은 학교시설 교육환경개선비 등 총 3건의 사업에 71억원을 지출하여 전년도 예비비 지출액 1억 4200만원 대비 404%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17쪽 세부 검토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부분의 주요사항입니다.
세입재원별로는 이전수입 87.3%, 자체수입 2.6%, 지방교육채 0.7%, 기타수입 9.4%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7년부터 누리과정에 소요되는 예산이 특별회계 전입금으로 지원되는 등 이전수입은 전년 대비 3601억원이 증가하였고, 자체수입은 이자수입 증대 노력으로 전년 대비 25억원인 37%가 증가하였으나 학생 수 감소로 인한 교육수입이 37억원이 감소하였고, 부지 매각대금 등 42억원의 미납액이 발생하여 전년 대비 54억원이 감소하였습니다.
지방교육재정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추가적인 사업비 소요가 예상되므로 안정적인 예산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보고서 18쪽 불납결손액 관련입니다.
불납결손액은 1억 900만원으로 전년도 2억 200만원보다 9300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주요 발생 사유는 시효완성, 퇴학, 자퇴 등의 사유로 불납결손 처리되었습니다.
향후 원인 분석을 통해 수업료 결손액을 최소화하고 적극적인 징수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보고서 19쪽 미수납액 관련입니다.
2017년도 세입금의 미수납액은 총 56억원으로 자산임대수입 300만원, 과목별로는 기본적 교육수입 3억원, 자산임대수입 300만원, 자산매각대 42억원 등 전년도 미수납액의 14억원보다 42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미수납액 사유는 납부자 태만 46억원, 채무자 재력부족 8억 9000만원 등으로 미수납액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계속해서 세출부분 주요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보고서 21쪽 정책사업별 결산내역입니다.
세출 결산액 3조 4335억원은 전년 대비 3380억원이 증가하였고 정책사업별로는 인적자원운용에서 1조 8868억원을 집행하여 비중이 제일 높으며 교육복지지원 사업은 전년보다 52억원이 감소하였고, 보건ㆍ급식ㆍ체육활동은 549억원이 증가하였는바 이는 중학교 무상급식 사업이 전면 실시되면서 정책사업간 예산편성이 변경됨에 따라 각각 증감되었습니다.
지방채상환 등의 세출 결산액은 1279억원으로 지방교육채 668억원을 상환하여 전년 대비 지출액이 585억원이 증가되었습니다.
교육청이 발행한 지방교육채의 상환 재원부담 주체는 교육부이며 이번 지방채상환으로 재정 건전성을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별다른 이견이 없습니다.
보고서 23쪽 불용액 관련입니다.
2017년도 불용액은 예산현액 4.1%인 1627억원으로 전년도 불용액 981억원보다 645억원이 증가하였으며 원인별 내역은 지급사유 미발생이 669억원, 집행 잔액 502억원, 계획변경 및 취소 457억원이며, 지급사유 미발생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바 이는 연도말 세입규모 증가에 따른 사업추진 기간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본예산 이후 추경 증액이 반영된 사업 중 불용액이 발생한 사업은 총 244건 603억원이며, 불용액 3억원 이상 사업은 총 23건에 915억원이, 일시차입금관리 및 시설사업관리 2건은 총 3400만원이 전액 불용되었습니다.
따라서 관행적으로 과다 예산을 편성하는 것을 지양하고 적정하게 편성ㆍ집행하여 불용액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예산편성 시부터 면밀한 계획을 수립하고 산출기초도 현실화하여 예산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보고서 24쪽 이월액 관련입니다.
당해 연도에 집행을 완료하지 못하고 다음 연도로 이월한 사업비는 3359억원으로 795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명시이월액은 191개의 사업에 1800억원으로 특히 창영초의 내진보강은 문화재 심의로 공사가 중지되었고 당산초의 학교 증축은 위치 선정의 문제로 이월된 사항입니다.
따라서 시설사업의 경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므로 최소한의 사업기간 확보를 위해 본예산에 편성하거나 공정별로 예산을 편성하여 연내에 집행을 완료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
보고서 28쪽 예산의 전용입니다.
예산의 전용은 총 18건 34억원이 전용되어 전년 대비 669%인 30억원이 증가되었습니다.
예산의 전용은 사안계획 변경, 예산과목 변경 등의 사유로 변경되었으며 예산 회계 독립의 원칙을 준수하여 신중하게 처리해야 할 것입니다.
보고서 30쪽 학교시설교육환경개선 관련입니다.
2016년 재정상황 호전에 따라 2, 3차 추경예산을 편성하면서 학교시설 교육환경 개선사업으로 824억원을 증액ㆍ편성하고 동계방학에 공사를 추진하면서 1038억을 명시이월하고, 낙찰차액 및 준공정산 잔액으로 148억원이 불용되었으며 또한 명시이월사업 중 152억원은 사고이월 처리되었습니다.
이월액은 결산 시 불용액으로 처리되어 예산의 효율적 집행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시설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이월액을 최소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보고서 32쪽 성인지 결산입니다.
성인지 사업은 양성평등의식과 문화의 확산을 주된 목표로 29개 사업으로 1112억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성인지 결산 현황을 보면 교육부 지정사업의 집행률 57.8%로 다른 사업에 비해 현저히 낮은 달성률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다문화 등 자녀교육지원 사업 실적이 0%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보고서 33쪽 성과보고서 결산입니다.
인천시교육청은 111개의 성과목표 지표를 정하여 1년간 사업추진 결과 목표 초과달성 6건, 미달성 13건의 성과를 냈습니다.
성과목표 미달성 내역 중 사업에 대한 시ㆍ도교육청 평가 역량 강화 및 교육지원청 평가 주요업무 연계 비율의 성과지표 달성률 69.6%로 가장 낮은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며 향후 적정한 성과목표를 설정하여 운영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보고서 35쪽입니다.
금번 2017회계연도 결산 검토를 통해 인천시교육청의 재정 상태를 보면 재정자립도 2.6%로 매우 낮은데 이는 재원의 대부분을 중앙정부의 교부금과 지방자치단체 전입금 등으로 의존재원의 비중이 높아 자율성이 낮고 불확실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총자산은 5조 714억원, 총 부채는 9324억원으로 부채비율은 18.4%로 재정 안정성은 높은 수치입니다.
다만 2017회계연도의 이월액 795억원, 불용액 1627억원, 예산전용 349억원 등 많은 규모의 예산이 적정하게 집행되지 못했으므로 다음연도 예산 편성 시 사업계획이나 전망 등을 면밀히 분석하고 예측하여 최초 계획한 목적과 내용이 집행될 수 있도록 특히 시설사업으로 인한 이월 및 불용이 많은 것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적극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따라서 이번 결산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여 2019년 본예산 편성 시 개선사항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17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시교육청)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