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국장 최강환입니다.
인천도시철도1호선 검단연장선 도시철도기본계획 변경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드릴 순서는 제안사유, 그동안 추진사항, 기본계획변경안, 공청회 개최 결과, 관계기관 협의, 향후 추진계획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제안사유입니다.
인천1호선 검단연장선의 도시철도기본계획을 변경하고자 계획안을 마련하였고 도시철도법 제6조 및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및 노선별 도시철도기본계획 수립 지침에 따라 의회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동안 추진사항입니다.
검단신도시개발계획에 따른 광역교통개선대책이 2009년 12월 확정되었고 2011년 1월 도시철도기본계획이 고시된 바 있으나 2013년 5월 검단2지구 계획이 취소됨에 따라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변경하여 금년 2월에 확정되었습니다.
따라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반영한 도시철도기본계획 변경 수립을 위해 지난 1월 국토교통부 사전협의를 거쳐 3월에 공청회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2쪽 도시철도기본계획 변경안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추진배경입니다.
검단신도시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신규 교통수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인천1호선을 검단신도시까지 연결하는 사업으로 사업구간은 현재 인천1호선 계양역에서 경인아라뱃길을 횡단하여 검단신도시까지 연결하는 직결노선으로 총사업비는 6,427억원, 연장은 6.9㎞, 정거장 2개소를 건설하여 2024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변경내용은 당초 노선연장 10.9㎞에서 6.9㎞로 정거장 5개 역에서 2개 역으로, 사업비는 1조 3,332억원에서 6,427억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다음은 3쪽 교통수요분석입니다.
교통수요는 개통연도인 2024년을 기준으로 송도랜드마크시티역에서 102역까지 1일 약 36만명을 수송하고 계양역에서 102역까지는 약 1만 8,000명을 수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다음은 4쪽 사업비 분담계획은 총사업비 6,427억원 중 5,550억원에 대해서는 LH와 도시공사가 5,000억원, 인천시가 550억원을 분담하며 나머지 877억원에 대해서는 검단신도시 사업시행자가 별도협의하여 분담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열차운영 계획입니다.
인천1호선의 총 운행거리는 편도 36.8㎞로 차량은 31편성으로 첨두 시 4.5분, 비첨두 시 8.5분으로 운행토록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경제성 검토결과입니다.
교통시설투자평가지침에 따라 개통 후 40년까지 분석하였으며 B/C가 1.01로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다음은 5쪽 공청회 개최 결과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총 20건의 의견이 있었으며 주요의견으로는 원당역 추가 설치와 정거장 출입구 위치 조정, 사업기간 단축을 요구하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원당역 추가 설치는 소요사업비는 약 850억원에 대한 재원확보 방안과 검단신도시 토지이용계획 및 광역교통개선대책 변경이 선행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검단신도시 조성 총괄부서에서 사업시행자와 현재 협의 중에 있음을 보고드립니다.
정거장 출입구 위치 조정은 향후 기본 및 실시설계 시 좀 더 세부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며 사업기간 단축은 2024년을 개통목표로 각종 행정절차를 병행 추진하고 기본 및 실시설계 기간을 단축하는 등 최대한 단축하여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다음은 8쪽 관계기관 협의는 국토교통부 등 11개 기관과 협의한 사항으로 자세한 내용은 유인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11쪽 향후 추진계획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7월 중 국토교통부에 승인신청을 하면 국토교통부에서는 관계 행정기관과 협의를 거쳐 12월 중 승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후 내년 상반기에 투자심사를 완료하고 2023년 말 개통될 수 있도록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도시철도기본계획 변경안에 대해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