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니까 이런 상황이 돌발되는 거잖아요.
오전에 제가 말씀드렸지만 부교육감님, 인천교육청의 조직을 확대하는 거나 조직을 개편할 때는 부교육감님 참고적으로 알아두어야 될 부분이 있어요.
오전에 제가 말씀드린 것 다시 한번 리바이벌하면 인천광역시가 2030계획에는 상당한 주택사업 승인을 해줄 때 특히 북부권 서구에 북부권이라고 하면 제 지역구가 해당이 될 건데요. 헥타르 당 200인을 줬어요, 주택승인해 줄 때.
그런데 지금 2040 판을 짜면서 150에서 100으로 낮추었어요, 낮추고 있어요. 그게 용역결과예요.
행자부에서 또 환경부에서 환경영향평가를 할 때 그러면 어떤 현상이 생기느냐 하면 지금 서구 쪽에 검단신도시나 한들부락이나 제3지구, 5지구 그 다음에 대곡동, 2지구, 2-1, 2-2 이런 것들이 민자개발 하는 것이 우후죽순으로 굉장히 지금 10년째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걸 다 승인을 해주면 도심과 도심 간에, 검단신도시를 분석을 하니까 분석이 거의 70%는 외부에서 와야 되는데 서울이나 경기도에서 와야 되는데 그렇지 않다는 결론이 나요, 거꾸로 되는. 내부에서 70%가 왔다 갔다 하고 있다. 외부에서 온 것은 30%밖에 안 된다.
그럼으로 지금 동인천이나 이런 데가 거의 폐허되다시피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신도시 쪽으로 인천에서 인천으로 몰려가는 거예요. 그럼 구도심과 신도시 간에 균형발전을 이룰 수가 없어요.
그래서 행자부에서는 지금 2040계획에 인구, 주택승인을 낮춰라 200에서 150 그것도 2040판을 짜봐야, 짤 때까지 주택승인 허가를 보류시키겠다.
이건 뭔 얘기냐 하면 우리가 2025년까지는 인천 인구가 급상승합니다. ’25년부터 하향곡선을 간다고 그래요. 그 하향곡선 그러니까 우리가 조직개편에 지금 인구에 비례해서 판을 자꾸 키우면 나중에 ’25년 이후에 하향곡선 그려졌을 때 그때 가서는 비대한 조직이 또 축소시켜야 되거나 감소시켜야 되는 현상이 올 것이다.
이런 것까지 미래를 지향적으로 놓고 판을 짜야 된다. 이걸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거예요. 그걸 참고를 잘 하셔야죠.
그래서 그런 정보나 정책에 대해서는 인천시 2040계획을 판을 짜는데 있어서도 우리 교육청이 같이 정책적으로 활용하고 그런 걸 대비해야 된다 이런 얘기를 하는 겁니다.
2025년부터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하면 교육청의 어떤 시나 교육청의 어떤 비대한 공무원, 교직 공무원의 비대한 그것을 어떻게 감당할 것이냐? 이것도 하나의 고민 아니겠어요.
그래서 그런 것까지 우리가 지금 생각하고 이 판을 짜고 고민하느냐? 중대한 문제죠.
결국은 물론 연세가 되셔서 퇴직하시는 분들도 있어서 있기는 하겠지만 그 안에라도 인구가 자꾸 축소돼 가지고 줄어들게 되면 있는 사람들 먼저 정리해고 해야 된다든지 권고사직을 해야 된다든지 어떤 이런 사태에 돌발되면 그것도 하나의 사회적인 문제가 되는 거잖아요, 우리 교육청의 문제가 되고요.
그래서 그런 것을 참고를 하시고, 저는 이런 부분에 대해서 늘 제가 전반기 때도 말씀드렸지만 중대한 사항들은 사전 우리 위원님들한테 좀 더 다가서서 서로 의견조율을 하고 이런 부분에 대해서 상의를 하면 서로간에 의견조율도 하고 또 위원님들도 이것에 대한 사전 의견제시도 하고 이런 소통이 필요하다. 그 소통 부재가 오늘날의 이 날이 오지 않았나 이렇게 생각합니다.
부교육감님, 그런 부분에 대해서 우리 위원님들이 부교육감님을 찾지 않으면 부교육감님 뵐 수가 없죠.
그런 것도 하나의 문제일 수도 있고 그래서 부교육감님이 물론 교육감님 역할도 있고 부교육감님 역할 있고 국장님들의 역할이 있겠죠. 그런데 그런 것을 우리 위원님들하고 잘 소통했으면 좋겠다 이걸 주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