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2019년도 도시재생건설국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예산안 총규모입니다.
세입예산은 418억 5554만 3000원으로 금년 대비 93억 9918만 4000원이 증액됐습니다.
세출예산은 1626억 8382만 9000원으로 금년 대비 478억 9146만 6000원이 증액됐습니다.
세입예산 세부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22쪽 도로과입니다.
도로점용료는 120억원, 자치단체 간 부담금 수입은 23억 8945만원입니다.
일반부담금은 100억 6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도로무단점용에 대한 변상금은 1억 5000만원, 도로점용료에 대한 지난연도 수입으로 2억원을 편성했습니다.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은 4개 사업 166억 4400만원입니다.
123쪽 건설심사과는 4억 1209만 3000원입니다.
공유재산 사용료 3억 709만 3000원, 공유재산 무단점용 변상금 4000만원, 건설산업기본법, 건설기술진흥법 위반과태료 3500만원, 지난연도 수입은 3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 세부내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908쪽 재생정책과는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및 위원회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등 1억 849만 9000원을 편성했습니다.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145억 5692만 5000원을 편성했습니다.
910쪽 재생콘텐츠과 세출은 87억 6440만원으로 행정운영경비 등 2940만원,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 87억 35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예산안 911쪽 주거재생과입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지원을 위한 일반운영비 등으로 2304만원을 편성했고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금 전출금으로 156억 5000만원을 편성했으며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34억원을 편성했습니다.
913쪽부터 923쪽 도로과 세출은 1128억 9143만 4000원입니다.
국지도84호선(길상~선원) 도로개설공사 128억 600만원, 국지도98호선(도계~마전) 도로개설공사는 62억 86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강화북단 대산~당산 간 도로개설사업은 70억원, 신흥동 삼익아파트~동국제강 간 도로개설은 2억 5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915쪽 영종~신도 간 도로건설은 건설공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하여 5억원을 편성했습니다.
매소홀로(구월보금자리) 도로개설은 인천도시공사와 사업비 분담협약에 의해 우리 시가 공사비를 납부하는 것으로 마지막 분담금 43억 7338만 2000원이며 소래로 및 소래대교 확장사업은 23억원을 편성했습니다.
군ㆍ구 도로개설 지원은 1398쪽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을 포함해 2개 사업 22억 5000만원이며 인천 서구 거첨도~약암리 간 도로개설 72억 8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916쪽 청라지구~북항 간 도로개설은 50억원이며 친환경 고효율 도로조명 정비사업 9억 9500만원, 도로조명시설 유지관리 15억원, 골목길 불 밝혀서 안전한 거리 만들기 8억원을 편성했습니다.
917쪽 도로시설물 정비 30억원, 도로표지판 정비 5억원, 드림로 유지보수 2억 8110만원, 보도정비사업 10억원, 105호 고가교 단속카메라 운영 396만원, 미추홀대로 소음저감사업 4억 37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민자터널운영 재정지원 185억 2200만원,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119억 4725만원, 철도건널목 관리 2억 2957만 2000원, 지하보도 유지관리 2억 3090만원, 군ㆍ구로 교부하는 도로점용료 징수교부금은 70억원을 편성했습니다.
919쪽부터 923쪽 예수금과 차입금 등의 원리금 상환액과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이며 183억 5107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예산안 924쪽 고속도로재생과입니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주변 거점개발 사업화방안 수립 용역으로 5억 3900만원을 편성했으며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51억 417만 8000원을 편성했습니다.
925쪽에서 927쪽 건설심사과입니다.
과년도 토지매입비는 9억 8500만원을 편성했고 준공 후 지적정리되지 않은 광역도로에 대한 실태조사 비용으로 5716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추진을 위해 2335만원을 편성했습니다.
건설기술심사 운영비 1억 200만원, 설계경제성 검토 운영수당 등에 2억 2736만원, 건설사업 관리운영비 등에 6164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지방토지수용위원회 운영비는 2822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특별회계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186쪽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입니다.
드림로~원당대로 간 도로개설 시설비 100억원, 인천 서구 거첨도~약암리 간 도로개설 공사비 및 감리비 37억 3000만원, 안암도유수지~오류동 간 도로개설 설계비 12억원, 금곡동~대곡동 간 도로개설 설계비 6억 5500만원입니다.
계양구, 서구의 수도권매립지 간접영향권 내 환경개선사업 및 주민편익사업으로 클린서구 조성을 위한 민간도로 청소 용역 8억 1106만 4000원, 완정로 92번길 도로구조 개선공사 1억 7000만원, 완정로 177번길 일원 도로정비공사 3억 6000만원, 1187쪽 봉수대로 1440번길 도로정비공사 2억 5000만원, 석남동 가정로 일원 도로정비공사 5억 5346만 5000원, 원당대로 823번길 일원 도로재포장공사 2억 7000만원, 왕길지하차도 전기시설물 교체 1억 2500만원, 사월마을 외 1개소 보안등 정비공사 1억원, 드림로 주변 노후 보안등 교체공사 8000만원입니다.
1279쪽 광역교통시설특별회계입니다.
금곡동~대곡동 간 도로개설 설계비로 10억원을 편성했습니다.
1317쪽 도시개발특별회계입니다.
소암마을~대건고교 간 도로개설 시설비 및 감리비 등 15억 71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1331쪽 지하도상가특별회계입니다.
1338쪽 세입은 213억 300만 6000원으로 지하도상가 임대료수입과 공공예금 이자수입, 순세계잉여금입니다.
1340쪽 세출은 지하도상가 위탁관리비로 112억 83만 9000원과 예비비로 101억 216만 7000원을 편성했습니다.
1341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입니다.
도시재생건설국 소관 세입 및 세출예산은 1044억 1110만 3000원입니다.
먼저 세입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부담금 189억 9600만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344억 8500만원, 일반회계 전입금 329억 3010만 3000원, 통합관리기금 예수금 80억원, 시ㆍ도지역개발기금 예수금 100억원입니다.
부서별 세출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366쪽 재생정책과입니다.
왕의 길을 중심으로 한 강화 문화가꾸기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은 2016년부터 5개년 사업으로 4차 연도 지원사업비 16억 5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1366쪽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구상안 작성 및 활성화 계획 수립 용역은 내년도 도시재생 뉴딜 중앙공모 추진을 위한 용역으로 4억 9500만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사업비로 10억 4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재생사업의 홍보와 공유를 위하여 국토부, 인천시, 문화일보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도시재생산업박람회 행사 개최에 2억 9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인천시 골목길 재생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골목길 재생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본계획 용역으로 3억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1367쪽 도란도란 송현마을 조성사업은 2017년부터 3개년 사업으로 주민공동이용시설 설치 등 마지막 연도 사업비로 7억 23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도시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은 만석ㆍ북성 접경마을 취약지역 개선사업 마지막 연도 지원사업비 8억 3700만원, 만석동 철길마을 취약지역 개선사업 3차 연도 지원사업비 2억 7400만원 총 2개소에 11억 11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1368쪽부터 1370쪽 화수정원마을 등 2017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5개소에 대한 2차 연도 지원사업비 197억 1150만원과 신흥동 공감마을 등 2018년도 사업 4개소에 대한 1차 연도 지원사업비 145억 2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시ㆍ도지역개발기금 예수금 이자상환을 위해 1억 4662만 5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1371쪽 재생콘텐츠과입니다.
인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의 효율적인 사업관리와 주변지역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성과관리 및 모니터링 용역비로 1억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의 공사 및 보상을 위한 시설비 231억 84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우회고가 정비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사업비 57억 8600만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인천역 주변 철도시설을 활용한 역세권 주변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을 위해 인천역 일원 뉴딜사업 공모 구상 용역비 2억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중구 개항장 일원 문화지구에 대한 개항장역사문화지구 관광거점도시 공모사업 구상 용역비 4억 5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1373쪽 주거재생과입니다.
연수구 농원마을 등 3개 구역에 도시생활환경 개선사업으로 국고보조금 16억 1900만원을 편성했으며 2019년 사업완료 예정입니다.
인천형 저층주거지 지원으로 더불어마을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을 위해 34억원을 편성했습니다.
1374쪽 도로과입니다.
검단산업단지~검단IC 간 도로개설 150억 600만원, 검단산업단지~검단우회도로 간 도로확장 31억 1200만원, 봉수대길 왕길사거리 지하차도 건설 8억 7800만원, 가좌동 염곡로 도로확장 10억 5400만원, 예수금 원리금 상환 8000만원을 각각 편성했습니다.
1375쪽 고속도로재생과입니다.
‘50년을 돌아온, 사람의 길’ 중심시가지형 뉴딜사업에 92억 9830만 2000원을, 도로개량사업 통합관리기금 이자상환에 3억 587만 6000원 총 96억 417만 8000원을 편성했습니다.
이상으로 2019년도 도시재생건설국 일반 및 특별회계 예산안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내년도에도 도시재생건설국의 모든 업무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리며 올해와 같이 내년에도 위원님들께서 저희 도시재생건설국에 깊은 애정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