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2020년도 도시재생건설국 일반 및 기타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출예산안 총규모입니다.
예산안 28쪽 2456억 4666만 5000원으로 금년 대비 401억 7393만원 감편성했습니다.
일반회계 세입ㆍ세출예산 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세입예산입니다.
128쪽 도로과입니다.
도로점용료는 130억원, 자치단체 간 부담금 수입은 27억 6696만 3000원, 일반부담금은 5개 사업 123억 452만 2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도로무단점용에 대한 변상금 1억 5000만원, 도로점용료 지난연도 수입 4억원을 편성했습니다.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은 4개 사업 139억 8500만원입니다.
129쪽 공기업특별회계 전입금은 영종~신도 간 평화도로 건설을 위한 인천국제공항공사 2019년 개발이익 재투자금 50억원을 경제청특별회계에서 일반회계로 전입했습니다.
129쪽 건설심사과입니다.
공유재산 사용료 3억 5000만원, 공유재산 무단점ㆍ사용료 변상금 5000만원, 건설산업기본법과 건설기술진흥법 위반과태료 3500만원, 지난연도 수입 2200만원 등 4억 57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 세부내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985쪽 재생정책과는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및 위원회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등 1억 1325만 9000원, 행정운영경비 5580만 9000원을 편성했습니다.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은 30억 52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987쪽 재생콘텐츠과는 도시균형발전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등 6986만원, 행정운영경비 2792만원,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 15억 7150만 6000원을 편성했습니다.
989쪽 도로과 세출은 1172억 4826만원입니다.
국가지원 지방도개설을 위하여 국지도84호선 도로개설공사 58억 5800만원, 국지도98호선 71억 34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990쪽입니다.
공사 착공 및 준공을 위하여 황청~인화 간 도로개설사업 11억 6000만원, 신흥동 삼익아파트~동국제강 간 도로개설 3500만원, 소래로 및 소래대교 확장 62억 2700만원, 서구 거첨도~약암리 간 도로개설은 52억 3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991쪽입니다.
설계용역 완료 후 보상 및 공사 추진을 위하여 소암마을~대건고교 간 도로개설 15억 500만원, 영종~신도 평화도로 건설 81억 6100만원, 아암지하차도 건설공사 10억원을 편성했습니다.
992쪽입니다.
북항로(대1-7호선) 확장사업은 4억 4000만원이며 남항(대1-10호선) 도로개설, 능안삼거리~인천여상 간 도로개설, 공촌사거리 교차로 개선사업은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위하여 각각 1억원, 1억 3000만원, 5억원을 편성했습니다.
도시간선도로망(동서7축) 타당성평가 용역 1억 5000만원, 장기미집행시설 등 시급한 사업을 위하여 군ㆍ구 도로개설지원 6건 74억 4500만원 편성했습니다.
청라지구~북항 간은 민간부담금 포함 62억 1000만원 편성했습니다.
993쪽입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자전거 인프라 구축사업 5억 1400만원, 자전거도로 정비사업 4억 5000만원, 자전거 이용 활성화계획 수립 용역 1억원을 편성했습니다.
노후ㆍ불량 가로등 및 보안등을 정비하기 위하여 친환경 고효율 도로조명 정비사업 9억 9500만원, 도로조명시설 유지관리 15억원, 골목길 불 밝혀서 안전한 거리 만들기 8억원을 편성했습니다.
994쪽입니다.
도로시설물 정비 28억 2600만원, 도로표지판 정비 5억원, 드림로 유지보수 2억 8110만원, 보도정비사업 12억 5000만원,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기본계획 수립 용역 1억 5000만원, 과속 단속카메라 운영 745만 2000원을 편성했습니다.
995쪽입니다.
항만지역 장기미집행도로 실시계획 작성 용역 1억원, 민자터널 운영 재정지원 205억 100만원,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138억 855만 4000원, 철도건널목 관리 3억 428만 7000원, 지하보도 유지관리 2억 685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996쪽입니다.
군ㆍ구에 교부하는 도로점용료 징수교부금 70억원, 주민참여예산 지역참여형 사업 9억 5400만원, 주민참여예산 동계획형 사업 1억 829만원 편성했습니다.
997쪽~999쪽은 예수금과 차입금 등의 원리금 상환액과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이며 134억 5347만 7000원을 편성했습니다.
1000쪽 고속도로재생과 세출은 64억 8094만 7000원으로 일반화사업 홍보, 시설물 유지 등 시책추진을 위한 5300만원, 경인고속도로 기점변경 및 지하화 추진을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 1억 2000만원, 행정경비로 2928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은 62억 7866만 7000원을 편성했습니다.
1002쪽 건설심사과 세출예산은 14억 8942만 9000원입니다.
먼저 도로 공유재산 관리를 위해 과년도 토지매입비로 9억원을, 공유재산 현행화 사업에는 25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건설공사의 지역 업체 참여 확대를 위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추진 예산은 3335만원입니다.
건설기술 및 신기술 심사에 1억 4900만원, 건설사업 관리에 638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설계경제성 검토 운영수당 등에 2억 3824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지방토지수용위원회 운영을 위하여 3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기타특별회계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277쪽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특별회계입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도로망 확충을 위하여 드림로~원당대로 간 도로개설 공사비 등 60억 9000만원, 서구 거첨도~약암리 간 도로개설 공사비 등 28억 3000만원, 안암도 유수지~오류동 간 도로개설 공사비 및 감리비 등 51억 1000만원, 검단 양촌IC~봉수대로 간 도로개설 47억 8000만원, 금곡동~대곡동 간 도로개설 설계비 60억 70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1278쪽입니다.
봉수대로 도로확장공사 보상비 등 28억 3000만원, 금곡동 중2-226호선 도로개설 26억 5000만원, 방음터널 설치를 위한 백석고가교 주변 교통소음 개선사업 5억 8000만원, 계양구ㆍ서구의 수도권매립지 간접영향권 내 환경개선사업 및 주민편익 사업으로 서부지방산업단지 보행환경 개선사업 1억 7000만원,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도로안전시설물 설치사업 1억원, 검단 구획정리사업 구역 도로정비공사 5억원, 드림로 주변 노후 보안등 교체공사 1억원, 만봉길 일원 가로등 정비공사 7000만원, 오류 왕길동 보안등 정비공사 1억원을 편성했습니다.
1372쪽 광역교통시설특별회계입니다.
금곡동~대곡동 간 도로개설 보상비 10억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1419쪽 지하도상가특별회계입니다.
1421쪽 세입은 165억 5367만 1000원으로 지하도상가 임대료수입 45억 3293만 4000원, 이자수입 2억 3570만원 및 순세계잉여금 117억 8503만 7000원을 편성했습니다.
1424쪽 세출은 165억 5367만 1000원으로 지하도상가 관리위탁료 산정 및 수익 원가분석을 위한 연구 용역비 2억 6528만 7000원, 지하도상가 공용ㆍ공공용 부문에 대한 관리위탁비 3억 7542만 1000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또한 지하도상가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시설비 및 시설부대비 27억원과 인천시설공단 관리위탁비 40억 7041만 3000원을 편성하고 예비비 91억 4255만원을 편성했습니다.
1433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출 총괄입니다.
도시재생건설국 소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출예산은 660억 400만 4000원입니다.
1437쪽 세입예산 내역입니다.
도로과 일반부담금 147억 7000만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은 재생정책과 236억 1700만원, 재생콘텐츠과 7억 8200만원, 고속도로재생과 37억 2000만원, 1440쪽 내부거래에 의한 일반회계 전입금은 재생정책과 30억 5200만원, 재생콘텐츠과 15억 7150만 6000원, 도로과 11억 3663만 1000원, 고속도로재생과 62억 7866만 7000원입니다.
부서별 세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1454쪽 재생정책과입니다.
왕의 길을 중심으로 한 강화 문화 가꾸기 도시재생 활성화사업은 2016년부터 5개년 사업으로 2020년 지원사업비로 24억 495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사업비로17억 8004만 5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만석동 철길마을 취약지역 개선사업 마지막 연도 지원사업비 2억 8700만원, 육각정 공동체마을 취약지역 개선사업 2차 연도 사업비 4억 83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1455쪽부터 1458쪽 화수정원마을 등 2017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5개소에 대한 3차 연도 지원사업비 93억 4100만원과 신흥동 공감마을 등 2018년도 뉴딜사업 4개소에 대한 2차 연도 지원사업비 127억 9200만원을 편성했으며 평화의 섬 연평도 치유 프로젝트 등 2019년도 도시재생 뉴딜 선정사업 4개소에 대해 91억 5600만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강화 폐직물공장을 활용한 생활문화센터 조성사업비로 9억원을 편성했습니다.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사용된 지역개발기금 이자상환을 위해 625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1459쪽 재생콘텐츠과입니다.
성과관리 및 모니터링 용역은 2019년도부터 매년 1억원씩 3개년 계속비사업으로인천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의 효율적인 사업관리와 주변지역과 연계성 강화를 위해 1억원을 편성했습니다.
내항재생의 공감형성 및 시민참여 확대와 사업추진에 따른 갈등조정을 위한 내항재생사업 사업추진협의회 운영 예산 2억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개항장 중심의 역사ㆍ문화ㆍ관광자원 간 연계 강화를 위한 교통수단 시범사업비 1억 5000만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개항장 및 내항 일원 원도심에 대해 시민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아이디어를 제시하기 위한 중구 개항장 일대 모형제작 5500만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우회고가 정비사업은 계속비사업으로 총사업비는 243억 5000만원이며 국비 7억 8200만원에 맞춰 시비 7억 8200만원을 매칭하여 15억 64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개항창조도시 도시재생사업 및 내항 1ㆍ8부두 항만 재개발사업의 내실 있는 지원과 참여를 위하여 현장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비 6228만원을 신규편성했습니다.
1460쪽 개항장 및 내항 일원의 원도심 도시재생에 다양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비 6460만원을신규편성했습니다.
1461쪽 도로과입니다.
검단산업단지~검단IC 간 도로개설 25억 1000만원, 검단산업단지~검단우회도로 간 도로확장 53억원, 봉수대길 왕길사거리 지하차도 건설 69억 6000만원, 예수금 원리금 상환을 위하여 11억 3663만 1000원을 편성했습니다.
1462쪽 고속도로재생과입니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도로개량사업 설계비 및 교통운영체계 개선사업비에 19억 1700만원을 편성했고 ‘50년을 돌아온, 사람의 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주민 문화커뮤니티시설인 석남어울림센터와 청년창업 보육시설인 석남거북이기지 조성사업을 위해 76억원을 편성했습니다.
1463쪽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 시행과 관련 경인철도 육교 하부 미추홀체육관이 노후하여 안전사고 예방 및 원도심 주민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전면 재보수 비용 2억원을 신규편성했으며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도로개량사업을 위한 통합관리기금 예수금 이자상환에 2억 6772만 5000원을 편성했습니다.
이상으로 2020년도 도시재생건설국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