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그러면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110개소 중에 해제되는 시설 27개소에 대해서 관리카드를 보고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도로 5개소입니다.
관리카드 6쪽 광로3-2호선은 송현누리아파트 앞 옹벽 설치구간과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지하차로 접속구간의 폭원을 축소하는 건입니다.
6쪽과 7쪽 이렇게 한 장으로 돼 있습니다, 한 세트로.
관리카드 38쪽 대로2-4호선은 주안로 석암지하차도 구간으로 우회전 1차로를 운영 중이나 현재 상태로 교통처리가 양호하여 현황대로 폭원을 축소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42쪽 대로2-17호선은 월미바다열차 설치구간을 해제하여 현황도로에 맞게 축소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54쪽 대로2-51호선은 친수공간 보전 등을 위해 서부간선수로 내 계획된 도로연장을 축소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60쪽 대로2-56호선은 항만구역 내 계획된 도로로서 기존 시설로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여 연장을 축소하는 건입니다.
다음은 공원 17개소입니다.
관리카드 108쪽 옥련공원은 표고, 경사도 등이 개발행위 허가기준에 따라 개발이 어려운 지역이므로 전체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10쪽 고잔공원은 공장 및 종중묘지 포함 지역으로 공원유지 필요성이 낮은 지역을 일부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18쪽에서 122쪽까지입니다.
원적산공원, 함봉공원, 십정공원은 표고, 경사도에 따른 개발이 어려운 지역과 그린벨트ㆍ보전녹지 지역을 일부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24쪽 백운공원, 128쪽 희망공원은 주택지 및 종교시설 포함 지역으로 공원유지 필요성이 낮은 지역을 일부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32쪽 이촌공원은 도시개발사업 제외구간을 일부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36쪽 이촌공원, 144쪽 마전공원, 152쪽 남산공원, 154쪽 관청공원은 표고, 경사도 등에 따른 개발이 어려운 지역과 그린벨트ㆍ보전녹지, 문화재보호지역을 해제하는 건이며 마전공원은 전체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56쪽 내가공원은 공원으로 이용하고 있지 않아 공원유지 필요성이 낮은 지역을 전체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60쪽 도롱뇽공원은 보전녹지지역으로 산림청 소유 국유지 밀집지역 내 소규모 사유지를 일부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66쪽 전등공원은 민간공원사업이 중단되었고 168쪽 검단묘지공원은 인천시 장사시설 수급에 지장이 없어 재정사업이 불가하여 전체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170쪽 인천가족공원은 보전산지로 미집행지역 중 사유지를 일부 해제하는 건입니다.
다음은 녹지 4건입니다.
관리카드 184쪽 동수녹지, 192쪽 검단3호 녹지는 방음벽 등 대체시설이 설치되어 해제하는 건입니다.
관리카드 200쪽 검단10호 녹지, 202쪽 검단당하2 녹지는 국공유지 구간 존치 녹지로 실효성 및 사업계획이 없어 해제하는 건입니다.
다음은 광장 1건입니다.
관리카드 212쪽 도화역광장은 규모가 작아 역전광장으로서 효율성이 결여되고 재정여건상 추진이 불가하여 해제하는 건입니다.
다음은 의견청취안 제2쪽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단계별 집행계획입니다.
의견청취안 제2쪽입니다.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총 110개소 중 해제시설을 제외한 96개소에 대한 단계별 집행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소요예산은 총 4조 7000억원이며 재정사업 1조 9000억원, 비재정사업 2조 8000억원입니다.
재정사업 예산 중 시비는 약 1조 5000억원입니다.
2020년 7월 실효대상 시설은 89개소 중 해제시설을 제외한 76개소에 대하여 총 3조 9000억원이 소요됩니다.
재정사업은 1조 4000억원, 비재정사업은 2조 5000억원이며 재정사업 중 시비는 1조 1000억원입니다.
10년 미만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은 총 46개소이며 약 5000억원이 소요됩니다.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