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도시재생건설국장 이종선입니다.
지금부터 도시재생건설국 소관 2021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2021년도 세출예산안 총규모입니다.
예산안 28쪽이 되겠습니다.
3140억 6030만 6000원으로 금년 대비 27.6%인 679억 1364만 1000원을 증액하여 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입니다.
135쪽 도로과입니다.
도로점용료 97억 5000만원, 공유재산 사용료 3억 5000만원, 자치단체간부담금 32억 1415만 5000원, 도로점용 및 공유재산 사용에 대한 지난연도 수입 4억 2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36쪽 도로 무단점용 변상금 및 공유재산 무단 점ㆍ사용료로 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부담금 3개 사업은 78억 145만 2000원, 국고보조금 2개 사업 111억 6740만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4개 사업에 140억 2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국지도84호선 도로개설사업의 시비재원이 부족하여 지방채 100억원을 발행하였습니다.
공기업특별회계 전입금은 영종~신도 평화도로 건설을 위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재투자금 50억원을 경제청 특별회계에서 일반회계로 반영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137쪽 건설심사과입니다.
건설산업기본법과 건설기술진흥법 위반과태료 수입은 전년도 기준으로 3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 세부내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1008쪽 재생정책과입니다.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및 위원회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등 1억 1325만 9000원, 부서운영을 위한 행정운영경비 5580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09쪽이 되겠습니다.
세출예산 재원 확보를 위한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 154억 8391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0쪽 재생콘텐츠과입니다.
도시균형발전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등 1260만원, 부서운영을 위한 행정운영경비에 34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 원도심특별회계 전출금으로 149억 455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1쪽 도로과 일반회계 세출입니다.
1340억 8140만원입니다.
국가지원 지방도 개설을 위한 국지도84호선 도로개설공사 122억 5342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2쪽입니다.
국지도98호선 도로개설공사 9억 1857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황청~인화 간 도로개설 4-1공구 34억 4100만원, 서구 거첨도~약암리 간 도로개설 5억원, 소암마을~대건고등학교 도로개설 20억원, 영종~신도 평화도로 건설에 159억 7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3쪽입니다.
아암지하차도 건설공사 70억 6100만원, 북항로 확장공사 26억 1500만원, 이승훈역사공원 주변 도로확장에 12억 4533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4쪽입니다.
군ㆍ구 도로개설 지원 5건에 50억 8000만원, 산곡동 마장로 삼거리 일원 교차로 개선공사 19억원, 청라지구~북항 간 도로개설 11억 3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인천시 자전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전거도로 정비사업에 2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노후된 가로등 및 보안등을 정비하기 위하여 친환경 고효율 도로조명 정비사업에 9억 9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015쪽입니다.
도로조명시설 유지관리비 17억원, 골목길 불 밝혀 안전한 거리 만들기 사업에 1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하여 도로시설물 정비 28억 2600만원, 도로표지판 정비 6억원, 드림로 유지보수 2억 811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6쪽입니다.
보도정비사업 12억 5000만원, 과속단속카메라 운영 2억 6873만 9000원, 독배로 도로구조 개선사업 4억 100만원, 동춘지하차도 진입부 상습정체 해소사업 5000만원, 미래로 교통정온화사업 26억 870만원, 문학터널 구조개선사업 1억 9000만원, 민자터널 운영 재정지원에 190억 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7쪽입니다.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에 159억 6338만원, 철도건널목 관리 300만원, 지하보도 유지관리 3억 2390만원, 군ㆍ구로 교부되는 도로점용료 징수교부금 54억 7500만원, 도로계획 및 관리업무 추진에 661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018쪽입니다.
항만배후도로 발생 교통량 및 경제성조사 용역 1억원, 주민참여예산 지역참여형 사업에 8억원, 주민참여예산 동협치형 사업에 2억 502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9쪽입니다.
도로시설물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비에 15억 984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 도로 공유재산 관리를 위해 과년도 토지매입비 7억 2000만원, 공유재산 현행화사업비 2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안전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하여 전선류 지중화사업 자치단체자본보조 10억 8000만원을 편성하였고 1020쪽 학교 주변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전선류 지중화 뉴딜사업 71억 86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도로과 부서운영을 위한 행정운영경비 6090만원을 편성하였고 1020쪽에서 1022쪽 예수금 원금상환 및 이자상환 90억 5372만원,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 11억 993만 7000원, 차입금 원금상환 43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023쪽 고속도로재생과입니다.
세출예산은 78억 7283만 4000원입니다.
인천대로 일반화사업의 공고료, 여비 등 업무추진 등에 2억 1040만원을 편성하였고 인천대로 주변 10개 생활권 기본계획에 대한 세부 실행방안 등의 용역을 위해 2억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경인고속도로 기점변경 및 지하화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 8000만원과 행정운영경비 33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24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 73억 4883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025쪽 건설심사과 세출예산은 기정액 대비 6.3% 감액한 5억 2859만 4000원입니다.
건설공사의 지역 업체 참여 확대를 위하여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추진에 3135만원을 편성하였고 건설기술 및 신기술 심사 1억 3639만 2000원, 설계경제성검토 운영수당 2억 1532만 5000원, 건설사업관리 일반운영비 6179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26쪽입니다.
지방토지수용위원회의 운영비 3370만원, 행정운영경비 5003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기타특별회계 예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298쪽입니다.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입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의 도로망 확충을 위하여 드림로~원당대로 간 도로개설 60억원, 거첨도~약암리 간 도로개설 5억원, 금곡동~대곡동 간 도로개설 114억 5500만원, 봉수대로 도로확장 110억 45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백석고가교 주변 교통소음 환경개선사업에 10억원, 계양구ㆍ서구의 수도권매립지 간접영향권 내 환경개선사업 및 주민편익사업으로 서구 검단 구획정리구역 보도정비공사 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299쪽입니다.
서구 오류왕길동 보안등 정비공사 1억원, 상야동 일원 보안등 설치공사 1억 2000만원, 경인아라뱃길 북측도로 가로등 설치공사 2억 8000을 편성하였고 1396쪽 광역교통시설특별회계입니다.
남동IC 직결연결로 신설 설계비로 6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36쪽 건설심사과 지하도상가특별회계입니다.
세입은 147억 5874만 5000원으로 전년도 대비 17억 9492만 6000원을 감액하여 편성하였습니다.
지하도상가 임대료수입 55억 888만원, 공공예금 이자수입 1억 4566만 7000원, 순세계잉여금 91억 419만 8000원을 편성한 사항입니다.
1439쪽 세출은 기정액 대비 18억 1752만 6000원을 감액한 147억 3614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하도상가 관리위탁을 위한 일반운영비 700만원, 인천시설공단 위탁관리 대행사업비 39억 1935만 8000원, 예비비 2억 3350만 4000원, 지하도상가 관리비 지원을 위한 민간위탁금 10억 7628만 3000원, 통합관리기금 예탁금 9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45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출예산입니다.
도시재생건설국 소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출예산은 기정액 대비 43.2% 증가한 945억 4621만 8000원입니다.
1449쪽 도로과 일반부담금으로 262억 31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으로 재생정책과 259억 6500만원, 재생콘텐츠과 14억 2200만원, 고속도로재생과 20억 4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451쪽 일반회계전입금은 재생정책과 154억 8391만 7000원, 재생콘텐츠과 149억 4553만원, 도로과 11억 993만 7000원, 고속도로재생과 73억 4883만 4000원입니다.
다음은 부서별 세출예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1467쪽 재생정책과입니다.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사업비로 금년과 동일하게 17억 8004만 5000원을 편성하였으며 내년도 신규사업인 제물포역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1억 2767만 2000원, 골목길 재생사업 3억 3400만원을 편성하였고 육각정 공동체마을 취약지역 개선사업 3차 연도 사업비로 1억 8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강화 폐직물공장을 활용한 생활문화센터 조성사업비로 1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68쪽부터 1469쪽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편성내용입니다.
부평11번가, 동구 송림골, 상생마을, 공감마을, 효성마을, 남산마을, 비룡공감 2080, 안골마을에 323억 82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심청이마을, 수봉마을, 평화의 섬 연평도에 54억 81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사용된 지역개발기금 이자상환을 위해 62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70쪽 재생콘텐츠과입니다.
인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의 성과관리 및 모니터링 용역은 2019년도부터 3개년 계속비사업으로 용역비 5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개항장 중심의 역사ㆍ문화ㆍ관광자원 간 연계강화를 위한 교통수단 도입사업 1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우회고가교 정비사업,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에 54억 234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개항창조도시 도시재생사업 및 내항 1ㆍ8부두 항만재개발사업의 내실 있는 지원과 시민참여를 위한 현장지원센터 운영비 294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471쪽입니다.
개항장 및 내항 일원에 원도심 도시재생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비 292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스마트관광 기반조성사업 총사업비 70억원으로 금년 9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국비 35억원을 금년 3회 추경에 편성하였고 시비 35억원은 2021년 본예산에 매칭으로 편성하고자 하는 사항입니다.
그리고 스마트관광도시 후속지원사업을 위해서 3억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개항기 건축물의 역사 상징 및 시민 휴식공간 확충을 위한 역사산책공간 조성비 46억원을 신규 편성하였으며 근대역사 정체성 강화를 위한 개항장 일원 자원특화사업비 16억 2651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예수금 원리금 이자상환을 위하여 6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472쪽 도로과입니다.
검단산업단지~검단IC 간 도로개설 130억 2100만원, 검단산업단지~안동포사거리 간 도로확장 132억 1000만원, 경찰학교 이전부지 중1-327호선 및 이자상환 11억 993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489쪽에서 1496쪽 계속비사업조서는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1년도 도시재생건설국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경청해 주신 고존수 위원장님을 비롯하여 여러 위원님들께 다시 한번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