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녹지국 2021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는 일반현황,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순으로 하겠습니다.
3쪽부터 7쪽까지의 일반현황은 보고서로 대신하겠습니다.
11쪽 주요예산사업 현황입니다.
총 26건에 2547억 8500만원입니다.
투자사업이 20건에 2522억 7600만원이고 용역사업이 6건에 25억 900만원입니다.
예산집행은 4월 30일 기준으로 총 1199억 2800만원입니다. 예산액 대비 47%를 집행했습니다.
다음은 사업별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5쪽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입니다.
그린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향상, 실내 공기질 개선 및 IT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입니다.
2020년 공모사업에 선정된 공공건축물 20개소 중 10개소는 공사착공하였고 10개소는 행정절차 진행 중입니다. 연말까지 사업을 완료하겠습니다.
17쪽 화재안전 성능보강 지원사업입니다.
피난약자 이용시설 등 화재취약 건축물의 화재안전 성능보강을 위해 외장재 교체 등 공사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금년에는 36개 동을 지원할 계획이며 현재 각 군ㆍ구별 지원대상을 선정 중입니다. 연말까지 사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습니다.
19쪽 총괄공공건축가 제도 운영입니다.
품격 있는 도시 공간 조성과 공공사업의 공적가치 구현을 위해 민간전문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공건축가는 50명을 선정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금년 4월 19일 제1대 한종률 총괄건축가를 위촉하였습니다.
우리 시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1쪽 행복주택 건설사업입니다.
화수1구역 등 3개 지역에 행복주택 57세대를 건설하여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사업입니다.
뉴딜화수1, 뉴딜만부 등 2개 구역은 지난 5월 공사 완료하였으며 뉴딜화수2구역은 금년 12월 사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23쪽 비주택거주자 주거상향 지원사업입니다.
쪽방, 고시원, 여인숙 등 비주택거주자의 공공임대주택 수요를 발굴하고 이주와 정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현재 사업 안내를 통해 입주희망자를 발굴하고 있으며 금년도에는 260명을 대상으로 이주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5쪽 노후 공공임대주택 시설개선사업입니다.
준공 후 15년 이상 경과한 선학 및 연수 영구임대주택의 노후시설을 보수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노후 배관교체, 옥상 방수공사, 발코니 섀시 등 보수공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연말까지 사업을 완료하겠습니다.
27쪽 주거급여 지원입니다.
중위소득 45% 이하인 가구에 대해 소득ㆍ주거형태 등을 고려하여 주거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4월 말 현재 29만 5730가구에 604억 7700만원을 지원했으며 연말까지는 차질 없이 지원하겠습니다.
29쪽 기존주택 전세임대 공급입니다.
기존주택을 임차하여 저소득계층에게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사업입니다.
금년에는 신규 공급물량 700호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연말까지 차질 없이 공급하겠습니다.
31쪽 기존주택 매입임대 공급입니다.
기존주택을 매입하여 저소득층에게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163호에 대하여 매입심의를 완료하였으며 연말까지 400호를 차질 없이 공급하겠습니다.
33쪽 저소득 장애인주택 편의시설 설치지원 사업입니다.
저소득 장애인의 생활 및 이동에 불편이 없도록 주거용 편의시설 설치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지원대상자 100가구를 선정하였으며 연말까지 사업을 완료하겠습니다.
35쪽 소규모 노후 공동주택 안전점검 및 시설개선 지원입니다.
20년 이상 경과한 소규모 노후 공동주택에 대하여 안전점검 및 보수ㆍ보강비용을 지원하여 안전하고 살기 좋은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각 군ㆍ구에서 지원대상자 선정 중에 있으며 연말까지 사업을 완료하겠습니다.
37쪽 소규모 공동주택 주민자치 관리 활성화 사업입니다.
침체된 공동체문화 회복을 위해 공동주택 입주민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참여하는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을 선정ㆍ지원하겠습니다.
현재 총 23건을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이며 앞으로 17건을 추가 선정할 계획입니다.
39쪽 도시재생 뉴딜사업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입니다.
거점연계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으로 2024년까지 동인천역 일대를 이삼십 대가 머물고 즐기는 경제ㆍ문화ㆍ관광의 중심지로 회복되도록 하겠습니다.
역세권ㆍ상권 활성화, 역사ㆍ문화적 가치 재조명, 주민 자율정비기반 구축 및 지역 도시재생 역량강화 사업을 중점 추진하겠습니다.
43쪽 노후 저층주거지 개선을 위한 더불어마을 추진입니다.
정비구역 해제지역과 노후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을 주민 주도로 주거지를 재생하는 사업입니다.
금년도 중구 월남촌 사랑마을 등 5개 구역을 신규 선정하였으며 총 20개 구역에 대하여 주민참여를 통한 기반시설과 공동이용시설 확충, 집수리 지원 등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45쪽 빈집 정비사업 추진입니다.
원도심에 증가하는 빈집을 정비ㆍ활용하여 원도심 활성화와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금년에는 빈집 117개소에 대한 철거, 개량 활용사업과 안전사고 위험 빈집에 대한 출입폐쇄 등 안전조치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47쪽 원도심 주거생활 서비스 지원사업입니다.
원도심 저층주거지 내 노후주택 수리, 공구대여, 집수리 교육, 무인택배 등 주거생활 서비스 제공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입니다.
9개 군ㆍ구에 29개소의 마을주택관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금년도 하반기에 1개소를 추가 설치ㆍ운영할 계획입니다.
49쪽 우리집 공급 프로젝트입니다.
저소득층 및 주거약자가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도록 영구임대주택을 연간 1000호씩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금년도 공급규모 1020호를 제때 공급하도록 하겠습니다.
51쪽 쾌적한 도시경관을 위한 광고물 정비개선 사업입니다.
시민안전과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노후 간판 및 각종 불법광고물 정비를 통해 쾌적한 도시경관을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불법 유동광고물 수거보상제, 광고물 정비 및 안전점검,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사업 등 연말까지 차질 없이 완료하겠습니다.
53쪽 경관형성 지원사업입니다.
월미권역, 동구 우각로, 남동구 연락골 및 만의골 일원 등 원도심의 노후하고 무질서한 도시경관을 개선하고 중구 왕산해수욕장, 강화군 및 옹진군 등 도서지역 경관 명소화 및 우수경관 보전을 통해 경관가치 향상 및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겠습니다.
55쪽 시민체감 공공디자인 확대입니다.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공디자인을 적극 추진하여 주야간 명소 조성과 생활환경을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등 6개 사업에 대하여 계획된 일정에 따라 금년도 물량을 완료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59쪽 건축위원회 심의 대상지역 지정 및 심의기준 제정용역입니다.
2020년 4월 21일 건축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건축위원회 심의가 필요한 지역과 심의기준 등을 정하여 공고하고자 하는 용역입니다.
용역 입찰결과 2회 무응찰로 유찰되어 재공고 진행 중입니다.
60쪽 건축자산 보전방안과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용역입니다.
우리 시 고유의 역사성을 지닌 건축자산을 보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용역입니다.
금년 1월 용역을 착수하여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변경 및 관리계획 수립 등 2022년 7월까지 완료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62쪽 인천광역시 건축기본계획 수립 용역입니다.
우리 시 실정에 맞는 건축정책 수립으로 급변하는 건축정책 방향을 점검하고 건축 분야 핵심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금년 3월 용역을 착수하여 2022년 6월 완료할 예정입니다.
64쪽 공동주택종합포털 온-아파트 구축사업입니다.
주민과 소통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용 종합포털 구축과 아파트 관리업무의 문서 전산화를 통해 공동주택 행정의 투명성과 실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용역입니다.
금년 5월 용역을 착수하여 연말까지 1단계 사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66쪽 더불어마을 사업 모니터링 용역입니다.
더불어마을 사업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성공적 시행을 위한 용역입니다.
현재 용역입찰 진행 중이며 금년 7월 용역을 착수하여 2022년 3월 용역을 완료하겠습니다.
68쪽 2040 인천광역시 경관계획 수립입니다.
경관법 제7조에 따라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경관지구 개편 등 여건 변화를 반영한 인천시 경관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입니다.
금년 4월 중간보고회를 개최하였으며 하반기 시의회 의견 청취를 통해 연말까지 완료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택녹지국에서 추진하는 사업들이 계획한 대로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ㆍ2021년도 주택녹지국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