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도시재생녹지국장 최도수입니다.
시민 행복과 시정 발전을 위한 의정활동에 노고가 많으신 존경하는 고존수 위원장님과 여러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도시재생녹지국 간부공무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구혜림 재생정책과장입니다.
조승환 재생콘텐츠과장입니다.
임상균 고속도로재생과장입니다.
김정호 주거재생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배부해 드린 보고서를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는 일반현황 2020년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처리결과, 2021년 주요업무 추진실적, 2022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3쪽부터 8쪽까지의 일반현황은 보고서로 대신하겠습니다.
보고서 11쪽입니다.
2020년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처리결과입니다.
지적사항은 총 열 건으로 처리요구 일곱 건, 건의사항 세 건입니다.
이 중 일곱 건은 종결 처리하였고 세 건은 진행 중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지적사항을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4쪽 내항 1ㆍ8부두 재생사업 적극 추진 관련입니다.
금년 8월 인천항만공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되고 9월부터 실시협약 협상이 개시되었습니다.
인천내항 공공재생 시민참여위원회 등을 통해 모아진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협의하겠습니다.
15쪽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무료화입니다.
유료도로법 개정안은 국회 소위원회 심사 중에 있으며 우리 시에서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와 연계하여 상부도로 통행료 무료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18쪽 빈집 정비사업 추진입니다.
빈집 정비대상 총 2618개소 중 작년까지 227개소를 정비하였고 금년에는 철거 89개소, 개량 48개소, 안전조치 31개소 등 총 168개소를 정비하였습니다.
다음은 2021년 주요업무 추진실적입니다.
주요실적을 중심으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25쪽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및 추진입니다.
왕의 길 등 24개소에 총사업비 3476억원이 연차별로 투입되어 추진 중에 있으며 연말까지 왕의 길, 만부마을, 화수정원마을, 심청이마을 등이 완료될 예정이며 2022년까지 부평 11번가, 송림골, 상생마을 등 여섯 개 사업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29쪽 제물포역 일원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입니다.
인천대학교 이전 등으로 쇠퇴한 제물포역 일원의 원도심 중심기능 회복을 위한 사업으로 지난 10월 국토교통부 현장실사가 있었고 11월 11일 최종 발표평가를 통해 12월 최종 선정결과가 발표됩니다.
공모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30쪽 도시재생예비사업입니다.
지역주민 주도의 소규모 재생사업으로 현재 총 일곱 개소에 13억원을 투입하여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순차적으로 완료할 계획입니다.
32쪽 트램을 연계한 원도심 재생 및 활성화입니다.
부평연안부두선 트램 주변지역 활성화를 위한 기본구상 수립 용역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거점사업 발굴과 관광, 문화자원과 연계된 사업구상을 도출하는 사항입니다. 연말까지 완료하겠습니다.
33쪽 골목길 가치를 살리는 재생사업입니다.
다양한 골목길의 가치를 살려 매력 있는 정주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지난 10월 용역을 착수하였으며 2022년 6월 완료할 계획입니다.
34쪽 주안2ㆍ4동 일원 재정비촉진사업입니다.
지난 10월 재정비촉진지구ㆍ계획변경 결정안에 대한 행정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주안 2ㆍ4동 지역의 주거환경개선과 기반시설 확충, 도시기능이 회복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35쪽 인천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입니다.
현재 총 26개 재생사업 중 스마트관광도시 시범사업 등 아홉 개 사업이 완료되었으며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은 연말까지 완료하겠습니다.
우회고가 정비사업은 2022년 1월 철거공사에 착수하여 ’23년 상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입니다.
38쪽 인천내항 1ㆍ8부두 항만재생사업입니다.
항만재생사업은 시민들의 의견이 사업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협의하겠으며 인천내항 1ㆍ8부두가 시민들에게 우선 개방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습니다.
11월 16일 인천세관 역사공원 및 역사박물관 시민개방 기념식을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40쪽 신포지하공공보도 연장사업입니다.
동인천역과 수인선 신포역 간 안전하고 편리한 지하 보행 축을 연결하기 위한 사업으로 2022년과 2023년 단계별 설계 및 공사를 착공하여 2024년까지 공사를 완료하도록 하겠습니다.
42쪽 스마트관광도시 시범조성 사업입니다.
중구 개항장 일원의 스마트관광 전환을 통해 도시재생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으로 지난 7월 사업을 완료하고 출범식을 가졌습니다. 많은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겠습니다.
43쪽 10개 생활권계획 실행방안 수립 용역입니다.
인천대로 주변 열 개 생활권에 대한 세부 실행방안 등을 수립하는 사항으로 지난 3월 용역에 착수하여 2022년 9월 준공할 예정입니다.
44쪽 “50년을 돌아온 사람의 길” 도시재생 뉴딜사업입니다.
석남역 주변 도시재생사업으로 마중물사업 등 20개 사업에 1581억원이 투입됩니다.
2023년까지 석남어울림센터, 석남거북이기지의 앵커시설 조성, 기반시설 정비 등을 추진하겠습니다.
45쪽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입니다.
현재 총 82개소의 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비기반시설, 안전진단 등 비용을 보조하고 해제구역에 대한 가로주택 정비, 소규모 재건축 등 대안사업 유도로 원도심 환경개선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47쪽 노후 저층주거지 개선을 위한 더불어마을입니다.
금년에는 희망지 사업 여덟 개 구역과 더불어마을 20개 구역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민 주도의 주거지 재생사업을 추진하여 원도심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50쪽 빈집 정비사업 활성화 추진입니다.
금년에는 빈집 철거ㆍ개량ㆍ안전조치 등 총 168개소를 정비하였습니다.
빈집에 대한 철거ㆍ개량ㆍ활용사업 지원과 자진정비 유도로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51쪽 도시재생 뉴딜사업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입니다.
금년 3월 도시재생활성화 계획 확정 고시 후 역세권 상권 활성화, 주민자율정비, 역사문화가치 재조명 및 도시재생 역량강화 등 4대 분야 열두 개 세부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2쪽 찾아가는 집수리 서비스(마을주택관리소)입니다.
아홉 개 군ㆍ구에 29개소의 마을주택관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무인택배, 공구 대여, 마을환경 정비 등 서비스 제공으로 정주여건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2022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입니다.
신규사업 등 주요사업을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55쪽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및 선정입니다.
2022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만석동 괭이부리마을 중앙공모 1개소. 청천동 맑은내마을 등 광역공모 일곱 개소를 준비하고 있으며 도시재생 인정사업 등 신규 대상지도 발굴하여 공모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60쪽 항동7가 및 연안부두어시장 일원 도시재생입니다.
항동7가 및 연안부두어시장 일원에 대한 도시재생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입니다.
2022년 3월 용역에 착수하여 2023년 10월 완료할 계획입니다.
66쪽 인천대로 일반화사업 추진입니다.
도로기능 재편에 따라 도시단절 해소와 주변지역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사업입니다.
인천기점에서 주안산단고가교까지 1단계 공사는 연말에 착공하여 2024년 준공할 예정이며 주안산단고가교에서 서인천IC까지 2단계 공사는 2023년 착공하여 2026년까지 준공할 계획입니다.
70쪽 경인고속도로 연장 및 지하화 추진입니다.
경인고속도로와 청라진입도로의 상습정체 해소 등을 위한 사업입니다.
금년 12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되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68쪽 공단고가교~서인천IC 간 혼잡도로 개선사업입니다.
인천대로 일반화 사업구간 내 지하도로 개설로 예상되는 교통 혼잡을 개선하는 사업입니다.
금년 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되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ㆍ도시재생녹지국 주요업무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