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도시재생녹지국장 최도수입니다.
지금부터 도시재생녹지국 소관 2022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2022년도 세출예산안 총 규모입니다.
예산안 23쪽 1544억 7703만 4000원으로 금년 대비 28.35%인 341억 2172만 9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입니다.
133쪽 고속도로재생과입니다.
인하대 주변 거점개발에 따른 공유재산매각 수입금 328억 442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세출예산 세부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1045쪽 재생정책과입니다.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및 위원회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등 2억 6981만 1000원, 부서운영을 위한 행정운영경비에 5726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46쪽 세출예산 재원확보를 위한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132억 2797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10쪽 재생콘텐츠과입니다.
도시균형발전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등 7260만원, 부서운영을 위한 행정운영경비에 31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275억 883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48쪽 고속도로재생과입니다.
세출예산은 167억 2710만 4000원으로 인천대로 일반화사업의 공고료, 여비 및 업무추진 등에 1억 1240만원을 편성하였고 부서운영을 위한 행정운영경비에 313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165억 8338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49쪽 주거재생과입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추진 등에 1998만원을 편성하였고 부서운영을 위한 행정운영경비에 2909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49억 3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기타특별회계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595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출 총괄입니다.
도시재생녹지국 건교위 소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출예산안은 기정액 대비 20.81% 증가한 915억 2375만원입니다.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보조금으로 재생정책과 159억 4900만원, 재생콘텐츠과 8억 7500만원, 고속도로재생과 57억 6000만원, 주거재생과 49억 3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전입금은 재생정책과 132억 2797만 6000원, 재생콘텐츠과 275억 8839만원, 고속도로재생과 165억 8338만 4000원, 주거재생과 49억 3000만원입니다.
부서별 세출예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620쪽 재생정책과입니다.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사업비로 18억 6136만 2000원을 편성하였으며 현재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여 공모 추진 중인 제물포역 일원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1억 396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내년도 신규 사업인 항동7가 일원 도시재생활성화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비 4억 40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당초 세부사업명이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제안서 작성 및 활성화 계획 수립이나 구체적인 사업 대상지역을 사업명으로 변경하여 향후 사업 추진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항동7가 일원 도시재생활성화 계획 수립으로 변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안2ㆍ4구역 일원 재정비촉진사업으로 중1-2호선 도로개설사업비 3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621쪽부터 1622쪽까지 도시재생 뉴딜사업 편성 내용입니다.
부평 11번가, 남산마을, 효성마을, 공감마을, 안골마을, 비룡공감2080, 함박마을, 하하골마을, 만수5동 및 간석1동 인정사업, 금창동 신규 사업에 182억 73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수봉마을, 평화의 섬 연평도에 49억 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사용된 지역개발기금 이자상환을 위해 작년과 같이 62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623쪽 재생콘텐츠과입니다.
인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의 개항장 개인 이동 관광수단 운영사업비 1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우회고가 정비사업에 132억 21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개항창조도시 도시재생사업 및 내항 1ㆍ8부두 항만재개발사업의 내실 있는 지원과 시민참여를 위한 현장지원센터 운영비 3340만원을,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비 3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624쪽입니다.
신포지하공공보도 연장사업비 59억 89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스마트관광 기반조성사업비 1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개항기 건축물의 역사 상징 및 시민 휴식공간 확충을 위한 역사산책공간 조성과 개항장 일원 자원특화사업비 78억 29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상상플랫폼 운영비 10억 9914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내항 공공재생 시민참여위원회 운영비 3485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예수금 원리금 이자상환을 위하여 6억 5000만원을 전년과 동일하게 편성하였습니다.
1626쪽 고속도로재생과입니다.
인천대로 일반화 도로개량공사를 위해 95억 3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도로개량공사와 연계되어 있는 지중화사업에 24억 1700만원을, 공원화사업에 6억 4421만 3000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50년을 돌아온, 사람의 길’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현장지원센터 운영비, 여비 등 기반시설 정비 및 주민 조직 강화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60억 327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627쪽 인천대로 일반화 도로개량사업을 위한 통합관리기금 예수금 원리금 상환에 37억 1447만 1000원을 편성했습니다.
1628쪽 주거재생과입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인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 사업비로 98억 6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사업 수행을 위한 일반운영비 등과 주민공모사업 추진, 안전안심지역 조성사업, 지역상생 및 세대 융복합거점 조성사업, 중앙시장 공영주차장 확충 사업 등을 시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1646쪽에서 1647쪽 계속비 사업조서는 유인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2년도 도시재생녹지국의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계획된 사업들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많은 관심과 협조 부탁드립니다.
우리 국 전 직원은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함은 물론 모든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경청해 주신 고존수 위원장님을 비롯하여 여러 위원님들께 다시 한번 깊은 감사의 말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