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입니다.
인천광역시교육청 소관 2020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에 대한 검토결과를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서 1쪽부터 17쪽까지의 안건개요, 세입ㆍ세출 결산총괄 현황 주요내용에 대해서는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먼저 보고서 18쪽 결산총괄을 말씀드리겠습니다.
2020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최종예산액은 4조 2603억원이며 전년도 이월액 3490억원을 포함하여 예산현액은 4조 6093억원입니다.
세입 결산액은 4조 6107억원, 세출 결산액은 4조 2574억원이며 세계잉여금은 3533억원으로 예산현액 대비 7.6%입니다.
최근 5년간 세입ㆍ세출 결산액은 계속 증가추세였으나 2020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세입 결산액은 전년대비 0.6%인 256억원이 감소하였으며 세출 결산액은 전년대비 0.8%인 341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21쪽 세부검토의견입니다.
먼저 세입부분의 주요사항입니다.
세입재원별로는 결산액 4조 6107억원 중 이전수입은 89.1%인 4조 1078억원이며 자체수입은 1.9%인 899억원, 이월금 등 기타수입은 9%인 4130억원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입비율은 자체수입의 규모는 증가하였으나 이전수입 예산은 감소되어 전년대비 0.6%인 256억원이 감소하였습니다. 자체수입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하여 15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도로개설 등 공익사업에 따른 손실보상 및 유휴부지 매각대금과 기타 유형자산 매각 등 자산매각 수입 35억원과 대여학자금 부담금 잉여액 반환에 따른 금융자산회수 30억 등 일시적인 수입증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북부교육문화센터 및 평생학습관 수강료 수입 감소 등 기관시설물 사용료 및 수수료 18억원이 감소하였고 이자수입도 38억원이 감소하는 등 그 외 자체수입은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따라서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이자수입 증대방안, 체납액 정리방안, 세입금 미수납액 최소화 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안정적으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보고서 24쪽 불납결손액 현황 관련입니다.
불납결손액은 5300만원으로 지난 연도 수업료 2730만원, 과년도 수입 2500만원입니다. 이는 전년도 7500만원 대비 29.3%인 2200만원이 감소한 수치입니다.
2020년도 불납결손액의 감소는 고등학교 2ㆍ3학년 무상교육 실시에 따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음은 보고서 25쪽 미수납액 현황 관련입니다.
2020년도 세입금의 미수납액은 15억 5900만원으로 전년도 미수납액 13억 8300만원보다 12.7%인 1억 7600만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2020년도 일부학교에서 당해 연도 세입금 2억 5750만원 납부지연으로 지난해보다 미수납액이 증가하였는바 당해 연도에 납부된 수업료가 회계연도 내에 교육비특별회계 세입금으로 납부될 수 있도록 교육청 차원의 관리가 필요할 것입니다.
다음은 세출부분 주요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보고서 27쪽입니다.
2020회계연도 최종예산액은 4조 2603억원으로 전년도 이월액 3490억원을 합한 예산현액은 4조 6093억원입니다.
세출 결산액은 4조 2574억원으로 예산현액 대비 92.4%가 집행되어 전년도 집행률 91.2%보다 집행률은 소폭 증가되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29쪽 불용액 관련입니다.
2020회계연도 불용액은 예산현액 4조 6093억원의 1.4%인 634억원으로 전년도 불용액 592억원보다 42억원이 증가하였으며 원인별 내역은 계획변경 및 취소 109억원, 지급사유 미발생 48억원, 집행 잔액 477억원이며 그 중 집행 잔액으로 인한 불용액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본예산 이후 추경 증액이 반영된 사업 중 불용액이 사업예산의 10% 이상 발생한 사업은 총 2건 5억원이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원격수업 실시로 급식인원 및 급식일수 감소에 따른 학교급식운영비 집행 잔액 5억원이 불용되었습니다.
또한 예산현액 대비 불용률 30% 이상인 사업은 16건 26억원으로 북부교육지원청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방학기간 축소로 청천초등학교 냉난방시설개선비 명시이월액 20억원과 부평서중 등 5개 학교의 낙찰차액 및 집행 잔액으로 4억을 불용하였습니다.
예산현액 대비 불용액은 7.7% 증가하였는바 이는 코로나19에 따른 사업취소 및 기관운영경비 불용액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불용액의 75.2%인 477억원이 집행 잔액 발생에 따른 것으로 예산편성 시 보다 철저하고 면밀한 계획을 수립하여 집행 잔액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으며 추가경정예산 편성 시에는 반드시 필요한 곳에 먼저 예산이 지원될 수 있도록 충분한 검토를 통해 불용액을 최소화해야 할 것입니다.
보고서 31쪽 이월액 관련입니다.
지방재정법 제50조에 따라 당해 연도에 집행을 완료하지 못하고 다음 연도로 이월한 사업비는 2885억원으로 예산현액 대비 이월률은 6.2%이며 전년도 대비 17.3%인 605억원이 감소하였습니다.
명시이월액은 104개 사업에 543억원으로 전년도 176개 사업에 1104억원 대비 50.8%인 561억원이 감소하였으며 주요발생사유는 사업추진 기간 부족으로 이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사고이월액은 64개 사업에 총 355억원으로 전년도 75개 사업에 311억원 대비 14.2%인 44억원이 증가하였으며 주요 사유는 방학 중 공사추진, 계약기간 미도래 등의 사유로 이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계속비이월액은 81개 사업에 1987억원으로 전년도 계속비이월액 60개 사업, 2074억원 대비 4.2%인 87억원이 감소하였으나 전체 이월액 대비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계속비이월액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업기간과 연도별 소요액의 정확성이 전제되어야 하는 바 향후 면밀한 계속비 사업 계획 수립으로 계속비이월액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당해 연도 사업비에 대하여는 당해 연도 중 집행이 완료됨이 원칙이나 학교급식실 현대화, 내진보강 등 시설사업비의 경우는 매년 재이월 되고 있습니다.
특히 시설사업비의 경우는 예산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큰바 각종 공사계획부터 설계 및 발주 시 보다 면밀한 계획을 수립하여 당해 연도에 꼭 필요한 예산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하고 명시ㆍ사고이월액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사유를 명확하게 분석하여 이월액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세출 기관별 검토의견입니다.
보고서 42쪽입니다.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는 코로나19의 효과적인 대응과 학교 정상화를 위한 예산으로 1689억원을 편성하여 1626억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세부 집행내역으로는 아동특별돌봄지원사업 313억원, 비대면 학습지원 115억원, 교육재난지원금 319억원, 사립유치원 운영지원 77억원, 방역활동지원 52억원, 학교 무선 환경 구축 241억원 등을 집행하였으며 집행 잔액은 62억원으로 그중 아동특별돌봄지원금 및 비대면 학습지원사업비 16억원은 보건복지부에 반납 예정이며 학급 노후 기자재 교체비용 44억원은 사고이월되어 2021년 3월 집행하였습니다.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관련 예산이 효과적으로 집행되려면 적재적소 필요한 시기와 대상에게 지원되어야 하는 바 아동특별돌봄지원사업과 비대면 학습지원사업의 집행 잔액 반납사유는 지원 대상 인원 감소로 인한 것으로 지원대상자 선정 및 파악 등 산출근거를 면밀히 검토하여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보고서 45쪽입니다.
학생 가정 농산물 꾸러미 지원사업과 교육재난지원금사업은 코로나19 장기화로 학교급식 중단에 따른 가정 내 식사에 대한 학부모 식재료 부담경감과 지역 학교급식 납품업체의 경영위기 극복 및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 사업으로 사업취지는 좋으나 단일 품목인 쌀만 지원하여 학부모 기호도 선택권 제한의 불만과 쌀의 품질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교육재난지원금 지원 사업 운영평가 설문조사 결과 학교급식 꾸러미몰 이용 만족도는 58%로 낮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71%를 차지하는 불만족 사유는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으로 학교급식 꾸러미몰 상품이 예산 대비 품질이 낮기 때문입니다.
향후 무상급식 관련 사업 추진 시 예산의 효과적인 집행을 위해 학부모의 만족도 등이 제고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하여 지원품목과 품질에 대한 관리ㆍ감독이 철저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그 외 세출기관별 검토의견은 본청은 검토보고서 43쪽부터 47쪽, 교육지원청은 48쪽부터 50쪽, 직속기관은 51쪽부터 53쪽, 공공도서관은 54쪽부터 56쪽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보고서 59쪽 성과보고 관련입니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은 122개의 성과목표지표를 정하여 1년간 사업추진을 한 결과 목표 초과달성 11건, 달성 95건, 미달성 16건의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성과목표 달성률은 86.9%로 지난해에 비해 0.4% 감소하였으며 초과달성은 11건으로 동일하고 달성은 10건, 미달성은 2건 증가하였습니다.
성과목표 미달성 내역 중 과학실현대화 구축 지원교 비율의 경우 과학실현대화 지원 학교 수를 30교로 목표값을 설정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추경예산 미확보의 사유로 미달성하였으며,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율과 안전교육 및 민방공 대피훈련 실시율의 경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민방공 대피훈련 미실시, 교내 학교 및 교육감배 스포츠클럽리그 미개최로 인해 미달성된바 향후 시기에 맞는 적정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적인 목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아울러 성과목표 설정을 보면 과학교육 직무연수의 만족도 성과지표의 목표 대비 실적 및 달성률에 있어 2017년도부터 2019년까지 실적평균이 97.6점임에도 불구하고 2020년 목표를 93점으로 하향 설정하였으며 학교 간 협력 꿈두레 공동교육과정 중심학교 운영비율의 경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실적 평균이 45.42%임에도 불구하고 2020년 목표를 42%로 하향 설정하였습니다.
향후 목표설정 시 과거 실적 추이 등을 고려하여 목표를 합리적으로 설정할 필요성이 있는지 검토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 62쪽입니다.
금번 2020회계연도 결산검토를 통해 인천광역시교육청의 재정 상태를 보면 세입 결산액은 전년대비 이전수입과 기타수입이 0.7% 감소하였고 자체수입은 1.7% 증가하여 전체 수납액은 4조 6107억원으로 전년대비 256억원 감소하였습니다.
이전수입이 전체 비중의 89.1%인 4조 1078억원으로 재정의존도가 높은 반면 자체수입은 1.9%인 899억원으로 인천광역시교육청의 재정자립도가 매우 열악한 상황입니다.
2020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총자산은 6조 6919억원으로 전년대비 3301억원이 증가하였고 총 부채는 4173억원으로 전년대비 258억원이 감소하는 등 낮은 재정자립도 상황에서 안정적인 재원확보로 재정안정도는 점차 높아지고 있어 이는 인천광역시교육청의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사료됩니다.
세출 결산액은 전년대비 341억원이 증가한 4조 2574억원이며 2020년 회계연도 불용액은 전년대비 42억원 증가한 634억원, 이월액은 전년대비 605억원 감소한 2885억원으로 많은 규모의 예산이 이월 및 불용되어 실제 필요한 곳에 적기 사용되지 못하였습니다.
특히 매년 시설사업으로 인한 낙찰차액이 발생하여 이월 및 불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바 발생한 낙찰차액 등 불용액은 추가경정예산을 적극 활용하여 필요한 곳에 예산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제한된 교육재정에서 학교신증설 및 시설 증개축, 학교시설 내진보강 등 학교시설개선사업, 무상교육확대, 각종 교육정책사업 등 학생들의 쾌적하고 안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코로나19 등 당면한 현안사업들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내실 있게 집행되었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내부의존도가 높은 취약한 세입구조와 향후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상황변동 등으로 교육재정의 큰 증대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인건비 등 경직성 경비, 건강ㆍ안전ㆍ복지 예산, 노후 교육시설 환경개선 수요 증가 등으로 재정 압박이 가중될 수 있는 만큼 다양한 세입 기반 확충과 한정된 재원의 적새적소 투입, 탄력적이고 적극적인 예산운영으로 이월액 및 불용액을 최소화하여 재정운영의 효율성과 건전성을 도모하는 등 교육재정여건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또한 이번 2020회계연도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여 2022년 본예산 편성 시 개선사항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0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 회계 세입ㆍ세출 결산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