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입니다.
2021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과 2021년도 기금운용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에 대한 검토결과를 일괄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021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검토결과를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서 5쪽입니다.
금번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기정예산액 4조 298억 1600만원 대비 7.5%인 3034억 2200만원을 증액한 4조 3332억 3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021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교육부 보통교부금 추가 교부와 인천시 법정ㆍ비법정 이전수입의 증가, 특별교부금 등 목적지정경비 등 세입재원의 증가분을 반영하였습니다.
보고서 7쪽 세입예산안 총괄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고서 8쪽 중앙정부 이전수입 검토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중앙정부 이전수입 중 보통교부금은 2021년도 보통교부금 확정 교부에 따른 증액과 2020년도 정부 세계잉여금 정산분을 반영하여 기정예산 대비 3.5%인 928억 3400만원이 증액된 2조 7688억 3800만원을 편성하여 총세입 예산액의 63.9%를 차지합니다.
특별교부금은 국가시책 및 지역교육 현안 수요에 따라 기정예산 대비 50.1%인 206억 38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은 초등돌봄교실 시설 확충 등 9개 사업에 기정예산 대비 25.5%인 34억 78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전입금은 2021년 누리과정 유아학비 단가 인상분을 반영하여 152억 8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보고서 14쪽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검토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금회 추경 예산안의 법정 이전수입은 기정예산 대비 8.7%인 620억 90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증액 요인은 2019년 지방교육세 감소보전 정산분, 2020년도 인천시 일반회계 결산 이후 법정전출대상 세수 정산액, 2021년도 인천시 본예산 대비 지방세 추계 증가분과 학교용지 일반회계 부담금의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비법정 이전수입은 다목적강당 증축 대응투자비, 교육환경개선사업 지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등에 기정예산 대비 1.7%인 22억 91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기타 이전수입은 루원시티 도시개발에 따른 한국주택공사 전입금 등의 증액으로 기정예산 대비 19.5%인 67억 51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자체수입은 전년도 목적사업비 집행 이후 정산 잔액과 공무원 학자대여금 잉여액 반환금 등의 증액으로 기정예산 대비 696.9%인 646억 300만원이 증액된 738억 73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이는 총세입 증가액의 21.3%를 차지합니다.
교육비특별회계에서 자체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향후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므로 한정된 가용 재원 내에서 재정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전년도 이월금은 결산 이후 확정된 순세계잉여금과 전년도 보조금 집행잔액으로 기정예산 대비 121.2%인 355억 2900만원이 증액되었으며 전년도 이월금 중 순세계잉여금은 기정예산 대비 112.3%가 증가한바 세입규모 예측도 향상과 순세계잉여금 최소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다음은 세출예산 검토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보고서 23쪽입니다.
정책사업별 세출예산 편성현황은 인적자원운용 등 11개 정책사업에 기정예산 대비 7.5%인 3304억 2200만원이 증액된 4조 3332억 38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정책사업별 증감현황을 보면 예비비 및 기타는 기정예산 대비 403.4%가 증가하여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행정일반은 758억 4900만원이 증액되어 증가액이 가장 많았습니다.
403.4%인 407억 4700만원이 증액된 예비비 및 기타는 회계연도 중 예비비 사용액 보전차원의 일반예비비 24억 8500만원의 증액과 제지출금 383억 1800만원 편성에 따른 것입니다.
국고보조금 등 목적지정 전입금의 집행 잔액과 예금이자인 제지출금은 차년도에 교부기관에 반환하고 있어 실제 불용액임에도 결산 시 불용액 계상이 아닌 차년도 1차 추경 예산안에 기타수입 등의 세입 재원과 제지출금의 세출예산으로 이중 편성되어 추경 예산안 규모 증가의 요인이 되는바 정확한 기준인원 산정과 예산 추계, 지속적인 집행관리를 통해 불용액 최소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교육행정일반은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적립 698억원을 증액하여 가장 많은 증액이 있었습니다. 이는 정부 세계잉여금 일부와 2021년도 인천시 법정전출금을 적립한 것입니다.
보고서 25쪽 기관별 세출예산 편성현황입니다.
본청은 18개 부서에서 기정예산 대비 6.3%인 2305억 7200만원, 5개 교육지원청은 18.7%인 692억 6400만원, 공공도서관 및 직속기관은 1.2%인 35억 8600만원이 증액되어 본청과 교육지원청 중심의 증액 편성이 있는 것으로 검토됩니다.
특히 금회 추경 예산안은 5개 교육지원청 모두 유사한 세출 사업이 증액된바 지원청별로 교육재정이 합리적으로 배분되어 형평성에 맞는 교육재정 수혜가 필요할 것입니다.
5억원 이상 신규 또는 증액편성사업을 보면 특별교부금 등 보조금 예산사업,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감염병 관리예산, 미래학교 교육 및 노후 환경개선사업과 인건비 등 필수 반영 대상사업 중심으로 편성한 것으로 검토됩니다.
다만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방역 핵심사업인 원격학습도우미지원, 학교감염병예방관리 등 일부사업은 본예산에 반영되지 않아 사업추진이 지연된바 담당부서의 적극적이고 내실 있는 사업관리가 필요할 것입니다.
기관별 신규편성 사업 및 성립전예산 사용 현황은 보고서 32쪽에서 37쪽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사업별 검토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보고서 38쪽입니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은 교육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학생을 찾아 긴급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를 마련하고자 온 마을이 돌보는 교육안전망 사업을 신규 편성하여 총사업비는 3억 6600만원입니다.
긴급지원 운영교와 권역별 협의체 운용교 등의 학교회계전출금 편성은 사업 취지와 달리 단위학교의 역할 증가로 업무 부담이 가중될 수 있으므로 신규편성사업의 취지와 계획에 대한 충분한 안내 및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체계구축에 교육청의 적극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이 필요할 것입니다.
보고서 39쪽 원격학습도우미 지원 사업입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원격수업 기간 중 등교학생 학습지원을 위한 원격학습도우미 인건비 23억 35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동 사업은 2020년도 제4회 추경 예산안에 5억 7400만원을 긴급 편성하였으나 2021년도 본예산안에는 관련 예산반영이 없이 금회 추경 예산안에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교육청의 사전준비가 소홀했던 것으로 판단되며 예산안 산출내역의 교당 단가 및 기준 학교수 산정에 대해서는 추가설명이 필요합니다.
보고서 43쪽 기타시설 화장실 개선입니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일선학교의 노후 화장실을 문화와 휴식을 담아 디자인 화장실로 새롭게 개선하고자 금회 추경 예산안에 21개교 208억 7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원도심 지역 또는 특별교부금 교부 대상교 등 15년 이상 경과된 학교 화장실을 디자인 크리에이터 용역과 설계용역을 동시에 진행하여 화장실별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2025년까지 총 735억원의 재정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일선학교의 노후 화장실을 시설 개선적 측면을 넘어 공간혁신 차원의 디자인 화장실을 계획한 사업취지는 충분히 공감하나 금회 추경 예산안에 동 사업 외에 화장실 변기교체 예산이 함께 편성되어 추후 예산의 중복 투자 가능성이 우려되므로 대상교 선정 등 사전에 면밀한 사업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는 추경예산에 반영되는 대규모 시설비 예산이므로 연도말 불용 또는 이월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속도감 있는 사업추진이 요구됩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 46쪽 동아시아교육원 교육동 원격교육시스템 구축입니다.
2021년 3월 1일자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된 동아시아국제교육원은 국제교육, 다국어교육, 동아시아시민교육 업무를 담당하여 금회 추경 예산안에 교육동 원격시스템 구축, 기관 홈페이지 구축, 본관동 보수공사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동아시아국제교육원은 금회 추경에 시설사업비 등을 편성하고 사업예산은 기존 부서에서 예산이체를 통해 확보한 것으로 검토되므로 사업운영계획의 점검 및 면밀한 사업추진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상으로 2021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검토보고를 마치고 이어서 2021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기금운용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에 대한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위원님들께서는 기금운용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 검토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금변경계획안 검토보고서 3쪽입니다.
2021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기금운용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에 따른 2021년도 말 기금조성 총 규모는 기정 기금조성액 662억 7200만원 대비 698억 300만원이 증가한 1360억 7500만원입니다.
재원별 기금조성 현황은 교육비특별회계 전입금은 기정 기금조성액 대비 698억원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2021년도 인천시 추가 법정전출금 342억 2300만원과 정부 세계잉여금 중 일부인 355억 7700만원을 반영한 것입니다.
이자수입은 2021년도 계획안 확정 이후 예치금에 대한 이자 300만원이 발생하여 금회 변경계획안에 300만원을 증액 반영하였습니다.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은 연도간 재원조정을 통해 교육재정을 건전하고 안정적으로 운용할 목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학교신설사업비 등 장기간이 소요되는 시설투자사업 및 각급 학교 교육환경개선사업 등에 지원될 것입니다.
금번 기금운용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의 주요기금 조성내역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된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증액분과 정부 세계잉여금의 일부를 제정집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통합재정안정화기금으로 적립하고자 하는 사항으로 특별한 이견은 없습니다.
이상으로 2021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기금운용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에 대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1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검토보고서
ㆍ2021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기금운용 계획 제1차 변경계획안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