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드리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마을교육지원단장 조선미입니다.
평소 인천교육발전을 위해서 마을교육지원단 정책 추진에 늘 아낌없는 성원을 해주시는 존경하는 임지훈 위원장님 그리고 여러 위원님들께 이 자리를 빌려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1년 마을교육지원단에서는 교육혁신지구 지정ㆍ운영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학교 텃밭 활성화, 학부모 학교 참여 활성화 등에 주요업무를 추진하였습니다.
보고서 77쪽입니다.
교육혁신지구 지정ㆍ운영입니다.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의 협력을 통한 공교육 혁신을 위해서 7개 교육혁신지구를 지정ㆍ운영하였습니다. 3대 중점과제를 선정해서 민ㆍ관ㆍ학 거버넌스, 마을연계교육과정, 마을학교운영지원과 함께 지역특화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연차가 다른 혁신지구의 원활한 업무 추진을 위해서 매월 교육혁신지구 담당자 협의회 및 연수를 정례화하여서 지자체, 교육지원청과 소통하며 업무를 진행하였고, 정책 연구를 수행하여 인천교육혁신지구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중장기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습니다.
또한 학교 밖 배움과 돌봄의 공간인 마을학교 운영자를 대상으로 사전 컨설팅과 역량강화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코로나19 이후에 그 역할이 강화되고 있는 마을학교의 기반을 강화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311개 마을연계교육과정 운영교와 25개 마을연계교육과정 모델학교를 대상으로 워크숍과 컨설팅을 실시해서 내실 있는 마을연계교육을 운영하도록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마을교육자원 목록을 체계화하고 학교에 안내하였습니다.
보고서 80쪽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입니다.
마을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공동체적 관계를 실현하고자 인천문화재단과 함께 마을문화교육 활동가 지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동 단위로 마을교육학습공동체를 구성해서 워크숍과 간담회를 통해 운영 지원함으로써 마을의 교육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조례에 기반한 광역단위 거버넌스인 마을교육공동체추진위원회를 개최하였고 마을교육공동체 알리미 연수 및 워크숍 또 마을교육공동체 포럼 등을 운영하였습니다.
학교와 마을을 연결하는 동 단위 거버넌스 협의회를 지원하며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보고서 83쪽 학교 텃밭 활성화입니다.
학교 텃밭 조성과 연계교육 활성화를 위해서 99개를 선정하였고 학교 텃밭 강사 인력풀 구축과 학교연계 그리고 교육프로그램과 영상제작, 담당자 연수, 마을과 함께하는 학교 텃밭 연계교육을 지원하였습니다.
보고서 85쪽 학교문턱을 낮추는 학부모 학교 참여 활성화입니다.
교육의 주체인 학부모의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올해는 학부모 학교 참여 지원사업을 전체 학교로 확대해서 지원하였습니다.
학부모 자치활동에 기반을 마련하였고 학부모 100인 인천정책지원단을 구성하여 학부모의 자치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부모 간 소통을 위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권역별 간담회, 학교운영위원장 정책토론회를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학부모님들의 수요를 반영한 학부모 꿈디 아카데미는 자녀의 소통, 진로, 학부모 마음 챙김 등 학부모들이 공감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였습니다.
2022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보고서 311쪽 2022년 교육혁신지구 운영계획입니다.
’22년도에는 민ㆍ관ㆍ학 거버넌스를 통해서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을 더욱더 내실 있게 연계하고 교육역량 및 물적 자원을 통해서 학교와 마을을 연계한 마을교육과정을 더욱더 체계적으로 구현하고자 합니다.
또한 마을에서 배움과 돌봄이 이루어지도록 학교 밖 학교인 마을학교를 더욱 확대하여 인천교육 회복사업과 함께 하고자 합니다.
312쪽 마을교육공동체 운영계획입니다.
마을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공동체적 관계가 실현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강화하고 마을과 학교의 협력을 통한 교육주민자치를 실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13쪽 학교 텃밭 활성화를 위해서 마을과 함께 하는 생태시민교육을 내실화할 수 있도록 학교 텃밭 조성교를 더욱 확대하고 마을과 함께하는 텃밭 연계교육 지원을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314쪽 학부모 학교 참여입니다.
학부모 자치활동을 위해서 대상별 연수와 컨설팅을 운영하고 교육공동체 소통을 위한 학부모 커뮤니티실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또한 학부모의 자녀양육을 위한 역량 또 자녀와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학부모 아카데미를 구성 운영하여서 더욱더 학부모가 공감하고 함께 성장하는 학부모 교육을 운영하겠습니다.
433쪽 2020년도 지적사항 및 처리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마을교육 지원 사업을 통해 학생들이 공동체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사업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라는 지적사항에 대하여 7개 교육혁신지구, 마을연계교육과정 및 모델학교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갖고 민주시민으로서 공동체성을 함양하도록 지원을 강화하였습니다.
다시 한번 인천교육발전을 위해서 아낌없는 성원을 해 주시는 존경하는 임지훈 위원장님 그리고 여러 위원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상으로 마을교육지원단 주요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마을교육지원단 주요업무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