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정책기획조정관 유석형입니다.
‘학생성공시대를 여는 인천교육’을 위하여 변함없는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시는 존경하는 신충식 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먼저 제안설명에 앞서 2023년 본예산안은 안전에 안심을 더하는 책임교육과 꿈을 디자인하는 진로ㆍ진학ㆍ직업교육, 미래를 여는 디지털ㆍ생태교육, 함께 성장하는 포용교육, 세계를 품은 인천교육 등 5대 공약 정책을 마련하여 교육회복에 집중 지원하고 우리 아이들에게 꿈이 자랄 수 있게 하고 각자의 결대로 성장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미래로 도약하기 위한 교육여건 구축 등 교육가족의 노력과 의지를 담았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2023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제안설명은 예산안 개요를 중심으로 주요 중점사항을 일괄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도 예산안 개요 1쪽입니다.
먼저 세입예산 중 이전수입은 5조 1885억원으로 보통교부금 3조 8368억원, 특별교부금 747억원, 증액교부금 594억원, 국고보조금 258억원,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 전입금 2102억원 등 중앙정부 이전수입은 전년보다 7104억원이 증가한 4조 2069억원으로 우리 교육청 세입예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은 지난해보다 379억원이 증가한 9692억원으로 법정 이전수입 8403억원, 비법정 이전수입은 1289억원입니다.
기타 이전수입에 있어서는 검단 신도시 내 검단2고 학교 신설비 76억원을 포함한 민간이전수입 94억원, 자치단체간 이전수입 30억원이 반영된 124억원입니다.
자체수입은 교수학습활동 수입 및 행정활동수입, 이자수입 등의 증가로 전년 대비 89억원이 증가한 205억원이며 기타 부분에는 순세계잉여금 460억원과 금융자산 회수금 37억원입니다.
내부거래는 학교 노후환경개선 등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 955억원을 담음으로써 2023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규모는 지난해보다 5571억원이 증액된 5조 3541억원입니다.
다음은 세출예산 주요 편성 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2쪽입니다.
인건비를 제외한 인적자원 운용에 교원 및 지방공무원 연수 운영비 46억원과 교직원 인사, 교직원 복지비 122억, 총 168억원입니다.
교수학습활동 지원에는 전년 대비 1812억원을 증액하여 5762억원을 담았습니다.
먼저 교수학습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1586억원을 편성하여 지원할 계획으로 일반계고ㆍ직업계고 고교학점제 운영 87억원, 교과교실제 운영지원 63억원 등 928억원을 투입하고, 특색교육과정 운영으로 직업계고 재구조화 및 공간혁신 등으로 520억원, 교육과정운영 여건개선은 교과교실제 시설비 지원 등으로 136억원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학력신장 및 평가를 위해 교실수업개선 80억원, 학력향상 지원 및 평가 446억원 등 526억원을 학력신장 및 평가에 지원할 예정입니다.
유아교육은 총 627억원으로 유아교육운영 74억원, 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 73억원, 사립유치원 지원에는 2022년부터 실시 중인 사립유치원 만 5세 무상교육비 외국국적지원금 포함 251억원 등 480억원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3쪽입니다.
특수교육 부분에는 특수교육 운영으로 장애학생 지원 인력 인건비 지원 등 97억원, 특수교육 복지로 특수교육 치료비 지원 등 142억원, 특수교육 여건개선으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설치비 등 32억원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직업교육 부분에는 직업계고 현장실습 지원, 직업교육 혁신지구 운영 등 113억원, 학교 정보화를 위해 코딩교육 전면화를 위한 초4부터 고3 학생 노트북 단계적 보급 1029억원, 지능형 과학실 사업 지원 85억원 등 1335억원을 지원하며 디지털 교육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또한 특별활동 지원으로 학교 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을 위해 문화예술교육활동 100억원, 각종 학생 선수 체육활동 지원 151억원, 학생 또래활동 등 학생 단체활동 80억원을 편성하고 학생생활지도에는 604억원을 담았습니다.
이에는 학생생활지도 지원, 성폭력 예방교육 등 학교폭력 예방 및 교육으로 92억원, 학생상담활동으로 초6, 중2, 고2 수학여행비 또는 현장체험학습비 사업에 415억원 등 463억원, 학생안전관리로 안전체험관 운영, 체험학습 등 지원과 인천시ㆍ군ㆍ구ㆍ경찰청 연계학교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 등 49억원입니다.
그리고 학생 진로ㆍ진학을 위한 교육비 114억원 등 교수학습 활동비에 반영했습니다.
다음은 4쪽입니다.
교육복지사업에서는 저소득층 자녀 교육비 및 교육급여 지원 등 학비 지원에 169억원, 방과후 학교 및 돌봄교실 운영 244억원, 공ㆍ사립유치원 누리과정 지원 2103억원 등 총 3390억원을 반영하여 동등한 출발선과 누구나 차별 없는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계속해서 4쪽 하단입니다.
보건ㆍ급식 부분에 학교보건관리로 학교방역인력 인건비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물품 지원과 감염병 안심학교 운영 등에 199억원, 실내체육시설 청소, 교실공기측정 등 학교환경위생관리 93억원, 중대재해예방안전보건 확보 등 산업안전 보건관리로 32억원을 편성했으며 또한 급식관리로 3058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학생 무상급식비 2241억원, 후드 청소비 17억원 등 학교급식운영으로 2263억원, 급식소 증축 등 795억원을 투입하여 쾌적한 급식실 환경과 모든 아이들에게 양질의 급식을 제공할 것입니다.
5쪽입니다.
학교재정지원관리 부분은 5374억원으로 학교운영에 필요한 초ㆍ중ㆍ고 공립 학교기본운영비 3090억원과 사립학교 인건비 및 사립학교 운영비 재정결함 2284억원을 지원하고, 학교시설여건개선사업은 전년 대비 1641억원이 증액된 7905억원을 담았습니다.
학생배치를 위해 검단3초 등 학교 신ㆍ증설비 1930억원, 그린스마트스쿨 미래학교 699억원, 화장실 개선 270억원, 냉난방 시설개선, 내진보강 등 기타 교육환경개선사업에 5006억원 총 5975억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계속해서 평생교육에는 151억원으로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지원 및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등 평생교육 관련 운영비 103억원과 독서문화 예산 48억원을 반영했습니다.
계속해서 5쪽부터 7쪽입니다.
교육행정일반에는 63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여기에는 일반시민 등과 소통ㆍ공감의 정책기획 및 비상계획 등 107억원, 4세대 지능형 나이스 구축,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운영비 등 203억원, 학부모 및 주민참여 확대 등 교육협력 사업비 77억원, 특별교육재정수요경비 45억원입니다.
이어서 7쪽입니다.
기관운영으로는 본청과 교육지원청, 직속기관의 청사 환경개선과 부서 운영에 필요한 기본운영비 175억원, 동아시아국제교육원 보수공사 및 냉난방 개선 65억원, 학생교육원 숙박체험 교육지원 시설 39억원, 연수도서관 냉난방 개선 및 보존서고 구축비 15억원 등 교육행정기관 시설비에 144억원을 반영했으며, 재무활동에 BTL교 원금 상환 및 운영비로 민간투자사업 상환비 462억원과 149억원은 예비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끝으로 우리 교육청 재정의 48%를 차지하고 있는 인건비 예산은 전년 대비 1438억원이 상승한 2조 5847억원으로 공무원 인건비 2조 465억원과 근로자 인건비 5382억원입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2023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개요와 세입ㆍ세출 예산안 및 세세부사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2023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기금운용계획안 1쪽입니다.
금번 기금운용계획 대상 기금은 통합재정안정화기금과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입니다.
2023년도말 조성액 규모는 2022년도말 조성액 규모인 1조 2809억원보다 731억원이 감액된 1조 2078억원입니다.
수입계획은 예치금 이자수입으로 통합재정안정화기금 163억원,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 60억원 등 223억월을 증액하였으며, 지출계획은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인 955억원을 2023년 교특 본예산 내부거래로 전출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우리 교육청은 존경하는 신충식 위원장님과 여러 위원님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함은 물론 인천교육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위원님들의 넓으신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립니다.
2023년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과 2023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