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입니다.
’22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서 1쪽부터 52쪽까지 안건개요, 세입ㆍ세출 결산 주요내용에 대해서는 검토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고서 53쪽 결산 총괄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2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현액은 6조 1669억원으로 전년 대비 1조 1025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세입 결산액은 6조 1717억원이며 세출 결산액은 5조 8980억원입니다.
세입 결산액에서 세출 결산액을 공제한 세계잉여금은 2736억원이며 이 중 이월금은 2031억원으로 전년 대비 963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최근 5년간 세입 결산액은 2020년을 제외하고 증가해 왔으며 세출 결산액은 꾸준히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57쪽 세부 검토 의견입니다.
먼저 세입 주요사항입니다.
세입 재원별 결산 현황은 세입 결산액 6조 1717억원 중 이전수입은 5조 6194억원으로 전년 대비 1조 802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자체수입은 469억원, 전년도 이월금 등 기타는 1653억원이며 내부거래는 3400억원입니다.
보고서 59쪽입니다.
자세수입 세입 결산액은 469억원으로 총세입 결산액의 0.8%를 차지합니다. 자체수입은 예산현액 대비 14억원이 초과 수납되었고, 징수결정액 대비 22억원이 초과 수납되었습니다.
이는 자체수입 중 자산수입은 전년 대비 92.47%가 감소하였으나 이자수입이 447.33%가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60쪽 불납결손액 현황입니다.
’22년도 불납결손액은 1072만원으로 전년 대비 2175만원이 감소하였으나 ’22년도 불납결손 현황에서 불납결손액 발생 사유가 모두 시효완성으로 소멸시효 완성에 따른 면책 사례를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보고서 61쪽 미수납액 현황 관련입니다.
’22년도 세입금 미수납액은 22억 3000만원으로 징수결정액 대비 0.04%의 미수납이 발생하였으며 미수납률은 전년과 동일합니다.
미수납액 22억 3000만원 중 지난연도 수입이 20억 7600만원으로 미수납액이 누적되고 있어 미수납률 개선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62쪽 세출 세부 검토 의견입니다.
’22회계연도 예산현액은 6조 1669억원이며 세출 결산액은 5조 8980억원으로 예산현액 대비 95.6%가 집행되어 전년도 집행률보다 1.4%p 감소하였습니다.
보고서 62쪽 정책사업별 결산내역입니다.
정책사업별 세출결산 비중은 인건비 41.4%, 재무활동 19.8%, 학교재정지원관리 9.3%, 교수학습활동지원 8.4%, 학교시설여건개선 8%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출결산 증가폭이 가장 큰 정책사업은 재무활동으로 전년 대비 555.6%가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기금 전출금의 예산편성 정책사업 변경에 따른 것으로 ’21년도의 경우 기금 전출금을 교육행정일반에 편성하였고 이후 교육부 예산과목 체계 개편에 따라 ’22년도에는 신설된 재무활동에 편성하였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64쪽 불용액입니다.
’22회계연도 불용액은 644억원으로 전년 대비 188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불용액 원인별 내역을 보면 지출잔액은 전년 대비 36억원이 감소한 반면 낙찰차액이 전년 대비 167억원이 증가하는 등 대부분의 항목이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21회계연도부터 시ㆍ도교육청 결산 작성 통합 기준에서 집행잔액 원인별 내역이 4개 항목에서 6개 항목으로 세분화됨에 따라 불용액 원인별 내역을 면밀히 분석하여 불용액을 최소화해야 할 것입니다.
보고서 65쪽 다음연도 이월현황입니다.
’22회계연도의 다음연도 이월액은 2031억원으로 전년 대비 963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명시이월의 대부분은 교육지원청에서 추진하는 각급학교 냉난방시설개선, 화장실개선 등 학교시설개선사업이며 동계방학공사 추진, 하반기 교부 특교의 3회 추경 편성 등과 같은 사유로 이월되었습니다.
사고이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본청에서 추진하는 학생 노트북 및 충전 보관함 보급 사업으로 계약금의 80%를 선금으로 지출하고 나머지 20%인 169억원을 사고이월하였습니다.
계속비 이월은 학교 증개축사업, 그린스마트미래학교, 학교시설개선사업 등 사업의 연차적 추진에 따른 것입니다.
명시ㆍ사고ㆍ계속비 이월액 모두 전년도에 비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예산이 당해연도에 적정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이월사업의 이월액, 이월사유 등을 명확히 파악하고 적절히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보고서 67쪽 예산의 전용입니다.
예산의 전용은 지방재정법 제49조에 따라 각 정책사업 내 예산액 범위에서 각 단위사업 또는 목의 금액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22회계연도에는 26건, 7억원을 전용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67쪽 예비비 지출입니다.
’22회계연도 예비비 지출은 5건으로 69억원을 사용 결정하여 62억원을 사용하였습니다.
주요 지출사유는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자가검사키트 구입과 검사키트 소분과 배분을 위한 단기근로자 인건비 등으로 예비비 사용 결정 및 집행은 타당하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예비비로 충당한 사업에서 집행잔액이 발생하면 다시 예비비로 환원할 수 없어 불용액이 되므로 예비비 신청 시 예산소요액을 면밀히 검토하여 신청해야 할 것입니다.
보고서 69쪽 기금 결산입니다.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의 수입ㆍ지출 결산액은 1조 551억원으로 수입 결산 내역은 예금이자수입 15억원, 예치금 회수 3551억원, 교특 전입금 6985억원입니다. 지출 결산 내역은 예치금 8256억원, 교특 전출금 2295억원입니다. 6985억원의 기금을 적립하고 다시 교특회계에 2295억원을 전출한 것은 결산 시 발생한 잉여금을 일시적으로 기금에 편입한 것으로 이러한 사례는 지양하고 기금 조성 및 운용 취지에 맞춰 운용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72쪽 주요 세출사업 결산 중 학교정보화여건개선 관련입니다.
학교정보화여건개선 사업의 예산현액은 1185억원으로 798억원을 집행하였고 불용액은 197억원입니다.
불용액은 ’23학년도 학생 노트북 및 충전보관함 계약체결 시 발생한 낙찰차액이며 연도말 계약 추진으로 인해 집행잔액을 정리추경 재원으로 반영하지 못해 발생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향후 업무 추진 시 불용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계약의 추진 시기를 조정하여 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성인지 결산 및 성과보고서는 보고서 73쪽부터 79쪽까지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검토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2회계연도 인천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