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환경녹지국 소관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예산서를 중심으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총괄현황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총 1,281억 1,620만원으로 2017년 대비 177억 5,572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2017년 대비 431억 4,112만원이 증액된 총 2,824억 7,81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 증감내역은 부서별 예산, 사업명세서 설명 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예산안 101쪽부터 116쪽까지 세입예산 편성내역을 부서별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보고서 101쪽 녹색기후과입니다.
세입예산은 8억 7,5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억 5,7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 등 국고보조금 증액이 되었습니다.
환경정책과 예산입니다.
(김정헌 위원장, 박병만 부위원장과 사회교대)
세입예산은 총 43억 1,060만원으로 전년보다 6,500만원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환경개선부담금 수입 감소, 생물다양성 관리계약 등 일부 국고보조금 감소에 따른 감액이 있습니다.
녹색구매지원센터 설치ㆍ운영 등은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대기보전과입니다.
세입예산은 총 344억 1,294만원으로 전년 대비 186억 6,794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보급사업과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등 국고보조금 확대에 따른 증액입니다.
102쪽 자원순환과입니다.
전년 대비 33억 6,124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자원환경센터 폐기물 반입수수료와 남부권 생활자원회수센터 반입수수료 증액이 되겠습니다.
104쪽 재활용 동네마당 설치 지원 및 수도권매립지 3-1공구 조성사업 등 국고보조금 22억 9,67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104쪽 수질환경과입니다.
세입예산은 108억 2,716만원으로 전년 대비 45억 8,814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지방하천 정비사업, 소하천 정비사업,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 등 국고보조금 사업비 조정에 따른 감액이 되겠습니다.
이어 하수과입니다.
세입예산은 198억 3,85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억 1,100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105쪽 주요내역은 강화 온수, 옹진 내리 하수처리장 및 하수관거사업 등의 준공 예정에 따라 국고보조금이 조정됨에 따라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106쪽 공원녹지과입니다.
세입예산은 94억 9,021만원으로 중앙공원 소생태계 조성 환경부 국비와 각종 산림사업 산림청 국비 증액으로 국고보조금 등 13억 8,49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107쪽 공원녹지과 편성내역은 예산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14쪽 하단 인천대공원사업소입니다.
세입예산은 32억 764만원으로 도시공원 점용료, 목재문화체험장 체험수수료 등의 운영수입이 증가하였으나 시설관리공단 위탁사업 수입 감소로 기정예산 대비 8,020만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월미공원사업소입니다.
월미공원 세입예산은 3억 4,569만원으로 월미공원 간이매점 및 청솔공원 청학풀장 임대료 등 2,469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 계양공원사업소입니다.
세입예산 1,193만원으로 훼손지 복구사업 손실보상금 2억원 감액 등 공유재산 무단점유 변상금 426만원 증액 등으로 기정예산 대비 1억 9,573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이어서 세출예산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녹색기후과입니다.
667쪽입니다.
예산은 49억 4,007만원으로 2017년 대비 10억 4,795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주요 편성내역은 기후변화 관련 국제협력을 위한 IPCC 총회 개최에 따른 부담금 3억원과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등 지원협력을 위한 사무관리비 3억 7,7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671쪽 국비 지원사업으로 선정된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프로그램 설치비 3억 2,000만원과 672쪽 기후변화적응 쿨링포그 시스템설치사업 2억 5,0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환경정책과 예산입니다.
673쪽 예산액은 75억 9,594만원으로 전년 대비 11억 2,729만원을 감액하였는 바 환경캠페인 등 시민 환경의식 고취를 위한 2018년 에코-프랜들리 인천 사업에 1,5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으며 국고보조금 1억원을 신규 확보한 녹색구매지원센터 설치 등 운영사업에 증액을 하였습니다.
674쪽 환경개선부담금 및 배출부과금 징수교부금은 세입 감소 등으로 인해서 2억 1,126만원 감액된 28억 2,600만원으로, 지속가능발전 개념 확산을 위한 UNOSD 운영부담금 12억을 편성하였습니다.
675쪽 도심의 식물과 동물을 찾고 조사함으로써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바이오블리츠(BioBlits) 생물다양성 탐사행사에 5,0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부상당한 야생동물 구조 및 치료비 지원에 전년 대비 1,400만원을 감액한 2,000만원, 야생동물 피해예방시설 설치비 지원에 1억 8,7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76쪽 백령ㆍ대청 섬 지역의 지질, 역사, 자연자원의 종합적 관광 브랜드화를 위한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사업을 위해 5억 8,59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77쪽 연수구 동춘 근린공원에 생태놀이마당, 놀이기구 정비 등 생태놀이터 조성사업에 3억 2,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78쪽 석면으로 인한 건강피해자 및 유족에게 구제급여를 하는 석면피해 구제급여는 전년과 동일하게 편성하였습니다.
679쪽 인천시 향후 5년간 유해화학물질사고 예방과 안전대응대책 마련을 위한 화학물질 안전관리계획 수립 용역비 1억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681쪽 대기보전과 예산입니다.
예산액은 670억 7,984만원으로 2017년 대비 371억 7,486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보급사업 1억 2,600만원을 증액하였고 산업용 저녹스 보급사업비 및 굴뚝 자동측정기 설치ㆍ운영 관리비는 국고보조금 조정사항을 반영하였습니다.
682쪽 시민 체감환경개선을 위한 도로먼지 제거차량 확대보급 23억 4,000만원, 나대지 발생먼지 및 취약지역 도로먼지 청소를 위한 90억을 편성하였습니다.
683쪽 악취개선 사업비는 보조금 지원 및 무인 악취포집기 구입 등 전년과 동일한 2억 2,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84쪽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특정경유차 운행제한 단속시스템 구축 및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은 국고보조금 확대 지원으로 366억 8,2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685쪽 노후 어린이 통학차량 LPG차 전환지원 사업에 5억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686쪽 산업단지의 원활한 단속행정 지원을 위해 8,336만원을 편성하였고 687쪽 산업단지 민간 자율환경감시단 활동지원비는 전년도와 동일하게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689쪽 자원순환과 예산입니다.
세출예산은 전년 대비 58억 3,774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폐기물 감량 및 직매립 제로화 추진을 위한 사업에 증액이 있습니다.
다음은 691쪽 재활용 동네마당 설치지원사업 1억 3,200만원, 남부권 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 9억 5,404만원을 증액하였고 송도ㆍ청라 광역폐기물 처리시설 운영비 32억 142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693쪽 수도권매립지 3-1공구 기반시설 조성사업비 22억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송도 자원환경센터 건설 25억원과 이자 1억 1,5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701쪽 하수과예산입니다.
세출예산은 전년 대비 27억 9,308만원을 증액한 409억 2,19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02쪽 온수, 외포, 내리, 가좌하수처리시설 사업에 52억 1,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03쪽 농어촌마을 하수도 정비사업은 전년 대비 52억원을 증액한 141억 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04쪽 주요 마을하수도 정비사업 내역으로 교동에 12억 9,900만원, 주문리에 3억 1,700만원, 내가리에 10억 4,100만원, 상방리에 71억 2,000만원을 세웠습니다.
705쪽 석모도에 3억 6,400만원, 선재리에 11억 5,600만원, 서내리에 3억 7,800만원, 장봉도에 2억 6,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06쪽 분뇨처리기반 확충사업으로 31억 8,229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707쪽 2018년도 신규 국보조고사업으로 가좌분뇨처리시설 악취개선 사업비를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08쪽 공원녹지과 예산입니다.
세출예산액은 473억 8,628만원으로 전년도 대비 43억 4,339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주요 사유로는 중앙공원 도시소생태계사업, 산림재해 일자리사업, 명상 숲 조성 등 국비사업량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709쪽 중앙공원 도시소생태계사업으로 4억원을, 민간부문 녹화사업에 2억 8,29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0쪽 산림재해 예방복구를 위해 사방사업 타당성 평가와 사방댐 관리사업에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711쪽 사방댐 지원으로 2억 2,750만원, 계류보전에 7억 527만원, 산지사방시설에 4억 4,22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2쪽 산림재해일자리 사업과 산림예방 전문 진화대 예산으로 8억 8,47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3쪽 산불예방 진화를 위해 1억 9,778만원, 714쪽 임도시설 구조개량 지원에 1억 11만원, 715쪽 임도신설에 2억 2,857만원과 716쪽 큰나무조림 사업에 3억 4,126만원, 지역특화조림에 3억 2,71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7쪽 다양한 산림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 산림도우미 사업에도 3억 3,44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8쪽 목재산업시설 현대화사업에 12억, 719쪽 산림병충해 예찰단사업에 1억 640만원, 720쪽 일반병충해 방제사업에 8억 9,49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1쪽 생활권 수목진료 지원사업에도 2,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2쪽 임업기계장비 보급에 1억 2,000만원, 숲길 조성에 2억 5,0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3쪽 숲길조성사업에 12억 6,620만원, 지자체 도시 숲 조성사업에 16억 3,500만원, 시민편익시설 설치에 9억 4,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4쪽 유아 숲 체험원 조성관리에 4,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5쪽 예수금 원리상환과 전출금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인천대공원사업소 소관 예산입니다.
834쪽부터 846쪽까지입니다.
먼저 834쪽 전년도 대비 21억 7,723만원을 증액하여 총 175억 1,76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공원 조경관리에 7억 9,217만원, 동물원 운영관리에 3억 6,722만원, 835쪽 시설유지관리에 32억 3,057만원을 편성하였으며 836쪽 인천대공원 상수도관 증설공사, 인천대공원 무장애길, 개울숲 화장실 신축공사 등에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837쪽 수목원 운영관리에 12억 86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38쪽 환경미래관 운영에 3억 1,41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39쪽 목재문화체험장 운영에 4억 61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41쪽 소래습지생태공원 유지관리에도 3억 5,41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42쪽 직원 인력운영비에 50억 273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845쪽 행정운영 기본경비에 3억 2,54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월미공원사업소 소관 예산입니다.
847쪽부터 854쪽까지입니다.
예산액은 전년도 대비 2억 2,213만원 증액된 55억 6,378만원입니다.
주요 증액사유로는 기간제근로자 인건비 상승분과 관할공원의 시민 편의시설 확충 추진이 되겠습니다.
먼저 847쪽입니다.
생활임금 상승분을 반영하여 기간제근로자 인건비를 3억 4,876만원 편성하였으며 848쪽 사회적 약자 공원이용 편의시설 향상을 위한 월미공원 둘레길 휴게공간 조성에 7,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50쪽 아울러 쾌적한 공원환경 관리를 위한 시설관리공단 위탁대행금으로 7,98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51쪽 문학공원 산책로 정비공사에 7,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52쪽 인력운영비와 853쪽부터 854쪽까지 부서운영비는 예산안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855쪽 계양공원사업소 예산입니다.
예산액 55억 2,252만원으로 전년도보다 7억 9,56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으로는 인천시 생활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상분을 반영하였습니다.
856쪽 양묘 포지 정비사업비 6,000만원을 감액하고 트랙터 등 노후화에 따른 자산 및 물품취득비를 전년도 대비 3,554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857쪽 치유의 숲 운영 인건비, 일반운영비 등 2억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858쪽 인력운영비, 859쪽 무기계약근로자보수, 860쪽 부서운영비, 861쪽 업무추진비등은 예산안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18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고 이어서 2018년도 재난안전 특별회계,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 수질개선 특별회계, 검단폐수종말처리시설 특별회계,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재난안전 특별회계입니다.
1018쪽 지방하천 유지관리비로 16억 200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다음 인천광역시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입니다.
1188쪽입니다.
세입예산은 전년도 대비 527억 822만원을 증액한 2,115억 1,60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내역은 경인아라뱃길 조성 보상금 등 일반부담금과 공공예금이자 및 순세계잉여금 그리고 예탁금 이자수입이 되겠습니다.
1189쪽 세출예산은 2,115억 1,60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편성내역으로는 1191쪽 검단5동 행정복지센터 신축에 52억 2,300만원, 1192쪽 검암노인복지관 건립에 10억, 1193쪽 마전도서관 건립에 41억 8,000만원, 청라복합문화센터 건립에 75억원, 1194쪽 북청라대교 교량하부 체육시설 설치에 39억 3,600만원, 95쪽 도로망 확충 등 도로과 사업에 41억 7,600만원, 1196쪽 사월마을 건강영향조사 등 지자체부담금 7,200만원, 1197쪽 대기질 환경관리사업에 13억 4,000만원, 1198쪽 수도권매립지 주변환경 개선 및 주민편익사업에 55억 9,54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문화공원 조성사업 등 예탁금으로 411억 6,059만원을 편성하였고 1,316억 7,405만원은 예비비로 편성하였습니다마는 조례안을 저희가 철회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수질개선 특별회계입니다.
1214쪽입니다.
세입예산은 총 58억 2,165만원으로 전년도 예산액 대비 16억 4,207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세입예산은 한강수계 상수원 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운영되는 한강수계관리기금 지원사업비와 순세계잉여금을 반영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1216쪽 세출예산입니다.
예산액은 총 58억 2,165만원으로 기정액 대비 16억 4,207만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상하류 협력 지원사업이 2018년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사업으로 선정되어 상수도사업본부의 전출금으로 편성해서 감액되었습니다.
1217쪽 오염총량관리 2단계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1억 5,400만원과 예비비 9,632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검단폐수종말처리시설 특별회계입니다.
1226쪽입니다.
세입예산은 33억 238만원으로 전년도 예산 대비 29억 7,238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이는 시설재투자적립금 징수예상액과 운영관리비, 순세계잉여금을 신규 반영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입니다.
1228쪽입니다.
예산액은 총 33억 238만원이며 운영관리비로 24억 9,293만원을, 예비비 7억 5,94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입니다.
1416쪽입니다.
세입예산은 일반회계 전입금 118억 3,919만원으로 예수금 수입으로 411억 6,059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432쪽 세출예산입니다.
공원녹지과 총 예산은 529억 9,978만원으로 일몰제 대비 장기미집행 공원조성을 위해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1433쪽 14개 시 사업에 492억 2,201만원, 7개 군ㆍ구 지원사업에 29억 1,800만원 1433쪽 예수금 이자상환 8억 5,97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러나 공원녹지과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중 수도권매립지 특별회계 예수금 수입 편성이 불가함으로 장기미집행공원 조성사업 중 시급한 사업에 대하여는 공원녹지과 일반회계에서의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전출금의 증액 편성이 불가피한 실정에 있습니다.
이상으로 환경녹지국 소관 2018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제안설명을 마치며 2018년도 본예산 편성방향은 어려운 시 재정여건 속에서도 환경주권 향상과 생활환경 개선에 역점을 두고 국비매칭 사업과 당면 현안사업 추진을 위한 최선의 예산이 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예산안이 수정가결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