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쨌든 그렇게 해서 인천시 부담은 기본적으로 없는 걸로 공사비에 대해서 가닥을 잡고 있고.
이게 지금 우리 손실보전금 부담 동의안의 주요내용에 보면 영종ㆍ청라라고 해서 이렇게 단정지어서 오는 것은 전 이건 문제가 있다고 보는 거예요. 여기 영종도 위원님도 계시고 청라 쪽 위원님도 계시고 하지만 이게 기존의 아파트를 지어서 다리를 놓자고 하는 건 기부채납 개념인 거예요, 기부채납. 도로를 놓는 거잖아요, 그렇지요?
그러면 일반도시에서도 우리가 집을 지으려면 기부채납을 해요, 그래야 허가가 나니까. 그건 하고 나면 아무나 다 다닐 수 있는 거예요, 그 사람들만 다니는 게 아니라.
어쨌든 간에 다리를 양쪽으로 지을 때 비용을 5,000억을 받은 거잖아요. 이건 영종ㆍ청라의 문제라고 표현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거예요. 인천시민에 대한 문제로 보는 게 맞다, 기부채납을 했기 때문에.
또한 이런 손실보전금이 생겼을 때 어쨌든 간에 보전을 하는 방법이 우리 시의 돈으로 하는 거잖아요. 시민 전체의 돈으로 하는 거라는 말이지요. 그러니까 이게 영종ㆍ청라라고 하는 것은 또 다른 민ㆍ민 갈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거예요. 이런 표현은 안 했으면 좋겠다는 거예요.
거기 지역주민들을 생각하는 것 물론 맞지요. 그런데 기부채납 개념으로 보면 인천시 전체를 보는 거예요. 영종ㆍ청라주민들이 무료가 아니라 인천시민이 무료로 나오든 아니면 최소 유지비가 인천시민 전체가 그 다리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800원이 됐든 1,000원이 됐든 이런 내용들이 나와 줘야지 영종ㆍ청라로 나오는 건 문제가 있는 거라니까요, 차장님.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해서 제3연륙교가 있어야 된다는 필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보다도 더 느끼고 있고 다만 손실보전금 문제를 얘기를 할 때 영종ㆍ청라의 문제가 아니라 인천 문제로 얘기를 해야지 영종ㆍ청라 문제라는 건 또 다른 민ㆍ민 갈등 때문에 거기 290만 대 10만 싸움을 또 해야 되는 거예요.
그러면 거꾸로 영종ㆍ청라주민들만 1,000원 내고 인천시민들은 2,000원 내라 그건 못 하는 거예요. 이런 갈등의 요지가 있으니 이 문제는 인천시민에 대한 얘기로 나와 주든가 보전금이 나올 때 인천시민 전체를 가지고 하는 게 맞다.
그러면 다시 말씀드려서 아까 전에 말씀드린 대로 다른 도로들을 봤을 때 기부채납한 데를 기부채납한 사람들만 무료로 다니고 나머지는 그냥 다니나요? 다 똑같이 다니잖아요. 기부채납 개념으로 보는 게 맞다는 거예요.
왜! 그때 도시를 설계할 때 그렇게 해서 돈을 내라고 했고 기부채납을 한 거잖아요. 그렇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