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iH사장 이승우입니다.
제9대 인천광역시의회 개원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첫 건설교통위원회 구성 후 iH의 주요업무보고를 드리게 됨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보고에 앞서 iH 주요간부를 소개하겠습니다.
윤병석 상임감사입니다.
서경호 자산관리본부장입니다.
임영호 경영본부장입니다.
서강원 주거사업본부장입니다.
박형균 재생사업본부장입니다.
정철희 스마트도시사업본부장입니다.
(간부 인사)
존경하는 위원장님과 위원님들의 관심과 지도편달, 많은 협조를 부탁드리며 iH 주요업무를 보고드리겠니다.
3쪽입니다.
연혁ㆍ설립목적 및 사업범위입니다.
iH는 2003년도 5월 24일 설립되어 금년 창립 19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설립목적은 도시개발사업을 통한 시민 삶의 질 향상 및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입니다.
주요사업 범위로는 주택 및 일반건축물의 취득, 건설, 분양, 임대, 관리사업과 토지의 취득, 개발 및 분양사업, 주택재개발, 도시환경정비 및 주거환경개선 등 도시재생사업 관련입니다.
작년 11월 시의회 조례개정으로 일반산업단지 및 국가산업단지 대개조사업과 도심 항공 모빌리티 운송수단 관련 사업이 추가되어 인천형 미래선도 산업단지 구현과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육성 등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4쪽 조직 및 인력입니다.
iH는 금년 1월 마케팅 및 금융사업 강화를 위한 자산관리본부를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을 실행하였으며 현재 1감사 5본부 1센터 1소 5실 3단 8처 2센터 1부센터 47부로 정원 377명에 현원 375명입니다.
5쪽 자본금ㆍ손익 예산규모입니다.
자본금으로는 수권자본금 4조 7500억입니다.
납입자본금은 현재 2조 8527억원입니다.
손익은 2021년 303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창립 이래 최대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한 바 있습니다.
예산규모로는 2022년 4조 17억원으로 전년 대비 9979억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6쪽에서 8쪽까지 주요 위원회 간부현황, 본부별 업무분장 등은 서면으로 갈음하고 9쪽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9쪽 사업 총괄현황입니다.
금년 6월 10일 기준 iH는 95개 사업에 총사업비 46조 187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유형별로 구분하면 도시개발사업 17건에 17조 5917억원, 주택건설사업 24건에 4조 4645억, 도시재생사업은 12건에 5조 3539억, 주거복지사업은 열 건에 3256억원, 자산관리사업은 22건에 18조 1060억, 기타사업으로 열 건에 1770억원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업방식으로는 자체사업으로 47건, 공동사업으로 다섯 건, 이 공동사업은 LH 등과 하는 사업입니다.
대행사업으로 21건, 출자사업으로 열아홉 건, AMC사업으로 세 건을 추진하고 있으며 자세한 것은 뒤에 보고드리겠습니다.
다음은 13쪽 2022년도 금년도 경영목표 및 추진과제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2022년도 경영목표는 iBEST 경영을 통한 일류공기업으로 경영목표 실현을 위해 5대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열아홉 개의 중점 추진과제를 설정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14쪽입니다.
첫 번째 추진전략으로 상호협력경영입니다.
지역사회와 동반성장 및 지역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해 iH가 금년에 계획하고 있는 발주물량은 2조 4618억원, 392건입니다.
주요 발주계획은 공모 2조 462억원, 공사 3127억원이며 6월 10일 기준 현재 금액 대비 61.34%를 발주하였습니다.
또한 적극적인 지역업체 참여율 제고 노력으로 6월 10일 기준 현재 원도급은 56.1%, 하도급은 90.1%로 지역인력 88%, 지역자재 83.2%, 지역장비 85.1%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 15쪽 두 번째 전략으로 전문전략경영입니다.
2022년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전략적 관리 및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 3037억원을 달성하는 성과를 바탕으로 금년에는 4조 17억원의 예산을 수립하였고 경영목표는 부채비율 200% 이하, 부채규모 6조원 이하 유지, 당기순이익은 1500억 이상, 매각 1조 5802억원, 회수 1조 6904억원 그리고 경영평가 최우수 등급을 목표로 설정하고 전략적으로 경영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방공기업 최초로 AMC 겸영인가 승인을 받아 다양한 재원을 활용한 리츠사업을 추진하여 금융부채를 늘리지 않고 정책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고자 합니다.
16쪽 세 번째 추진전략으로 미래환경경영입니다.
사람ㆍ자연ㆍ미래가 함께하는 친환경스마트 내일의 도시건설을 위해 신도시 등 개발사업 열일곱 건에 17조 5917억원과 주택건설사업 24건에 4조 4645억원을 투입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천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중장기 주택공급계획을 수립하여 2030년까지 분양주택 1만 6995호, 임대주택 3만 356호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금년 말까지 영구임대 755세대, 행복주택 754세대, 공공임대 333세대, 공공지원 민간임대 5575세대 그리고 기존주택 매입임대 1000세대와 전세임대 700세대 등 총 임대주택 9117호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iH가 공급하는 택지 및 주택에 스마트기술 기반 서비스를 적용한 디지털, 그린ㆍ휴먼뉴딜 인프라를 구축하여 친환경도시 및 신사업을 선도적으로 건설해 나가고 있습니다.
17쪽 네 번째 추진전략으로 사회적 책임경영입니다.
작년 12월 ESG 경영기반 확립 및 전략적 관리 추진을 위해 세부전략을 수립하고 ESG 경영선포식을 개최하였으며 금년 5월 UNGC 유엔글로벌콤팩트에 가입하는 등 지속가능 성장 및 경쟁력 확보를 통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공헌사업을 확대 시행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공헌활동과 연계한 시민소통사업, 거버넌스 협력사업, 사회적 약자 배려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에 대해서는 표로 갈음하겠습니다.
아울러 주거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주거복지 취약계층 주거상향사업, 집수리사업, 노후공공임대주택 그린리모델링사업 등 주거복지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8쪽 다섯 번째 추진전략으로 투명윤리경영입니다.
ESG 경영과 연계한 청렴 일류 공기업 실현을 위해 윤리경영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여 윤리적인 기업환경 조성, 공정투명한 업무절차, 내부견제시스템을 강화하고 있으며 윤리경영과 반부패 경영을 모토로 세부 실행과제를 적극 실천해 청렴도 2등급, 부패방지시책 1등급에 도약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금년 2월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플랫폼을 구축하였으며 중대재해 제로 및 안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1쪽 주요사업 추진현황 및 계획입니다.
주요사업 총괄현황은 서면으로 갈음하고 iH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사업을 신규사업 여섯 건, 도시개발사업 여섯 건, 주택건설사업 두 건, 도시재생사업 여덟 건, 주거복지사업 여섯 건, 자산관리사업 여섯 건, 총 34건에 대해 순서대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5쪽 신규사업 여섯 건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용유 노을빛타운 개발사업입니다.
중구 을왕, 남북, 덕교동 일원의 56만 5000평방미터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자연환경을 살리고 문화와 예술이 접목한 복합문화 휴양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5월 시의회에서 신규사업 동의안이 의결되었으며 금년에는 도시개발구역지정을 제안하여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전체적인 사업비는 4816억원입니다.
사업지 위치는 도면에 표시된 을왕리 서측에 있는 부분이 되겠습니다.
27쪽 검단 AA10-1블록 주택건설사업입니다.
iH와 민간기업이 공동으로 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6308억원입니다.
사업구도는 iH가 토지 투자, 인허가 지원, 건설사업을 관리하고 민간이 공사비 투자, 설계, 인허가, 건설 및 분양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구도입니다.
전체 세대수는 1458세대입니다.
그리고 시행자는 iH와 DL컨소시엄으로 공동사업입니다.
금년 4월 우선협상대상자로 DL이 컨소시엄에 선정되었고 5월 사업협약을 체결하였으며 내년도 6월에 건설공사를 착수할 계획입니다.
29쪽 굴포천역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정부의 공공주도 3080+,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 방안 정부발표에 따른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의 역세권 개발사업입니다.
부평구 굴포천 남측 일원의 주택 노후도가 높은 저층 주거지를 대상으로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하여 신규주택 2530세대를 건설할 계획으로 사업비는 약 1조원 정도 되겠습니다.
금년 하반기 주민 동의서를 3분의2 징구하여 지구지정까지 완료할 계획입니다.
31쪽 도화역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입니다.
굴포천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과 같은 사업으로 미추홀구 도화역 일원의 주택 노후도가 높은 저층 주거지를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하여 신규주택 3360세대를 건설 공급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는 1조 2000억원 규모이고 금년 6월 1차 주민설명회를 개최하였으며 주민 동의를 완료하여 내년도 지구지정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33쪽 검단 공공지원민간임대 리츠 AA27블록 사업입니다.
무주택 서민, 청년, 신혼부부 등의 주거안정을 위해 분양가확정 분양전환형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을 리츠를 통해 건설 공급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시행자는 리츠이며 iH와 HUG, 주식회사 금성백조주택이 공동출자하여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세대수는 1629세대, 사업비는 8696억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34쪽 영종 공공지원민간임대 리츠 A65블록 사업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검단 공공지원민간임대 리츠 AA27블록과 동일한 방식의 사업으로 사업시행자는 리츠이며 iH와 HUG, 계룡건설과 공동출자하여 금년 12월에 주택건설 사업계획 승인을 받아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세대수는 401세대, 사업비는 2435억원입니다.
위치는 도면에 표시된 위치도와 조감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37쪽 도시개발사업 여섯 건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영종하늘도시 개발사업입니다.
중구 운북, 운서, 운남, 중산동 일원의 1930만평방미터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22년 금년도 6월 10일 기준으로 2조 5564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였고 2조 872억원의 용지를 공급하였습니다.
현재 공항경제권 발전 기본계획과 연계한 UAM 허브 조성과 MRO 항공정비사업입니다. 관련 기업유치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단지조성공사는 2-4단계까지 공사를 준공하였으며 금년 12월 3단계 유보지에 대한 사업화 방안을 수립하고 인허가 변경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영종하늘도시는 iH와 LH가 3대7로 공동사업을 하는 사업지구입니다.
위치도와 토지이용계획 도면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검단신도시 개발사업 41쪽입니다.
서구 원당, 당하, 마전, 불로동 일원의 1110만 6000평방미터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자족형 신도시로 조성하고 있으며 LH와 5대5 공동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금년 6월 10일 기준으로 3조 8601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고 4조 2573억원의 용지를 공급하였습니다.
단지조성공사는 3단계로 나누어 시행하고 있으며 1단계가 지난해 12월에 준공되었고 금년도 말에 2단계 사업이 준공될 예정입니다.
금년에는 워라밸, 휴먼에너지타운 등 2단계 특화구역에 대한 사업자를 공모할 예정이며 사업비는 11조 5842억원, 계획인구는 18만 7081에 7만 5851호의 주택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사업준공은 2023년 12월 말입니다마는 다소 지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위치도와 토지이용계획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토지이용계획도에 1단계 구역과 2단계, 3단계 구역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46쪽 골든테라시티 구(구) 미단시티의 조성사업 보고드리겠습니다.
중구 운북동 일원의 271만 3000평방미터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2022년 금년 6월 10일 기준으로 873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고 8274억원의 용지를 공급하였으며 금년도 현재 광필지 분할 관련 개발 및 실시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매각용지의 매각 활성화를 위해 도시마케팅 방안을 수립하고 있으며 수립 방안에 따라 앵커시설 도입과 용지매각을 활성화시킬 계획입니다.
사업비는 1조 975억원에 계획인구는 1만 4198인으로 계획되어 있고 위치도와 토지이용계획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49쪽 계양 테크노밸리 신도시 개발사업입니다.
계양구 귤현동, 동양동 일원 333만 2000평방미터의 1만 7200세대를 건설하는 3기 신도시 개발사업으로 iH와 LH가 2대8로 공동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되어 작년 6월 지구계획 승인을 완료하였으며 내년도 상반기에 공사를 착공할 계획입니다.
계획인구는 3만 8996인, 1만 7289세대를 계획하고 있고 사업비는 4조 1470억원입니다.
위치도와 토지이용계획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52쪽 검암 플라시아 개발사업입니다.
서구 검암역 일원에 복합환승센터를 포함한 공공주택지구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2019년도 9월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되어 지난해 11월 지구계획 승인을 완료하였습니다.
금년도 10월에 공사를 착공하여 2024년 사업을 준공할 예정입니다.
계획인구수는 1만 6185인의 7269세대로 계획되어 있고 사업비는 1조 147억원 iH 자체 시행입니다.
위치도는 검암역 일대가 되겠습니다.
토지이용계획도는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55쪽 인천 강소연구특구단지 개발사업입니다.
서구 오류동 일원에 강소특구형 친환경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4101억원입니다.
금년도 6월에 인천 서구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었으며 금년 10월에 개발계획 승인 예정입니다.
2024년 상반기에 공사를 착공하고 ’27년 상반기에 공사를 준공할 예정으로 있습니다.
위치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57쪽 주택건설사업 두 건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검단 공동주택 AA16블록 건설사업입니다.
iH와 민간기업이 공동으로 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6568억원, 세대수는 1535세대입니다.
작년 3월 현대건설컨소시엄과 사업협약을 체결하고 12월에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승인받았으며 금년 5월에 공사를 착공하였습니다.
2025년 1월에 건설공사를 준공하고 입주가 개시될 예정입니다.
위치도와 조감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59쪽 구월 공공임대주택 건설사업 A3블록입니다.
본 사업은 영구임대와 행복주택단지로 총 1109세대의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입니다.
2020년도 7월에 건설공사를 착공하여 공정률은 69.74%로 내년 1월에 준공할 계획입니다.
특히 구월 A3에는 스마트기술 및 신제품 특화설계로 미세먼지 저감, 에너지 세이빙시스템 등 첨단시설을 적용하여 고품질의 임대주택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세대수는 1109세대이고 사업비는 3086억원으로 iH에서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위치도와 조감도는 참고를 해 주십시오.
61쪽 도시재생사업 여섯 건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더샵 부평센트럴시티 주택건설사업입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연계형 사업으로 2017년도 9월 기업형임대사업자와 주택매매계약을 체결하여 금년 4월 공사를 준공하였습니다.
금년도 6월 10일 현재 입주대상 5678세대 중에서 2215세대가 입주완료되었습니다.
사업비는 1조 2360억원이고 사업방식은 관리처분방식입니다.
위치도와 조감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63쪽 동인천역 파크푸르지오 주택건설사업입니다.
더샵 부평센트럴시티 주택건설사업과 동일한 사업방식의 사업으로 2018년도 2월 기업형임대사업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년 6월 10일 기준 공정률 97.86%로 세대 내부 잔손보기와 외부 조경물 등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금년 6월에 공사를 준공하고 8월에 입주할 계획입니다.
전체적으로 2562세대로 사업비는 5347억원입니다.
관리처분방식으로 하는 사업입니다.
위치도와 조감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65쪽 제물포역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앞서 보고드린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두 건과 동일한 사업방식입니다.
미추홀구 도화동 일원의 개발이 어렵고 주택 노후도가 높은 저층 주거지를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하여 신규주택 3410세대를 건설 공급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1조 2000억원이 되겠습니다.
법적요건 이상 주민 동의를 확보하여 금년 2월 도심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되었습니다.
내년 복합사업계획을 승인받아 사업을 적기에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위치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67쪽 비룡공감 2080 도시재생뉴딜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2019년도 공공기관 제안형으로 선정된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청년과 어르신의 OPEN PLACE, ‘비룡공감 2080’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역주민의 공동체 회복과 행복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입니다.
iH는 총괄사업관리자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마중물사업 다섯 개와 단위사업 두 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마중물사업과 단위사업에 대해서는 표로 갈음을 하겠습니다.
금년 12월 비룡 큰둥지 생활SOC 복합개발 등 설계를 공모하여 추진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위치도와 사업구상도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70쪽 제물포 Station-J 도시재생뉴딜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2021년 12월 국토교통부 공모에 선정된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제물포역 일원에 영스퀘어, 공영주차장, 공유주방, 옥상정원 등을 조성하여 원도심 활성화를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금년도 4월 인천시와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여 총괄사업관리자로 주요 마중물사업 건립 대행사업과 자체사업인 도시건축 창업거점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금년도 11월에 설계를 공모하여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사업총괄도에 대한 도면을 참고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72쪽 근대건축문화자산 재생사업 1호 개항장 이음 1977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개항장 문화지구 내 건축자산을 매입ㆍ리모델링하여 지역거점공간으로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지난해 상반기 리모델링을 완료하여 금년 5월 경쟁입찰을 통해 위탁운영 민간업체를 선정하였으며 6월부터 본격적으로 개관하여 일반시민에게 개방을 하였습니다.
향후에 전시, 교육, 행사 등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1호 사업에 이어 2호 사업 후보지를 검토 중에 있으며 근대 문화자산을 적극 매입하여 지역사회로 환원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업 전경과 위치도는 그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74쪽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입니다.
재생 전문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인천시와 작년 12월 31일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고 직원 열다섯 명이 근무 중에 있습니다.
주요사업으로 교육 주체별 맞춤형 도시재생교육, 주민협력사업, 거버넌스 구축, 도시재생 홍보 및 대외행사참가, 도시재생사업컨설팅 지원 등 도시재생지원센터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iH의 재생사업과 협업하고 지원체계를 강화하여 원도심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주요사업내용에 대해서는 표로 갈음을 하겠습니다.
주거복지사업 76쪽 여섯 건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임대주택 관리사업입니다.
인천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건설형 임대주택 공급, 기존주택 임대사업, 임대주택 관리 및 임대시설개선사업 등 각종 주거복지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계획을 수립하여 2030년까지 3만 356호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세부적으로 건설형 임대를 6523호, 매입임대를 9000호, 전세임대를 6300호, 공공지원 민간임대 8533호를 공급하고 시 공공임대주택 공급목표 중 32%를 iH에서 담당할 계획입니다.
연차별 공급계획은 표로 갈음을 하겠습니다.
77쪽 임대주택 관리사업입니다.
iH는 현재 총 1만 2293호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상세내역으로 건설임대 3335호, 기존주택 7890호, 공공지원 민간임대 1068호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 가정 등 주거약자의 주거안정 및 주거서비스 개선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임대주택을 공급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리현황에 대해서 표로 갈음을 하겠습니다.
78쪽 기존주택 전세임대사업입니다.
기존주택 전세임대는 기존주택을 임대하여 도심 내 저소득층이 현재 생활권에서 최대 20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12년도 사업 개시 이후에 지금까지 5880호를 공급하였으며 금년에는 700호를 공급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다음 79쪽 기존주택 매입임대사업입니다.
기존주택 매입임대는 다가구ㆍ다세대 등 기존주택을 매입하여 20년간 시세보다 저렴하게 장기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16년 사업 개시 이후에 지금까지 2135호를 공급하였으며 금년 목표는 입주자 유형을 세분화하여 일반 350호, 청년 200호, 신혼부부 350호, 공모형 100호, 총 1000호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기초단체별 매입현황에 대해서는 표로 갈음을 하겠습니다.
80쪽 임대주택 시설개선사업Ⅰ입니다.
임대사업자 정주여건 개선과 주거복지 실현을 위해 유지보수 및 시설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금년에는 32억 3000만원의 예산을 수립하여서 시설유지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입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체계적인 시설관리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81쪽 임대주택 시설개선사업Ⅱ입니다.
한국판 뉴딜사업에 참여하여 주거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감으로 입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주거비 경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국비사업으로 그린리모델링사업과 시설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린리모델링사업은 54억 2000만원, 시설개선사업으로는 7억 5000만원으로 총 61억 7000만원의 예산으로 고성능 창호, LED 전등, 절수형 수전 등 에너지 성능 개선공사를 연말까지 시행할 계획입니다.
다음 83쪽 인천광역시 광역주거복지센터 운영입니다.
인천시와 2024년 12월까지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고 운영 중에 있으며 현재 센터장을 포함하여 여섯 명이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광역주거복지센터는 올해 14억 8200만원의 예산으로 주거복지센터 운영과 집수리사업, 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등 여덟 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의 여덟 개 사업은 표로 갈음을 하겠습니다.
85쪽 자산관리사업 다섯 건을 보고드리겠습니다.
AMC사업입니다.
작년 지난해 5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자산관리회사 겸영인가 승인을 득하여 지방공사 최초로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른 자산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민간영역과 겹치지 않는 주택임대, 대토보상 및 도시재생 등 공공리츠사업의 자산관리업무를 수행하여 시민의 주거복지를 실현하는 한편 원도심 활성화와 도시균형 발전과 지역경제 활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작년 8월 기존 도화임대리츠 세 개 사업을 인수하여 자산관리업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세 개의 인수된 사업은 표에 있습니다. 참고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87쪽 로봇랜드 조성사업입니다.
서구 원창동 일대 약 77만㎡ 부지에 로봇테마파크 및 부대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7113억원입니다.
그동안 로봇산업지원센터 및 로봇연구소 등 공익시설 건축공사를 완료하였고 2020년 6월에 조성실행계획 변경안이 승인되었습니다.
현재 시와 공동 사업시행자 참여에 대해 협의 중에 있으며 사업이 조기 정상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90쪽 송도국제화 복합단지 건립사업입니다.
연세대와 국내외 교육 및 연구기관을 유치하는 사업으로 규모는 126만㎡입니다.
그동안 국제캠퍼스 1-1, 1-2단계 사업을 준공하고 2014년도 3월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를 개교하여 신입생 전원 5000명 등을 대상으로 선진 명문형 교육모델인 레지덴셜 칼리지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1단계는 수익부지인 공동주택과 주상복합용지는 분양 및 공사준공이 되었으며 현재 상업시설 C1부터 C3 개발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2단계는 금년 11월 수익부지사업을 착공할 예정으로 있습니다.
위치도와 조감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아트센터 지원1단지 건립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아트센터인천 문화시설의 운영비 지원을 위해 오피스텔과 상가시설을 G1-2, G3-1, G3-2블록에 건립하는 사업으로 G1-2블록과 G3-2블록은 각각 2015년과 2019년에 입주하였으며 G3-1블록은 2019년 6월에 건축허가를 득하고 2020년도 3월에 착공하였으나 코로나19 등 분양이 저조하여 공사기간을 1년 연장하여 2024년 하반기에 준공할 예정입니다.
위치도와 조감도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고 여기에 말씀드린 G1, G3 1블록, 2블록에 대한 위치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96쪽 오케이센터 개발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아트센터인천 문화시설 운영비 지원을 위하여 공동주택, 호텔, 오피스텔, 근린생활시설을 G4-1블록에 건립하는 사업으로 사업은 모두 완료되었으나 기부채납시설인 호텔에 대한 처리 방안을 시와 협의 후 사업비를 정산하고 SPC를 청산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위치도의 그림을 잠깐 보겠습니다. 보면 지원시설 2단지 오케이센터 개발에 4단지 4-1블록이 삼각형 형태로 표시돼 있습니다.
그리고 조감도에 보이는 두 개는 아파트고 앞에 보이는 부분은 호텔입니다. 역사 옆에 있는 호텔입니다.
이상으로 주요사업 추진상황에 대해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경청하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ㆍ2022년도 인천도시공사 주요업무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