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제 글로벌캠퍼스재단 감사를 하면서 느낀 문제인데 이것도 또 약간 관점의 차이가 심각하게 있는 것 같아요.
경제청에서 그 사업을 추진하거나 또는 그 관련된 일을 하시는 분 입장에서는 이게 꼭 필요한 사업이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는 반면에 저 같은 경우는 이 사업에 대해서는 굉장히 회의적인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편입니다.
그래서 그 관점을 좀 확인하는 시간이 됐고 또 서비스유치과장님 김종환 과장님하고 좀 많은 얘기도 사실 나누고 있습니다.
그런데 감사를 하면서 대표이사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대학에 지원해 주는 예산규모가 한 1조 4000억 정도 되는데 뉘앙스는 이런 거죠. 그런 정도의 우리가 한 몇백억 정도 지원해 주는 것은 좀 해 줄 수 있는 것 아니냐 이런 식의 말씀이신 것 같아요.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은 뭐 그 자체로서는 그렇다 치는데 문제는 그 비용의 예산이 우리 같은 경우에는 거의 90% 이상이 지방비 아닙니까. 그리고 대학사무는 국가 고유사무이기 때문에 대부분 교육부에서 지원이 되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이 사업 자체가 어떻게 보면 우리 시 차원에서 이게 진짜 우리가 꼭 필요한 사업인지 만일 이게 정말로 필요한 사업이라고 그러면 국가예산으로 지원되는 것이 저는 마땅하다고 보거든요.
그러면 경제청에서도 이 업무가 꼭 필요하다고 한다면 국가예산을 좀 따오도록, 국가예산에서 지원될 수 있도록 이렇게 노력해야 되는 게 아니냐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지금 아까도 오늘 저는 협약서를 갖다가 제대로 꼼꼼히 다 보지는 못했는데 저희 위원장님이 그 내용을 보고서, 아까 얘기를 듣고서 저도 이건 진짜 너무한 것 아니냐.
100억을 빌려줘요. 그리고 그것 회수할 방법도 없어요. 만일에, 제가 늘 얘기하지만 이 대학들이 제가 걱정하는 것은 지금 돼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쳐도 이 대학들이 하여간 4 플러스 3을 갖다가 졸업하고 나면 자립을 해야 되는데 자립하지 않을 때는 그러면 어떻게 하겠느냐 이것에 대한 대책이 없지 않습니까?
그냥 당연히 아니, 당연히라기보다도 그냥 되면 좋겠다는 그 정도로 끝나는 것 아닙니까. 그러면 그 이후에 100억을 갖다가 빌려준 돈은 회수할 방법도 없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