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정지구 배수개선사업 25억원이 신규로 편성되거나 증액되었습니다.
그러면 부서별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1쪽 세입예산안입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입은 전년도 47억 8027만원 대비 17% 증액된 55억 932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근로자 임대아파트 임대료 및 공공요금 및 제물포스마트타운 임대료, 근로자문화센터 평생교육프로그램 수강료,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수익 등 11억 3021만원을 세외수입으로 편성하였으며 청년취업지원 산업단지 무빙콜 사업 및 중장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등 44억 6306만원을 국고보조금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산업진흥과 세입은 미추홀아이마켓 운영 수익 및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운영수익 등 세외수입과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지역특성화 산업육성 및 지역산업 마케팅 지원 등 국고보조금 감액으로 전년도 49억 2840만원 대비 57.2% 감액된 21억 82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2쪽 신성장산업과 세입은 어린이과학관 및 로봇랜드 공익시설 임대수입, 어린이과학관 입장료 수입 등 세외수입 증가에 따라서 전년도 16억 5472만 1000원 대비 41% 증액된 23억 3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청년정책과 세입은 행정안전부 청년일자리 공모사업 확정에 따른 창업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24억 3000만원을 국고보조금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사회적경제과 세입은 사회적기업 사업개발비 및 지역특화사업, 마을기업육성사업,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등 국고보조금 증액으로 전년도 74억 9500만원 대비 10% 증액된 82억 3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03쪽 에너지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117억 3113만 3000원 대비 93%가 증액된 226억 460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천연가스 충전소 토지 임대료 등 2억 558만 4000원을 세외수입으로 편성하였으며 취약계층 에너지복지 사업, 군 단위 LPG배관망 지원사업,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등 국고보조금 증액으로 224억 4044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축산유통과 세입은 전년도 317억 2288만 5000원 대비 381%가 증액된 1528억 2439만 3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증액사유로는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건립에 따라 1224억원을 공유재산매각 수입금으로 편성하였고 논타작물 재배지원, 유기질비료 지원, 농업기반정비, 학교 우유급식 지원 등 304억 2439만 3000원을 국고보조금으로 편성하였습니다.
115쪽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입은 재산임대수입 및 사용료수입 등 세외수입으로 22억 3776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16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입 또한 재산임대수입 및 사용료수입 등 세외수입으로 25억 972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부서별 세출예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647쪽 일자리경제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208억 6157만 8000원 대비 4.5%가 감액된 199억 1288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일자리위원회 운영관리 3350만원이 신규편성되었으며 648쪽 시, 군ㆍ구 상생협력 특화일자리 사업 10억원, 인천 뿌리산업 경력형성 지원을 위한 평생일자리 창출사업 12억 7920만원과 정년연장기업 지원사업 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49쪽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7억 8300만원, 기능경기대회 개최 및 참가 7억 5400만원, 650쪽 제물포스마트타운 운영비 지원 23억 7500만원과 652쪽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 위탁대행비 10억 7247만 2000원, 근로자문화센터 운영 대행사업비 13억 6889만 7000원, 656쪽 GM대우 연구개발시설 외자유치사업 원금 및 이자상환 19억 8898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57쪽 산업진흥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316억 3030만원 대비 0.07%가 증액된 316억 5091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및 미추홀아이마켓 운영 등 출연금으로 10억 96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658쪽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금 150억원과 중소기업 공제사업기금 이차보전금 1억원, 659쪽 개성공단 입주기업 투자보조금 지원 3억 2318만 6000원,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박람회 참가 지원 등 13억 3000만원이 신규편성되었습니다.
660쪽 베트남 인천 우수상품 전시회,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 수출 초보기업 멘토링 등 수출인프라 확충 및 해외 마케팅 지원사업 7억 6800만원, 중국 마케팅 전담 지원 9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62쪽 스마트공장 보급지원 16억 8000만원, 스마트 혁신산단을 위한 투자 지원 10억원,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사업 14억 3700만원, 664쪽 중소기업 디자인 개발 지원에 따른 지역특성화산업 육성사업 22억원, 인천국제디자인페어 개최 1억원, 665쪽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건립 차입금 원금 및 이자상환 4억 3872만 7000원과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전출금 8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666쪽 신성장산업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363억 9583만 7000원 대비 36.9%가 감액된 229억 7896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글로벌스타트업캠퍼스 운영 21억 9700만원과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기반센터 구축을 위해 6억 828만원을 편성하였으며 667쪽 인천N방송 운영 및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운영 지원 등을 위하여 10억 9510만원,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운영비 지원에 45억원, 668쪽 로봇랜드 공익시설 운영 지원 30억 8200만원과 어린이과학관 위탁운영비 50억 3641만 8000원을 편성하였으며 669쪽 인천어린이과학관 건립에 따른 예수금 원금 및 이자상환 15억 9681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70쪽 소상공인정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19억 1929만 5000원 대비 29.2%가 증액된 153억 9538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전통시장 장보러 가는 날 사업 지원 1억원과 매력으뜸전통시장 육성사업에 2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671쪽 햇살론 사업 10억원, 인천신용보증재단 보증재원 출연 10억원, 일자리 창출 특례보증 16억원,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특례보증 24억원, 청년창업 일자리 및 골목상권활성화 특례보증 16억, 672쪽 소상공인 및 금융소외자 지원 9억 5332만 2000원, 인천사랑 전자상품권 운영비 10억원, 673쪽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전출금 13억 5586만 7000원과 중소기업육성기금 전출금 1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674쪽 청년정책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79억 3390만원 대비 120.3%가 증액된 174억 809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1석5조 인천청년사랑 프로젝트 12억원과 청년고용 우수기업 근로환경개선 지원 10억원, Dream for 청년통장 지원사업에 6억 54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675쪽 인천청년공간 유유기지 운영에 5억 8400만원과 창업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44억 2800만원, 드림체크카드 지원사업 10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676쪽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에 34억 2600만원과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 10억원입니다.
678쪽 사회적경제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13억 4448만 4000원 대비 19%가 증액된 135억 2593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지원 6억 4000만원, 군ㆍ구 사회적경제 활성화사업 지원 1억원과 군ㆍ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설치 지원 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79쪽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비 지원 및 사회보험료 지원 62억 6473만 7000원, 사회적기업 사업개발비 지원사업 14억 8750만원, 681쪽 공공근로사업 20억원,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19억 2750만원입니다.
684쪽 투자유치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7억 3690만 3000원 대비 2.56%가 감액된 16억 9239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시민 대상 투자유치 성과급 1000만원과 공무원 대상 투자유치 성과급 1000만원, 투자유치 홍보 마케팅 5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85쪽 인천대교 송도 측 접근로 및 기반시설 공사비 차입금 원리금 상환에 따른 일반회계 전출금 15억 2707만 5000원입니다.
686쪽 국제협력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59억 5695만 2000원 대비 6.55%가 감액된 55억 669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청소년 국제교류 3200만원, 자매도시 공무원 상호파견 6860만원, 688쪽 시도지사협의회 국제화 지원기능 분담금 1억 2360만원, 아시아권 교류도시 의료 지원사업 5000만원, 인차이나포럼 운영 3억원, 689쪽 주중 인천경제무역대표처 운영 6억 2038만 4000원을 편성하였으며 690쪽 국제기구 청년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1억원, 국제기구 공관 임차료 3억 8000만원, 691쪽 국제부담금 28억 692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92쪽 에너지정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76억 6519만 9000원 대비 109%가 증액된 369억 3410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693쪽 제5차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1억원, 중구청 청사 냉난방설비 개선사업 1억 500만원, 남동구청 에너지절약 절전 제어장치 설치사업 1억 350만원, 694쪽 취약계층 에너지복지사업 11억 940만원, 119특수구조단 청사 태양광발전설비 1억 108만원, 695쪽 운북사업소 및 청라사업소 태양광발전설비 6억 6500만원, 신재생에너지 지역 지원사업 9억 61만 1000원, 696쪽 군 단위 LPG배관망 지원사업 23억 5480만원, LPG 집단공급사업 6억 1200만원, 전기승용차 민간보급사업 132억 6510만원, 697쪽 전기버스 민간보급사업 15억원, 전기화물차 민간보급사업 12억원, 전기이륜차 민간보급사업 15억원, 수소연료전지차 구입보조 및 충전인프라 구축 125억원, 698쪽 소청도 해수담수화시설 태양광발전설비 전출금 1억 276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99쪽 농축산유통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935억 102만 9000원 대비 75.2%가 증액된 1638억 3250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700쪽 고품질 쌀 육성단지 조성 지원 2억 9500만원, 곡물건조기 지원 3억 6000만원, 고품질 쌀 유통 활성화사업 11억 6500만원과 703쪽 쌀 소득 등 보전직불제 보조금 122억원을 편성하였으며 705쪽 논타작물 재배 지원 25억 3062만원과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에 따른 사업비, 감리비, 시설부대비 등 1185억 158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06쪽 강화고려인삼 생산기반시설 조성 4억 500만원, 수출유망품목 공동마케팅 지원 1억 4000만원, 708쪽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사업 6억 2000만원, 초등돌봄교실 과일간식 지원비 5억 6550만원, 친환경농법 지원 및 인공상토 공급 지원 등 친환경농업 사업으로 14억 5616만 9000원, 709쪽 유기질비료 지원 48억, 토양개량제 지원 3억 7798만 1000원, 712쪽 강화농축산물 판로 확대 및 농산물 유통 물류지원비 3억 1889만원, 농산물 유통 저온저장고 지원 9억 3528만 2000원, 농산물 표준규격 출하 포장재 지원 3억 6000만원, 도시근교농업 및 강화 첨단농업 육성 지원 7억 595만 4000원, 713쪽 길정지구 배수개선사업 25억, 국가관리 방조제 개보수사업 5억, 지방관리 방조제 개보수사업 12억을 편성하였습니다.
714쪽 군ㆍ구관리 수리시설 개보수에 18억, 대구획 경지정리사업에 3억 6000만원과 715쪽 학교 우유급식 지원 21억 987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6쪽 우량모돈 교체 지원, 양봉 기자재 지원, 가축개량 지원, 우수축산물 생산사업에 2억 1908만원, 축산환경 개선 지원, 가축분뇨 수분조절제 지원 등에 3억 5860만원, 강화 한우브랜드 육성사업에 2억 967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8쪽 축사시설 현대화사업에 6억 3028만원, 학생 승마체험 사업에 2억 1775만 5000원, 721쪽 방역차량 운영, 가축 소모성 질병 예방약품 지원, 광견병 예방접종 시술비, 가축전염병 근절사업 등에 2억 637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축산차량등록제 지원, 가축전염병 예방주사 등 구제역 및 AI 예방약품 구입 지원으로 1억 9401만 1000원과 722쪽 돼지 써코바이러스 예방주사, 구제역 예방주사, 구제역 및 AI 예방약품 구입 지원에 5억 681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50쪽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출예산은 전년도 37억 3312만원 대비 8.4%가 증액된 40억 476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과일경매장 정밀점검 등 노후시설물 보완공사에 1100만원, 시설물 유지관리에 13억 7000만 5000원입니다.
855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출예산은 전년도 41억 3645만 1000원 대비 3.4%가 감액된 39억 9388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시설물 유지관리에 11억 510만 5000원, 지하주차장 조명 교체공사 및 분전반 누전차단기 교체공사 등 시설물 보강사업 3억 448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예산편성 내역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특별회계 규모는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보조금 20억 521만 9000원과 일반회계 전입금 21억 5586만 7000원으로 전년 대비 27.7%가 감액된 41억 6108만 6000원이 반영되었습니다.
그러면 주요 세입내역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보고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