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녹지국장 전무수입니다.
환경녹지국 소관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예산서를 중심으로 해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총괄현황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총 1631억 2826만원으로 2018년 대비 350억 1205만원, 27.3%가 증액된 것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2018년 대비 209억 570만원이 증액된 7.4%가 증액된 것입니다.
3033억 462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 증감내역은 부서별 예산을 중심으로 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예산입니다.
105쪽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녹색기후과 세입은 2018년 대비 2억 900만원이 감액된 6억 66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6쪽에 환경정책과는 5억 1185만원이 증액된 48억 2245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대기보전과는 금년도 예산, 2018년 대비 2억 3922만 9000원이 감액된 341억 7372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 107쪽에 자원순환과 예산은 금년 예산 대비 121억 341만 6000원이 감액된 326억 9310만 1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108쪽 내역에 대해서는 자료로 대신하고 109쪽에 가서 수질환경과 말씀드리겠습니다.
수질환경과는 647억 4534만원이 증액된 755억 725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10쪽에 하수과는 금년 예산 대비 190억 7200만원이 감액된 7억 665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이 사항들은 주로 하수 특별회계 예산으로 조정된 것에 따라서 폭이 커졌습니다.
그 다음에 공원녹지과는 15억 3256만 4000원이 증액된 110억 2277만 4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13쪽에 인천대공원사업소입니다.
1억 3187만 9000원이 감액된 30억 7576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 114쪽에 월미공원사업소는 2146만 9000원이 감액된 3억 2422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727쪽으로 가셔서 세출예산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세출예산도 부서별로 해서 주요내역을 좀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녹색기후과는 금년 대비 8984만 4000원이 증액된 57억 928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이 연구개발특구 개발계획 수립을 위해서 4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녹색기후산업 실태조사 및 육성계획 수립을 위해서 8000만원을 편성하고 녹색기후산업지원센터 운영 지원을 위해서 4억 61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8쪽입니다.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지원 협력예산으로 해서 사무실 임대료라든지 관리비 지원을 위해서 27억 286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행을 위해서 하단 부분에 있습니다마는 887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9쪽에 출연금은 인천기후환경연구센터의 운영 지원을 위해서 4억 1315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비산업부분 온실가스 진단 컨설팅 지원을 위해서 1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30쪽에 인천기후환경 네트워크 운영 및 실천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서 1억 5000을 편성하였고 인천기후환경 네트워크 실천단 운영 프로그램 지원 해서 자치단체 경상보조로 해서 9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온실가스 저감 및 단지별 가입 인센티브 지원을 위해서 4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31쪽에 온실가스 저감가정에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서 3억 82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인천 희망의 숲 조성은 2억원을 편성하고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 프로그램 태양광발전설비를 위해서 2억 6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을 위해서 1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33쪽에 환경정책과 소관입니다.
환경정책과는 9억 8840만 8000원이 증액된 91억 3134만 9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민간경상보조사업으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업비 지원에 1억 5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녹색구매지원센터 설치에 2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34쪽에 인천녹색환경지원센터 지원에 환경부 훈령으로 설립된 단체입니다만 4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고 환경개선부담금 징수교부금에 27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UNOSD 운영 부담금에 12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인천환경교육센터 지원에 2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735쪽에 생태통로 유지ㆍ관리를 위한 사무관리비와 공공운영비로 해서 306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 736쪽에 EAAF 파트너십 사무국 운영에 5억 5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 국가지질공원 인증추진을 위해서 3억 77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37쪽에 자치단체 경상보조로 해서 중간에 있습니다마는 생태교란물 퇴치 지원사업에 5000만원을 편성했는데 이것도 다 지질공원과 관련된 사항입니다.
그것은 지질공원하고 관계없이 생태교란물 퇴치사업이 되겠습니다.
그 다음에 생태놀이터 조성사업에 3억 2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에 738쪽에 소래습지생태공원 자연마당 조성사업에 11억 9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39쪽에 석면피해 구제급여 지원을 위해서 6500만원을 편성하고 슬레이트 처리 지원사업에 4억 908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해서 라돈 저감 지원 캠페인 홍보 등을 위해서 38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40쪽에 환경성질환 예방 및 사후관리의 사월마을 건강영향조사가 되겠습니다. 그래서 1억 8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42쪽에 2단계 인천광역시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 수립 용역으로 해서 1억 2000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산업용 저녹스 버너 보급사업에 5억 684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보급사업에 2억 8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743쪽에 굴뚝자동측정기기 설치ㆍ운영관리 지원에 7755만원과 소규모 영세사업장 방지시설 지원에 15억 8000만원 그리고 소규모 영세사업장 방지시설 지원에 3억 1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 744쪽에 도로먼지 제거차량 확대보급에 19억 8000만원을 편성하고 나대지 발생 먼지관리에 10억원, 도로먼지 제거 청소용역차량에 1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45쪽에 악취배출사업장 방지시설 개선보조금 지원사업과 악취 시료 자동채취 장치 확대보조금 지원사업으로 해서 5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746쪽에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에 565억 242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 밑에 하단 부분에 어린이통학차량 LPG 전환 지원사업에 3억 8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47쪽에 보증기간이 경과된 경과장치의 성능유지관리를 위해서 6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748쪽에 산업단지 환경관리와 관련해서 원활한 단속행정 지원을 위한 일반수용비와 공공운영비로 해서 729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749쪽에 민간자율환경감시단 활동비 지원으로 해서 111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51쪽에 자원순환과 예산입니다.
전년 대비해서 103억 1485만 9000원을 감액해서 522억 8773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폐기물 감량 및 직매립 제로화 사업 지원을 위해서 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환경미화원 자녀장학금이나 현지견학 등을 위해서 2억 3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52쪽에 재활용 활성화 추진을 위해서 9902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53쪽에 재활용동네마당 설치사업에 1억 101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남부권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경상적대행비하고 자본적대행비로 해서 23억 5461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54쪽에 옹진군 도서지역에 매립시설과 소각시설 설치를 위해서 14억 8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송도자원환경센터의 경상적대행사업비 199억 643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송도자원환경센터 자본적대행사업비하고 보수비로 해서 44억 1976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55쪽이 되겠습니다.
청라자원환경센터 경상적대행비에 165억 777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청라자원환경센터 자본적대행비하고 보수비로 해서 35억 6039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수질환경과 예산입니다.
757쪽입니다.
전년 대비해서 605억 4346만 4000원이 증액된 843억 591만 4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은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에 10억원 그리고 국가하천 유지보수에 3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생태하천 유지용수 공급사업에 시설의 유지관리로 해서 승기천, 공촌천, 심곡천이 되겠습니다. 43억 7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58쪽 설명드리고 있습니다.
그 다음에 소하천 정비사업에 52억 6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지방하천 유지관리에 9억 3000만원을 편성하고 지방하천 기본계획 변경용역과 생태하천 복원 타당성검토 용역을 위해서 20억 3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59쪽에 공중화장실 유지관리하고 안전장치 설치로 해서 4억 7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강화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운영비 지원에 10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60쪽에 옹진군 소규모 수도시설 유지관리에 3억원의 예산을 편성하고 먹는 물 공동시설 개선사업에 307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61쪽에 강화공공폐수처리시설 유지관리를 위해서 2억 4000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762쪽에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사업에 12억 8600만원을 편성하고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수도시설 유지관리비 해서 12억 437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63쪽에 가축분뇨통합처리시설 위탁운영비로 해서 82억 2616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위탁운영비하고 가축분뇨통합처리시설 보수비로 해서 22억 937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공원녹지과 소관입니다.
764쪽입니다.
기정 대비 55억 5359만 7000원이 감액된 439억 891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은 자치단체경상보조금으로 해서 33억 1964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2030 공원녹지 기본계획 재정비용역으로 해서 4억 5000을 편성하였습니다.
765쪽에 개발제한구역 내 생활공원 조성 공모사업으로 해서 8억 5000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인천꽃전시회와 푸른인천 글쓰기대회, 푸른인천가꾸기 시민협의회 지원 등 해서 민간 부문 녹화사업으로서 2억 49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66쪽이 되겠습니다.
사방시설 조성 계류 보전사업 해서 8억 8159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산지 사방시설 지원을 위해서 737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67쪽에 산림재해 일자리 단기일자리가 되겠습니다만 산사태 현장 예찰단 운영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1억 2196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산림재해 일자리 관련해서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운영에 따른 인건비로 해서 9억 3099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68쪽에 산불방지대책 산불진화체계 구축 운영 경상지원을 위해서 1억 122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산불진화체계 구축 운영 자본지원을 위해서 962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70쪽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임도시설 간선자본으로 해서 2억 2857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지진 및 해일대응을 위한 해안침식방지시설을 위해서 2억 8977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71쪽에 산림자원 보호육성을 위해서 45억 938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72쪽에 지역특화조림 사업을 위해서 1억 9987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73쪽에 산림서비스도우미 운영지원을 위해서 1억 3191만 9000원을 편성하고 숲해설 산림복지 전문업 위탁운영지원을 위해서 1억 2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74쪽에 유아숲 교육운영을 위해서 1억 3867만 2000원을, 유아숲 교육운영의 지원을 위해서 3억 1547만 1000원을 편성하였고 정책숲가꾸기에 10억 5593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76쪽으로 가서 산림재해 일자리 단기사업이 되겠습니다.
산림 병해충 예찰방제단 운영을 위해서 1억 1327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777쪽에 감염목 무단이동 단속초소 운영에 1억 519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779쪽에 미세먼지 저감 조림사업을 위해서 5억 4340만원을 편성하고 그 위에 산림 분야 국제회의 지원을 위해서 3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780쪽에 지자체 도시숲 조성을 위해서 33억 3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자치단체자본보조로 해서 명상의 숲 조성하고 수인선 유휴부지에 도시숲길 조성사업 등을 위해서 33억의 예산이 편성된 내용이 되겠습니다.
781쪽에 복지시설 나눔숲 조성과 무장애나눔길 조성을 위해서 11억 1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83쪽으로 가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인천역사문화둘레길 스토리텔링 개발에 5000만원을 편성하고 그 후에 또 있습니다만 이런 시설 안내판 설치공사 등을 위해서 3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23쪽으로 가서 넘어가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다음은 인천대공원사업소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금년보다 6억 8338만 4000원이 증액된 182억 3103만 6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우선 공원조경관리를 위해서 8억 622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로 인건비하고 일반운영비, 재료비 등이 되겠습니다.
그 다음에 824쪽이 되겠습니다.
시설유지관리를 위해서 인건비나 일반운영비 등이 되겠습니다만 26억 8214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827쪽으로 넘어가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재문화체험장 운영을 위해서 2억 8488만 1000원을 편성하고 공원이용객 편의시설을 위해서 22억 5862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828쪽에 동부권역 공원관리를 위해서 인건비 또 사무관리비, 업무추진비나 재료비가 되겠습니다만 35억 7985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829쪽에 소래습지생태공원 유지관리를 위해서 3억 6229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830쪽에는 행정운영경비가 되겠습니다.
직원들 인건비나 보수나 이런 게 되겠습니다만 69억 7724만 8000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835쪽으로 넘어가서 말씀드리겠습니다.
835쪽에 월미공원사업소 예산입니다.
월미공원사업소는 금년보다 3억 3459만 9000원이 증액된 58억 9838만 6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월미공원사업소도 앞의 인천대공원사업소하고 비슷하게 월미공원 운영과 관련해서 23억 2154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837쪽에 서부지역 공원관리 문학이나 관교, 청량공원 등이 되겠습니다.
여기에 관리를 위한 시설관리를 위해서 인건비나 일반운영비로 해서 9억 5073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839쪽에 보시면 인력운영비도 마찬가지입니다만 월미공원사업소의 인력운영비로 24억 8666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43쪽으로 넘어가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계양공원사업소입니다.
전년 대비해서 2억 2821만 6000원이 증액된 57억 5073만 8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은 앞부분하고 비슷합니다만 수목ㆍ초화류 생산공급시설에 20억 9628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것도 인건비나 사무관리비 등이 되겠습니다.
그 다음에 844쪽에 양묘포지 정비로 해서 2억 5000을 편성하고 공원관리 및 운영을 위해서 10억 4903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845쪽에 시설조성 및 정비를 위해서 1억 5216만원을 편성하고 치유의 숲 운영을 위해서 6400만원 그리고 인력운영비로서 인건비나 이런 것 되겠습니다만 21억 9367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19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고 이어서 2019년도 기타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기타 특별회계 세입예산은 총 3357억 8596만원으로서 2018년 대비 1022억 3623만원을 증액한 43.8%가 증액됐습니다.
그래서 편성하였고 기타 특별회계 세출은 2018년 대비해서 1075억 1690만원이 증액된 51.9%가 증액된 겁니다. 3146억 3463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 증감내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재난안전 특별회계에 반영돼 있는 게 있습니다.
그래서 지방하천 유지관리사업이 일반회계에 있던 것입니다만 이게 지방하천 유지관리사업을 위해서 16억 200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그 다음에 1170쪽에 수도권매립지 특별회계 예산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3개 시ㆍ도 세입 부분입니다.
3개 시ㆍ도 폐기물 반입수수료 가산전입금 700억원을 편성하였고 경인아라뱃길 조성 부지보상금 등을 위해서 22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순세계잉여금으로 해서 1997억 5701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176쪽에 취약계층 이게 세출 부분입니다.
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측정을 위해서 4000만원, 서구 화학물질 안전관리계획 수립을 위해서 7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1177쪽에 수도권매립지 주변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사업에 3억원 그 다음에 클린서구 조성을 위한 청소차량 구입에 7억원 그 다음에 서북부권역 등 악취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에 12억 964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자치단체자본보조로 해서 악취 및 미세먼지 통합관제센터 운영과 실시간 유해대기 측정차량 구입 등으로 해서 20억 8074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수송도로 클린로드 조성에 12억 7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178쪽이 되겠습니다.
학운리 미세먼지 저감숲 조성과 학운3리 마을길 확ㆍ포장에 14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자치단체자본보조로 해서 노면 청소차량 구입과 쓰레기 상습투기지역 CCTV 설치, 자원재활용 동네마당 설치 등으로 해서 9억 2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밑의 하단 부분에 청라자원환경시설 현대화사업 타당성 용역 심의에 1억 5000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179쪽입니다.
나진포천 환경정비사업에 10억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180쪽에 여기는 하수과 소관입니다만 서구 오류동에 구거환경 정비공사 2억 5000만원을 반영하고 그 다음에 서구 노후 하수암거 정비공사에 13억 7200만원 그 다음에 서구 관내 노후불량 하수도 정비공사에 3억 8592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봉화로 일원 배수로 정비공사에 1억 5000만원 그 다음에 석남유수지 차집관로 신설공사에 32억 2983만 3000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가좌하수처리장 시설 내에 전처리시설 설치를 위해서 18억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182쪽으로 가서 공원녹지과 소관입니다만 경서근린공원 물놀이장 조성공사를 비롯해서 당하어린이공원 리모델링 조성공사, 둘레길 조성 등 해서 전체적으로 25억 90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수질개선 특별회계 예산입니다.
1196쪽이 되겠습니다만 우선 수질개선 특별회계 세입은 기금수입이 주가 되겠습니다.
한강수계관리기금에서 지원되는 기금 54억 7251만 5000원의 세입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순세계잉여금으로 2억 6768만 2000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198쪽에 수질개선 특별회계 세출입니다.
우선 수질개선 특별회계에서 기금운용과 관련해서 사무관리비, 국제화여비 등으로 해서 6억 719만 7000원을 반영하고 수질보전 활동지원을 위해서 1억 93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1199쪽에 한강하구 통합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 2억 2000만원, 굴포천 유지용수 공급사업을 위해서 16억 84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200쪽에 보시면 굴포천 유지용수 공급과 유지관리비 지원을 위해서 4억 64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를 위해서 27억 65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공폐수처리시설 특별회계 예산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공공폐수처리시설 특별회계는 세입이 검단산단 입주업체가 납부하는 일반부담금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시설재투자 적립금과 운영관리비로 해서 40억 240만 4000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순세계잉여금으로 해서 4억 8134만 4000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210쪽이 되겠습니다.
세출에서 공공폐수처리시설 특별회계 세출입니다.
검단공공폐수처리시설에 대한 운영관리비로 해서 28억 58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검단공공폐수처리시설 노후시설의 긴급보수 및 교체 등을 위해서 50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예비비로 해서 15억 7574만 8000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도시개발 특별회계 예산입니다.
도시개발 특별회계는 세입 부분에서는 하수과 소관으로 있습니다만 하수도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해서 12억 2800만원을 반영하였고 하수도의 설치 및 관리, 가좌하수처리장의 악취개선 사업입니다.
11억 16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1315쪽에 세출입니다.
도시개발 특별회계 전체 중에서 하수도 쪽의 소관만 말씀드리면 우선 시설비 및 부대비로 해서 24억 56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주로 가좌분뇨처리시설의 확충사업과 이와 관련되는 감리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밑에 가좌분뇨처리시설 악취개선사업과 시설비 및 부대비로서 22억 32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 1316쪽에 열린광장 조성을 위해서 33억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청솔공원입니다, 죄송합니다.
청솔공원 조성을 위해 33억을 반영하였고 밑에 열린광장 조성을 위해서 15억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원도심 특별회계 사항이 되겠습니다.
1349쪽에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세입 부분입니다.
세입은 공원녹지과의 장기미집행 공원에 대한 지방채 이자지원 국비가 한 50% 지원됩니다만 이자지원을 위해서 2억 4800만원이 반영돼 있습니다.
그리고 1350쪽에 지방채 발행입니다.
정부 지방채로서 아까도 말씀이 있었습니다만 공원 조성과 관련해서, 일몰공원 조성 관련해서 220억의 예산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1351쪽에 일반회계 전입금으로 해서 77억 13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1361쪽에 공원녹지과 소관에 세출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드리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우선 지난해 대비해서 162억 8157만 9000원이 증액된 299억 61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문학공원 조성에 50억원, 장미공원에 20억원, 인천대공원 조성에 보상금이 되겠습니다만 6억 8500만원, 도롱뇽 도시생태공원 조성과 여기에 7억 1000만원, 함봉근린 조성에 16억원, 연희공원 조성에 170억원 이렇게 반영하였고 자치단체보조로 해서 군ㆍ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공원사업과 관련해서 20억 86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환경녹지국 소관 2019년도 일반 및 기타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