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일자리경제본부장 김상섭입니다.
보고에 앞서서 일자리경제본부 간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구영모 일자리기획관입니다.
홍준호 일자리경제과장입니다.
임경택 산업진흥과장입니다.
신남식 신성장산업과장입니다.
장병현 소상공인정책과장입니다.
조명노 청년정책과장입니다.
김경찬 사회적경제과장입니다.
김기학 투자유치과장입니다.
나기운 국제협력과장은 UN 국제상거래법위원회 사무국장 행사 건으로 잠시 이석하고 있습니다.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박철현 에너지정책과장입니다.
한태호 농축산유통과장입니다.
장호윤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소장입니다.
송태영 삼산농산물도매시장소장입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보고드리겠습니다.
2019년도 일자리경제본부 소관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2019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사업비 집행잔액과 발생이자 등의 세입편성과 국비의 사업 확정에 따른 사업비 변경금액 등을 반영하였습니다.
추경 세입예산 규모는 일반회계 기정예산 대비 9.6%인 193억 4367만 3000원이 증액된 2203억 5258만 7000원을 편성하였고 세출예산 규모는 기정예산액 대비 9.5%인 323억 8643만 9000원이 증액된 3730억 897만 9000원이 되겠습니다.
그러면 주요 세입내역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87쪽입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입입니다.
일자리경제과는 기정예산 대비 6억 239만 4000원이 증액된 61억 9566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사업으로는 2018년 어린이 하굣길 길동무사업에 따른 발생이자 및 집행잔액, 2017년 지역 노사민정 협력 활성화 지원사업 발생이자 및 집행잔액, 2018년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수익 등으로 6억 1790만 2000원이 세외수입으로 증액편성되었습니다.
다음으로 87쪽에서 88쪽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산업진흥과 세입은 제품안전 인프라 구축사업 및 행정안전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의 기술혁신 창업기업 청년취업연계 프로젝트에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른 11억 3000만원을 증액편성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88쪽에 소상공인정책과는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사업에 특별교부세 36억원 및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른 36억원을 신규편성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이어서 청년정책과는 지역성장 도약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청년인턴 취업연계 지원사업, 비즈니스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사업에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른 17억 99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사회적경제과는 사회적기업 사업개발비, 사회적기업 지역특화사업, 마을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에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른 1억 4900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88쪽에서 89쪽에 에너지정책과 사업이 되겠습니다.
취약계층에 대한 에너지복지 사업, 군 단위 LPG 배관망 지원사업, LPG 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에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른 78억 9274만원을 증액편성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89쪽 농축산유통과 세입은 2017년 수출유망품목 공동마케팅 지원 국비 발생이자 등 430만원을 세입조치하였고 행정안전부 재난안전특별교부세 교부결정에 따른 구제역 방역 대책비 4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정부양곡관리비 지원 등 국고보조금 8억 1971만 4000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저온수송차량 유통체계 구축사업 등 기금 6억 3566만 9000원은 감액편성하였으며 2018년도 방역본부 방역요원 및 도축검사원 인건비 등 국비 집행잔액 452만 5000원은 세입조치하였습니다.
다음은 285쪽 세출예산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 세출예산 규모는 일반회계 기정예산 대비 323억 8643만 9000원이 증액된 3730억 897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는 본예산 대비해서 9.5%가 증액된 규모입니다.
285쪽에 일자리경제과 세출사항입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출예산은 204억 3789만 6000원으로 기정예산 대비 8501만 2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먼저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의 확정내시에 따라서 8960만원을 감액하였고 신중년 경력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은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에 선정되어서 1억 856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86쪽 청년취업지원을 위한 산업단지 무빙콜 사업 및 지역산업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은 국고보조금 확정내시에 따라 3600만원 및 2480만원을 각각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87쪽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시설보수 및 북카페 도서 구입 등을 위해서 22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2019년 소비생활센터 파견인력 지원으로 공정거래위원회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라서 2781만 2000원 전액을 국비로 신규편성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288쪽 산업진흥과 세출입니다.
산업진흥과 세출예산은 기정예산 대비 5.7%인 18억 1400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먼저 제품안전 인프라 구축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되어 11억 14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다음으로 289쪽 행정안전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기술혁신 창업기업 청년취업 연계 프로젝트도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라서 국ㆍ시비 매칭 7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90쪽 소상공인정책과 사항입니다.
소상공인정책과의 세출예산은 300억 1225만 9000원으로 기정예산 대비해서 122억 9687만 4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주요한 증감 내용으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중에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1억원과 분쟁조정제도 운영을 위한 정보공개서 등록 심사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24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91쪽 인천e음 전자상품권 활성화 도모를 위한 인천e음 전자상품권 지원 활동가 운영에 운영비 1억원과 인건비 18억 6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인천e음 QR 간편결제 가맹점 모집인 운영에 운영비 13억 2000만원과 가맹점 수수료 및 인건비 등 9억 2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91쪽 하단과 292쪽 사항입니다.
소상공인 매출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은 행정안전부의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라서 직접사업비 47억 8000만원, 지원사업 24억 2000만원 등 총 72억원을 국ㆍ시비 매칭사업으로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93쪽 청년정책과 세출사항이 되겠습니다.
청년정책과 세출예산은 기정예산 대비 21.6%인 37억 72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지역성장 도약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에 9억원, 청년인턴 취업연계 지원사업에 22억 2000만원, 비즈니스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에 6억 5200만원을 세출예산에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294쪽 사회적경제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사회적경제과 세출예산은 기정예산 대비 0.3%인 4185만 6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국고보조금 확정내시에 따라서 사회적기업 사회개발비 지원사업에 3억 4364만 3000원을 감액하였고 295쪽 사회적기업 지역특화사업으로 시 직접사업비로 1000만원, 군ㆍ구 지원사업비로 2549만 9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인천상생유통지원센터 운영사업은 국고보조금 지원에 따른 인건비와 운영비, 자산취득비 등 시비 2억원을 신규편성하였고 이어서 296쪽 마을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은 행정안전부의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라서 국ㆍ시비 1억 5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97쪽 투자유치과 세출이 되겠습니다.
투자유치과 세출예산은 16억 9539만 3000원으로 기정예산 대비 300만원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98쪽 에너지정책과 세출입니다.
에너지정책과 세출예산은 기정예산 대비 33.2%인 126억 1057만 5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등 LED 교체사업인 취약계층 에너지복지사업은 국고보조금 확정내시에 따라서 35만원을 감액하였고 이어서 299쪽 군 단위 LPG 배관망 지원사업 및 LPG 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에 국고보조금 확정내시에 따라서 13억 482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홍예문로, 수문통로, 남부초등학교 등 총 5개 지역에 전선류 지중화 사업을 위해서 시비 16억 705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299쪽 하단에 전기승용차 민간보급사업은 국비 증액으로 96억 529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301쪽부터 농축산유통과 세출이 되겠습니다.
농축산유통과 세출예산은 기정예산 대비 1.1%인 17억 6312만 2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감 내용으로 먼저 국고보조금 확정내시에 따라서 정부양곡 할인지원사업 택배비 9억 137만 6000원, 사회적농업 활성화 지원사업에 51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논타작물 재배지원은 국비 감액에 따른 2억 1114만원을 감액하였고 강화 고려인삼축제 지원 20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303쪽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라서 바른 식생활교육 지원에 3750만원을 증액하였고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사업에는 1억 3100만원을 감액편성하였고 종균활용 발효식품산업 지원에 6000만원은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04쪽 유기질 비료 지원사업은 국ㆍ시비 13억 4457만 2000원을 감액하였고 토양개량제 지원은 2억 2333만 9000원을 증액하였고 305쪽입니다.
저온유통체계 구축사업은 국ㆍ시비 3825만원을 감액하였고 농기계 임대사업소 설치 지원사업은 13억 5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06쪽에 길정지구 배수개선사업에 5억 9800만원은 감액하였고 국가관리방조제 개ㆍ보수사업에 10억 1200만원, 지방관리방조제 개ㆍ보수사업에 2억 5500만원을 각각 증액하였습니다.
상습가뭄 및 물 부족 해소를 위해서 강화서부 농업용수 공급사업에 시비 4억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307쪽 농촌관광 육성을 위하여 농촌체험마을 사무장 인건비 및 농촌체험마을 보험 가입 지원에 3701만 1000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융자사업 전환에 따른 국비 미지원으로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에 6억 3028만 8000원은 감액하였습니다.
다음 308쪽 학생승마 체험활동 3308만원은 증액하였고 가축방역시책 워크숍 500만원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09쪽 국고보조금 확정에 따라서 축산차량등록제 지원에 1485만원을 감액하였고 돼지 써코바이러스 예방주사, 구제역 예방주사, 가축매몰지 사후관리 등 구제역 및 AI 예방약품 구입 지원사업에 4897만 3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310쪽 방역차량 및 소독차량 지원 2100만원을 증액하고 유실ㆍ유기동물 입양비용 지원에 2156만원을 감액하였습니다.
다음은 311쪽입니다.
기타 국고보조금 반환금으로 2017년도, ’18년도 국고보조금 집행잔액 및 이자 526만 9000원은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62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 사업 1건으로 에너지정책과의 태양광발전설비 설치사업은 수도권매립지 간접영향권 지역 내 주민들에게 청정에너지인 태양광 발전을 통해서 실질적인 에너지 비용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1억 3300만원이 신규편성되었습니다.
다음은 608페이지로 넘어가겠습니다.
608페이지에 원도심 활성화 특별회계 1건의 사업으로 소상공인정책과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에 30억 7144만 7000원이 증액된 64억 3253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19년도 일자리경제본부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