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경제본부장 김상섭입니다.
먼저 항상 열의를 가지시고 시민복지 향상을 위해서 의정활동에 전념하고 계시는 김희철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서 일자리경제본부 간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구영모 일자리기획관입니다.
홍준호 일자리경제과장입니다.
임경택 산업진흥과장입니다.
신남식 신성장산업과장입니다.
장병현 소상공인정책과장입니다.
조명노 청년정책과장입니다.
김경찬 사회적경제과장입니다.
김기학 투자유치과장입니다.
나기운 국제협력과장입니다.
박철현 에너지정책과장입니다.
한태호 농축산유통과장입니다.
장호윤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소장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송태영 삼산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장은 현재 병가 중으로 이 자리에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양해 말씀드립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배부해 드린 사항별설명서를 중심으로 일자리경제본부 소관 세입ㆍ세출 결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7쪽입니다.
일반회계 세입 결산 총괄입니다.
세입예산 목표액인 예산현액은 총 788억 8057만 1000원이고, 징수결정액은 775억 1595만 6760원이고 99.5%에 해당하는 771억 65만 4713원을 수납하였습니다.
미수납액 중에서 1985만 8040원은 결손처분하고 3억 9544만 4007원은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세외수입은 136억 3601만 2981원을 징수결정해서 이 중 132억 2071만 934원을 수납하고 4억 1530만 2047원이 미수납되었습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드리면 경상적세외수입 중에 공유재산임대료와 기타사용료, 기타이자수입 등으로 80억 2475만 1189만원을 수납하고 3404만 2499원이 미수납되었습니다.
미수납 사유로 일자리경제과 소관 지역 노사민정 활성화 지원사업 이자반납 지연 등의 사유가 있었고 이 건에 대해서는 올 1월 7일 13만 7422원을 수납완료하였고 삼산농산물도매시장 공유재산대부료 납부지연금 2758만여 원도 올 1월 30일 수납완료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임시적세외수입은 시ㆍ도비 반환금 수입, 과태료 및 그외수입 등입니다.
51억 9595만 9745원을 수납하고 3억 8125만 9548원이 미수납되었습니다.
미수납된 사유는 일자리경제과 노사민정 활성화 지원사업 집행잔액이고 그 건은 올해 1월 7일 수납완료되었고 산업진흥과 계량법 과징금 및 산집법 위반 과태료 2억 3710만원이 미수납된 상태이고 산업집적법 위반 과태료 853만 9800원은 결손처분되었습니다.
신성장산업과의 2017년도 강화특화헬스케어 소재의 글로벌제품화 육성사업 집행잔액 122만 55원은 올해 2월 14일 수납되었습니다.
또한 에너지정책과의 전기공사업법, 전기기술관리법 등 위반 과태료 100만원은 올 1월 수납완료되었고 2017년도 전기공사업법 위반 과태료 424만 8000원에 대해서는 결손처분하였습니다.
농축산유통과 축산물위생관리법 위반 과태료 중 247만 5000원은 결손처분, 614만 3000원은 미수납된 상태입니다.
다음으로 보조금은 614억 5299만 7000원을 징수결정하였고 2억 7540만 6000원을 과오납 반환하였습니다.
과오납 반환 사유로는 산업진흥과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보조금 2억 6546만 4000원이 되겠습니다.
신성장산업과 어린이과학관 사용료 수입 85만 900원도 반환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보존수입은 국고보조금 사용잔액 4억 4694만 6779원이 세입처리되었습니다.
11쪽부터 49쪽까지는 각 부서별로 세입결산 세부내역으로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세출 결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8쪽 되겠습니다.
세출총괄은 예산현액 총 3215억 7806만 305원 중에 79.3%를 집행하였고 나머지 중에서 42억 1777만 6000원은 명시이월하고 1억 1383만 6954원을 사고이월, 574억 868만 4023원은 계속비이월 그리고 48억 199만 7152원은 불용처리되었고 대부분 그 금액은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먼저 명시이월 사유는 산업진흥과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1개사의 공장착공 시기가 변경되어 5억 7936만원을 이월한 사항이 되겠고 청년정책과 인천청년공간 추가 구축사업이 추진기간의 부족으로 10억원이 이월되었고, 사회적경제과의 상생유통지원센터 구축사업이 공사기간의 부족으로 4억원이 이월되었습니다.
또한 에너지정책과의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및 전기버스 구매사업의 경우에 전기자동차의 출고지연 및 전기버스 차종 선정 시 소송으로 인한 사업지연으로 12억 1841만 6000원이 명시이월되었습니다.
농축산유통과의 경우 배수개선 및 농업기반정비사업 10억 2000만원은 국고보조금 미교부 사유로 인해서 이월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사고이월 사유는 일자리경제과의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북카페 조성 공사 절차진행에 따른 시설비 9649만 114원과 국제협력과의 몽골 울란바토르 농업협력 지원사업 농기계구입 및 운송계약 업무 추진 등 소요기간 연장에 따라서 1734만 6840원이 사고이월된 사안이 되겠습니다.
이어서 사항별 집행사항 및 불용액 사유에 대해서 부서별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53쪽 일자리경제과입니다.
일자리경제과에서는 예산현액 194억 2508만 6170원 중에 98.9%를 지출하였고 9649만 114원은 사고이월, 1억 1049만 4366원은 불용되었습니다.
54쪽에 보시면 어린이 하굣길 길동무사업 발대식사업이 있는데 55만 6000원이 지출된 반면에 244만 4000원이 불용되었습니다.
56쪽에 인천 미추홀명장 선발위원회 운영 및 명장부조 제작 등 1087만 7100원이 집행되었고 412만 2900원이 불용되었습니다.
다음으로 61쪽에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북카페 조성 공사사업과 관련해서 앞서 보고드린 대로 설계 등 절차진행에 따라서 9469만 114원이 사고이월되었고 남동복지관 인테리어 공사 및 냉난방 공사 등으로 4억 1896만 8050원이 지출되고 5273만 3096원은 불용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70쪽 산업진흥과 소관입니다.
예산현액이 417억 7969만 695원 중에서 91.8%를 지출하고 5억 7936만원을 명시이월하고 11억 3894만 8428원은 계속비로 이월 그리고 17억 600만 3302원은 불용되었습니다.
72쪽에 보시면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금이 있는데 131억원 중에 99.9%를 지출하고 집행잔액 1518만 8960원은 불용처리하였습니다.
76쪽 개성공단 입주기업 투자 보조금 지원사업이 있습니다.
2개사의 입지보조금 및 설비투자보조금 30억 4680만 3000원 중에서 8억 8156만 8000원이 집행잔액으로 불용되었습니다.
다음으로 84쪽 유신천 주차장 조성사업 시설비 및 부대비 33억 4379만 2470원 중에서 11억 3894만 8428원이 이월되었고 4억 2871만 9802원은 불용되었습니다.
86쪽에 강화일반산업단지 공공폐수종말처리시설 설치사업이 있는데 5억 7502만 9725원 중에 3억 3542만 8650원이 1단계 사업완료에 따라서 집행잔액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다음은 92쪽에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지원사업이 있는데 중소기업 신기술 및 신제품개발지원 및 기업부설연구소 설치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9억 7000만원 중에서 집행잔액으로 2920만 8000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다음은 99쪽 신성장산업과입니다.
예산현액은 354억 4143만 7000원 중에 99.9%가 지출되고 944만 3620원이 불용되었고 이는 대부분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08쪽 소상공인정책과입니다.
예산현액 135억 8353만 7000원 중에 99.8%를 지출하고 2798만 9210원이 불용되었습니다.
다음은 112쪽 소상공인 금융융자 이차지원, 소상공인 홀로서기 창업금융융자 이차지원, 소상공인 희망키움 금융융자 이차지원 등 5개 이차지원사업에 대해서 2520만 2290원이 집행잔액으로 불용처리되었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은 115쪽 청년정책과입니다.
예산현액 109억 1071만 8000원 중에서 90.4%가 지출되었고 4853만 8905원이 불용되었습니다.
주요사항으로 121쪽에 보시면 청년활동 생태계기반조성 및 청년포럼, 인천발전 청년창안공모 시상 등 사무관리비, 행사운영비, 기타보상금 등으로 8000만원 중에서4692만 4445원이 집행잔액으로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다음은 122쪽 사회적경제과입니다.
예산현액이 118억 4657만 8000원 중에서 96.3%가 지출되었고 3846만 9790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132쪽으로 넘어가서 2017년 지역특화사업 3179만 4000원 중에서 21만 4630원을 국고보조금 반환하고 3157만 9370원을 사회적 기업 재정지원을 한 고용노동부 정산 지연에 따라서 집행잔액 처리하였습니다.
다음은 133쪽 투자유치과 소관입니다.
예산현액 16억 9690만 3000원 중에서 98.8%를 지출하고 1969만 8920원이 불용되었고 이는 대부분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36쪽 국제협력과입니다.
예산현액 56억 5945만 3000원 중에서 91.4%를 지출하였고 1734만 6840원은 사고이월, 4억 6798만 8055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138쪽에 인천에 파견된 중국공무원 숙소임차보증금의 경우 중국 선양시에서 공무원 선정 지연으로 숙소임차보증금 500만원 전액이 미집행되었고 142쪽으로 넘어가서 공무국외여행 허가에 따른 국외업무여비 및 국제화여비 7억 4500만원 중에서 9832만 8000원이 집행잔액으로 불용처리되었습니다.
146쪽에 주중 인천경제무역대표처 운영에 따른 사무관리비 5억 4787만 6000원이 있는데 이 중에서 1억 5096만 6692원이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53쪽에 에너지정책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에너지정책과의 예산현액은 197억 1011만 8000원 중에서 93.8%가 지출되었고 12억 1841만 6000원이 명시이월, 1020만 3460원을 불용처리되고 대부분은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명시이월 사유로는 전기자동차 민간보급 647대를 지원하기로 했는데 제작, 판매사의 출고지연에 따른 이월 그리고 전기버스 관련한 소송으로 인한 사업 지연에 따른 이월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63쪽에 농축산유통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예산현액 1538억 6485만 9440원이고 이 중에 61.3%인 943억 8333만 8114원이 지출되었고 10억 2000만원은 명시이월, 562억 6973만 5595원은 계속비이월 그리고 21억 9178만 5731원이 불용되었습니다.
세부사항 중에서 167쪽으로 가시면 쌀소득보전직불제 보조금이 있습니다. 122억 716만 4000원 중에서 121억여 원을 지출하고 국비가 미교부됨에 따른 9768만 2000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다음으로 170쪽 논타작물재배 지원사업이 있는데 21억 1140만원 중에서 4억 974만원을 지출하고 국비가 미교부됨에 따라서 17억 166만원을 불용처리되었습니다.
같은 쪽에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 지연에 따른 시설비 및 감리비 562억 6973만 5595원은 좀 전에 말씀드린 대로 계속비이월됐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196쪽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입니다.
예산현액 36억 3613만 5000원 중에서 98.3%가 지출되고 6320만 9750원이 불용되었는데 대부분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201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입니다.
예산현액은 40억 2354만 5000원 중에서 97.3%가 지출되었고 1억 817만 2043원이 불용되었는데 이 또한 대부분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217쪽으로 넘어가서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세입 결산안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세입예산 목표액인 예산현액은 총 93억 4만 5000원이고 100% 수납되었습니다.
다음은 218쪽 특별회계 세출 결산입니다.
세출예산은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및 수도권매립지 주변 환경개선 특별회계로 예산현액이 99억 5474만 5000원인데 이 중에서 74억 5033만 7000원이 지출되었고 25억 440만 8000원이 명시이월된 사안입니다.
명시이월 사유는 227쪽에 보시는 것처럼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지정 절차가 있는데 그 이행 중에 재생시행 계획수립 용역 발주가 순연되어서 16억원이 명시이월된 사유가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230쪽에 15개 전통시장에 대한 화재알림시설 설치사업이 있는데 9억 440만 8000원이 국비가 지급되지 않음으로 인해서 이월된 사안이 되겠습니다.
이어서 일자리경제본부 2018회계연도 기금결산안에 대해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239쪽이 되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239쪽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일자리경제본부는 3가지 종류의 기금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중소기업육성기금의 경우 인천광역시 중소기업육성기금 설치 및 운용조례에 의거해서 1993년에 설치된 기금이 되겠습니다. 2018년도 말 현재 액이 748억 834만 6543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두 번째로 에너지사업기금은 인천광역시 에너지사업기금설치 및 운용조례에 의거해서 1992년에 설치되어 기후변화 대응 관련 사업 지원 및 도시가스 확대를 목적으로 조성되고, 운영되고 있고 2018년도 말 현재 218억 6922만 4431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농어촌진흥기금은 인천광역시 농어촌진흥기금설치 및 운용조례에 의거해서 ’98년에 농ㆍ어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설치되었고 2018년도 말 현재액이 108억 254만 9412원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상으로 일자리경제본부 사업을 개괄적으로 보고드림을 너그럽게 양해해 주시기 바라고 2018회계연도 세입ㆍ세출 결산 및 기금결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