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상수도 사업본부장 박영길입니다.
지금부터 2020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 사항별설명서를 토대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020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예산안은 수돗물 적수사태 후속조치로 노후수도관 정비 및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등 인프라 조기 개선과 스마트 물관리체계 도입을 통한 시민안심 수돗물 공급체계 구축 등 주요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재원을 배분하여 예산안을 편성하였습니다.
먼저 사항별설명서 5쪽 예산안 총괄표입니다.
2020년도 예산안 규모는 우측 예산총계와 같이 총 4149억 8200만원입니다.
2019년도 본예산 4350억 7900만원 대비 약 200억 9600만원이 줄어든 규모입니다.
왼쪽 상단 사업수익은 전년도 2538억 7900만원에서 95억 5300만원 증액된 2634억 3300만원, 중앙의 자본적 수입은 전년도 1811억 9900만원에서 296억 5000만원이 감액된 1515억 4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왼쪽 하단 세출예산입니다.
사업비용은 2019년도 본예산 2237억 1900만원 대비 81억 9400만원이 증액된 2319억 1400만원입니다.
자본적 지출은 전년도 2113억 5900만원에서 282억 9000만원이 감액된 1830억 6800만원입니다.
다음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주요 반영사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11쪽부터 14쪽까지 사업수익은 2634억 3300만원으로 전년 대비 95억 53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11쪽 영업수익 중 사용료 수익은 수도 전수 증가분에 대한 반영으로 2019년도 42만 전 반영분보다 1만 전이 증가한 43만 전을 반영하여 가정용과 일반용이 107억 6500만원 증가하였고 대중탕용은 매년 수요가 줄고 있어 3억 8800만원 감액계상했으나 전체 사용료 수입은 수도전수 및 사용량 증가로 102억 2500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12쪽 급배수공사 수익은 신설공사와 개조공사 사업의 감소로 전년 대비 9억 3500만원이 감소한 67억 9900만원입니다.
다음은 13쪽 이자수익입니다.
자금운영에 따른 이자수익으로 정기예금과 공공예금 이자를 반영하여 31억 70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전입금으로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시설 유지관리비 3200만원을 증액한 12억 75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타회계 특별 전입금 수입은 하수도 사용료와 물이용부담금 징수에 대한 수수료 수입으로 하수도 사용료 징수액의 1.8%와 물이용부담금 징수액의 1.7%를 반영하여 43억 7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3쪽 하단과 14쪽은 기타영업외수입으로 공유재산 임대수입과 폐자재 매각수입 및 각종 정산금 수입으로 6억 6900만원입니다.
다음은 수익적 지출사항입니다.
이하 예산안 내역에 대하여는 시간관계상 주요신규 또는 증액 사업비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이 점 양해하여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17쪽부터 38쪽까지는 업무부, 급수부, 시설부 등 본부 3개 부서 소관사항입니다.
17쪽 원수 및 취수비로 분류되는 풍납ㆍ성산가압장 인건비 17억 9600만원을 포함하여 검침원 정규직 전환으로 인한 신분 변동 및 일반직 등 호봉상승분 등을 반영해서 28억 900만원이 증액된 본부 인력운영비 554억 1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8쪽 상수도콜센터 통합운영 상담사를 21명에서 25명으로 4명을 증원해서 2억 2700만원을 증액하여 상담사 인건비를 편성하였습니다.
29쪽 수돗물 시민평가단 및 대학생 서포터즈 운영예산으로 1억 5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2쪽 급수부 소관사항으로 풍납 및 팔당 원수구입비로 전년 대비 28억 1200만원이 증액된 584억 8000만원을 편성하였고 강화, 영흥, 운연동 지역의 수돗물 공급을 위한 정수구입비는 전년 대비 4600만원 증액된 14억 2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34쪽 기존 상수도관리시스템 노후화로 고도화된 운영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국가표준방식의 상수도관리시스템(GIS) 예산으로 11억 1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수운영시스템의 통합 유지관리비 예산 1억 1300만원을 증액하여 총 7억 8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6쪽 시설부 사항으로 풍납취수장 등 운영 동력비로 전년 대비 1억 5200만원이 증액된 71억 7000만원을 반영하였으며 4개 정수장 동력비는 전년 대비 1억 5700만원 증액된 91억 3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7쪽 부평정수장 외 3개 정수장에 대해 법적 의무사항으로 매 5년마다 실시하는 기술진단 용역비 19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9쪽 수질연구소부터 122쪽 강화수도사업소까지는 사업소 소관예산으로 신규사업과 주요사업, 공통사업 위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47쪽 수도시설관리소의 상하수도관 교체비는 권역별 상하수도관 정비ㆍ수선사업으로서 12억원을 반영하였으며 5개 지역 수도사업소에서 시행하는 상하수도관 교체비 반영액을 포함하여 2억 6500만원이 증액된 73억 69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쪽부터 82쪽까지는 부평정수사업소를 포함한 4개 정수사업소 소관 사업예산으로서 재료비, 공공요금 등 필수경비와 정수약품, 노후정수시설물 보수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역은 설명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88쪽 중부수도사업소 노후 옥내급수관 개량비용 지원사업은 3억원을 반영하였으며 5개 지역 수도사업소에 반영된 전체 개량비용 지원사업비는 전년보다 3억 4000만원이 증액된 13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9쪽 상단 상수도 세관공사는 중부수도사업소 4억 7700만원 등 5개 지역 수도사업소 14억 29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기타 91쪽부터 122쪽까지 지역 수도사업소 예산은 매년 반복적으로 시행되는 노후관정비, 급수공사비, 시설물 유지ㆍ보수공사비와 일반운영비 등을 반영한 것으로 세부사업은 사항별설명서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123쪽 자본예산 부분으로 자본적 수입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27쪽 자본잉여금 수입은 전년도 예산액 1141억 9400만원 대비 579억 1000만원이 감액된 562억 84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자본잉여금 수입의 증감요인은 스마트 관망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국비 206억원이 신규 반영되어 국고보조금 수입이 212억 6900만원이 증액되었으나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인 SOC사업비 등 타회계 건설보조금 수입이 604억 4900만원이 감액되는 등의 요인이 반영된 사항입니다.
128쪽 순세계잉여금은 전년 결산 대비 530억원이 줄어든 914억 23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29쪽 자본적 지출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31쪽 하단의 자본적 지출 예비비는 전년도 예산액 361억 3500만원 대비 243억 3100만원이 감액된 118억 4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32쪽 급수부 소관사업입니다.
주요 맨홀표지기 설치사업은 전년 대비 2억 3400만원 증액된 5억 400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수돗물 공급과정에서 ICT기술을 접목하여 수돗물 신뢰도 향상을 위해 추진하는 스마트관망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412억원 9000만원, 수돗물 직접 음용 음수대 설치사업 3500만원을 신규 반영하였습니다.
134쪽 시설부 소관사업입니다.
장봉도 지방상수도 공급시설공사는 61억 1000만원을 추가하여 반영하였으며 134쪽 하단 공촌정수장 고도정수처리산화시설공사 94억원과 135쪽 상단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공사 66억원은 맛, 냄새 유발물질 및 신종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고도정수처리산화시설 공사로 감리비 등을 포함하여 총 17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35쪽 성산가압장~마곡 간 도수관로 정비공사부터 137쪽 영종도 해저송수관로 건설공사 사업까지는 계속비사업으로 공사 공정 및 연차별 계획에 따라 예산이 반영된 사항입니다.
137쪽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은 83억 1700만원을 반영하였으며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사업은 전년도 변동 없이 12억 86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39쪽부터 168쪽까지는 수질연구소와 수도시설관리소, 정수사업소, 지역 수도사업소 소관대상으로 139쪽의 자산취득비는 노후되거나 신규도입 필요성이 있는 물품, 검사장비, 기구 등 구입예산으로 수돗물 생산과정의 고형 이물질 성상분석을 위한 분석기 기종을 구입하기 위해서 수질연구소 및 4개 정수장에서 전년 대비 7억 6700만원이 증액된 14억 79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41쪽 수도시설관리소 노후관 정비공사는 노후수도관 교체ㆍ정비를 하기 위해서 40억 8700만원을 반영하였으며 수도시설관리소 및 5개 사업소 전체예산은 전년 대비 62억 8900만원을 증액한 192억 67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43쪽에서 157쪽까지는 부평정수사업소 등 4개 정수사업소 소관 자본예산으로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등 정수장 운영에 필요한 시설 유지보수 예산을 반영한 사항입니다.
158쪽에서 159쪽까지는 중부수도사업소의 자본적 지출사업으로 158쪽 하단 급배수관 부설공사는 상수관로 미부설구간에 급배수관을 부설하는 사업으로 중부수도사업소 18억 1800만원 등 4개 사업소 111억 5100만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158쪽 하단 블록시스템 정비공사는 중부수도사업소 26억 2000만원 등 전년 대비 15억 9900만원을 증액하여 5개 지역수도사업소에 61억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이하 159쪽부터 168쪽까지는 5개 지역수도사업소 자본적 지출에 관한 사항으로 연례 반복적 노후관 교체, 블록시스템 정비, 급배수관 정비 등의 사업이며 자세한 설명은 사항별설명서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존경하는 김희철 위원장님과 여러 위원님!
지금까지 보고드린 바와 같이 2020년도 예산안은 수질피해 후속조치 이행 및 시민과 공감ㆍ소통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상수도시설 투자사업을 우선으로 예산안이 편성된 것을 감안하시어 부디 원안대로 의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이상으로 2020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