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경제본부 2020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위원님들께 기 배부해 드린 2020년도 세입ㆍ세출 예산서에 의거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2020년도 일반회계 세입은 총 3087억 6239만 7000원으로 2019년 본예산 2010억 891만 4000원 대비 53.6%가 증액됐습니다. 금액으로는 1077억 5348만 3000원이 증액된 규모가 되겠습니다.
주요 증액 사유는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에 따른 국고보조금 260억원과 지역개발기금 예수금 600억원 기타 국고보조금과 세외수입 증가분에 따른 증액이 되겠습니다.
다음 47쪽과 50쪽 일반회계 세출은 총 4117억 886만 5000원으로 2019년도 본예산 3406억 2934만원 대비 20.9%인 710억 7952만 5000원이 증액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주요 증액사업은 수출규제 피해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위한 특례보증 8억원, 인천광역시 희망드림 특례보증사업에 8억원, 인천e음 전자상품권 발행 지원을 위한 시비 578억원, 지역성장 도약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에 10억원,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에 10억원, 강화일반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 설치 38억원, 인천 파브산업 육성 지원 20억원, SW(소프트웨어) 융합클러스터 2.0 지원사업에 15억원,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 11억원, 군 단위 LPG배관망 지원사업에 13억원 등입니다.
보고드린 사업들은 신규로 편성되거나 증액된 사업들이 되겠습니다.
그러면 주요세입 예산편성 내역에 대해서 부서별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05쪽입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입이 되겠습니다.
일자리경제과에서는 전년도 52억 6153만원 대비해서 2%가 감소된 51억 7252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제물포스마트타운 임대료, 회의실 사용료, 기타수입 등 7억 8036만 2000원을 세입편성하였고 중장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신중년 경력활용 일자리사업,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사업 등에 지원되는 국고보조금 43억 9000여 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소상공인정책과 세입은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에 따른 특별교부세 130억원, 국고보조금 130억원 합해서 260억을 세입편성하였고 지역개발기금 예수금 600억원을 세입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06쪽 청년정책과 세입은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인 창업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에 24억 3000만원, 지역성장 도약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에 5억 9400만원을 국고보조금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사회적경제과 세입은 사회적기업 사업개발비 지역특화사업, 마을기업 육성,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등에 따른 국고보조금 증액으로 전년도 대비 10%가 증액된 90억 8270만 4000원을 세입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노동인권과 세입은 근로자임대아파트 임대료, 근로자문화센터 수강료,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 수익 등 3억 8084만원의 세외수입과 지역 노사민정 협력 활성화를 위한 국고보조금 5090만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07쪽 산업진흥과 세입은 미추홀아이마켓 운영 수익과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운영 수익 등 세외수입과 강화 공공폐수처리시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등에 따른 국고보조금 일부 감액으로 전년도 21억 823만원 대비 52.6% 감액된 10억 9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미래산업과 세입은 어린이과학관, 로봇랜드, SW융합클러스터, 글로벌스타트업캠퍼스 임대수입과, 어린이과학관 입장료 수입 등 세외수입 증가에 따라서 전년도 23억 3300만원 대비 15%가 증액된 26억 9093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에너지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대비 47.5%가 증액된 334억 426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내역으로는 108쪽 천연가스 충전소를 위한 토지 임대료 등 2억 1477만 1000원을 세외수입으로 편성하였고 다음 지역에너지 절약을 위한 시설보조사업, 군 단위 LPG배관망 지원사업,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국고보조금 증액으로 331억 8949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농축산유통과 세입은 전년도 예산 대비 3%가 증액된 1575억 7417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 사유로는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 건립에 따른 공유재산 매각수입금으로 1224억원을 편성하였고 정부양곡관리비,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유기질비료 지원, 국가 및 지방 관리방조제 개보수, 구제역 예방 약품 구입비, 가축매몰지 사후관리 등 국고보조금으로 266억 7417만 3000원을 편성하였고 110쪽 농어촌진흥기금 85억원을 예수금 수입으로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20쪽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세입은 시장 및 시설 사용료 등 세외수입으로 전년도 대비 242%가 증액된 76억 5194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121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세입은 재산임대수입 및 사용료수입 등 세외수입으로 전년도 대비 5%가 늘어난 27억 3001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부서별 세출예산을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안 691쪽부터가 되겠습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예산 164억 5719만 2000원 대비 1% 증액된 165억 9998만 3000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일자리위원회 사무관리 및 행사운영비로 7000만원을 편성하였고 기업연계형 청년 일ㆍ경험 지원사업 등 일자리위원회 정책사업비로 3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692쪽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에 2억 6880만원, 경력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 2억 4000만원을 편성하였고 다음 693쪽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에 50억원, 시와 군ㆍ구 상생협력 특화일자리 사업 13억원, 중소기업 근로자 기숙사 임차료 지원사업에 4억원, 뿌리산업 경력형성 지원을 위한 평생일자리창출사업 15억원, 고용연장 지원사업 7억원 그리고 맨 하단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에 7억 8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694쪽 기능경기대회 개최 및 참가 지원에 7억 9000만원, 일자리박람회 및 취업설명회 개최 지원, 군ㆍ구 일자리 지원기능, 일자리 희망버스 운영비 등 취업 지원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4억 79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695쪽입니다.
제물포스마트타운 운영비 24억 2067만 5000원과 잡스 인천 운영에 2억 5200만원, 미래 일자리 찾기 청소년 직업체험 등을 일자리 취업ㆍ창업기관 협력 지원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하단에 지방 물가대책 추진사업과696쪽 소비생활센터 운영, 고령소비자 피해 제로화 사업, 소비자 보호사업, 물가관리와 소비자 권익 증진을 위해서 5억 2645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697쪽 한국GM 연구개발시설 외자유치사업에 대한 원금 및 이자상환비로 16억 5162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698쪽 투자유치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예산 대비 85%가 감액된 2억 6158만 8000원이 되겠습니다.
전년도 대비 85%가 감액된 이유는 인천대교 송도 측 접근로 및 기반시설 공사비를 위한 차입금 원리금 상환이 완료됨에 따라서 투자유치과 세출예산 규모가 대폭 감소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그 외 주요 세출내용으로는 투자유치기획위원회 운영 2100만원, 투자유치 홍보물 제작에 3000만원, 시민과 공무원 대상 투자유치 성과급 1000만원, 국내외 투자기업 보조금 1억원, 투자유치 홍보 마케팅 5500만원 등이 되겠습니다.
다음 700쪽 국제협력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예산이 55억 6696만원이었습니다. 여기 대비해서 8.6%가 증액된 60억 4583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국제도시 교류에 따른 외빈초청행사 9092만원, 청소년 자매도시 교류 1700만원, 자매도시 공무원 상호파견 6790만원 그리고 701쪽 국제관계대사 운영 3335만원 그리고 공무 국외여행에 7억원, 702쪽 지방자치단체연합 국제기구 부담금 3500만원, 시ㆍ도지사협의회 분담금 1억 251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03쪽 아시아권 교류도시 의료 지원사업 5000만원, 인차이나포럼 운영 3억 5560만원 그리고 하단에 주중 인천 경제무역 대표처 운영 6억 3530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04쪽입니다.
하단에 한중FTA 지방경제협력 운영에 2985만원 그리고 705쪽 신남방ㆍ신북방국가와의 자매 우호도시 국제교류를 위해서 3000만원, 국제기구 청년인턴십 프로그램 운영에 1억원, 국제기구 공관 임차료 4억원, 국제부담금 31억 83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07쪽부터 소상공인정책과 세출이 되겠습니다.
전년도 177억 1538만 5000원 대비 707%가 증액된 1429억 5112만 6000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스마트 전통시장 감성지도 구축사업 4810만원, 전통시장 장보러 가는 날 사업 지원 1억원, 우수시장 상품전시회 지원 등 상인들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1억 4000만원을 편성하였고 공동배송센터 운영 지원을 위해서 7987만원, 전통시장 매니저 지원에 5868만원을 편성해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습니다.
다음 708쪽 정보공개서 등록 지원 등 공정거래 운영을 위해서 647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09쪽에서는 인천신용보증재단 일반보증 재원에 10억원, 일자리창출, 청년창업 일자리, 골목상권 등을 위한 특례보증 32억원, 수출규제 피해기업 금융 지원 8억원, 저신용자 지원을 위한 인천시 희망드림 특례보증 8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또 소상공인 전용 노란우산공제 가입 지원을 위한 6억원, 소상공인 특화 창업교육 지원 1억원, 호국보훈 대상자 전ㆍ월세 임차보증금 및 홀로서기 및 희망키움 그리고 최저임금 인상, 일자리창출, 수돗물 피해지역 소상공인 지원 등을 위한 이차보전금에 19억 4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10쪽이 되겠습니다.
소상공인 및 금융 소외자 지원을 위해 22억원, 골목상권 활성화 및 산학연계를 통한 일자리창출 1억원, 인천 노포 발굴 및 육성 1억 3980만원을 편성하였고 인천사랑전자상품권 운영비로 6억원, 인천e음 공동체 참여활동 지원 3억원, 인천사랑전자상품권 어플리케이션 유지보수비에 4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11쪽 입니다.
인천e음 상품권 발행 지원을 위해서 838억원을 편성하였고 하단에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46억 1855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12쪽 기타회계 전출금으로 400억 4109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중소기업육성기금 전출금으로 15억원을 편성하였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713쪽부터 청년정책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예산액이 174억 8096만원이었습니다만 이에 대비해서 4%가 감액된 167억 398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1석5조 인천 청년사랑 프로젝트에 12억원, 청년 고용한 우수기업에 대한 근로환경개선 지원을 위해서 10억원, 청년 적금통장 지원사업에 11억 400만원, 대학일자리센터 운영 지원사업 2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14쪽에는 금번 부평구에 신규조성된 유유기지 운영비로 1억원, 인천 청년공간 유유기지 5억 8400만원, 청년학교 및 청년 경험응원 프로젝트에 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지원사업으로 창업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44억 2800만원, 지역성장 도약기업 청년일자리 사업에 10억 8000만원을 편성하였고 구직활동을 위한 드림체크카드 지원사업에 11억 8600만원, 청년 월세비용 지원사업 5억원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15쪽 초기창업과 창업도약 패키지 등 창업보육 지원을 위한 출연금 7억 3000만원과 창업보육센터 지원 등에 3억 7000만원 그리고 펀드 자금 조성에 2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16쪽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에 전년 대비 2억원이 증액된 1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18쪽 사회적경제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예산액 130억 7593만 3000원 대비 9.5%가 증액된 143억 1725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지원사업에 7억 6000만원, 사회적경제 활성화 사업 지원 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19쪽 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비 및 사회보험료 지원에 68억 50만원, 사회적기업을 위한 사업개발 지원사업에 13억 1992만원, 사회적기업 지역특화사업에 3억 4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20쪽 마을기업 육성사업에 6억 4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21쪽 공공근로사업 15억원 그리고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에는 23억 1405만 6000원을 편성하였고 신규로 인천상생유통지원센터 운영에 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22쪽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공유경제 자치구 공모사업에 5000만원과 협동조합 활성화 사업비 9030만원, 공정무역 육성 및 기반조성에 1억 61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24쪽부터 노동인권과 세출예산이 되겠습니다.
전년도 39억 249만 2000원 대비해서 23%가 증액된 47억 8754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 근로자 자녀 장학사업에 1억원, 남부근로자복지관 노동법률상담소 운영에 2억 7642만 5000원 다음 페이지에 북부근로자복지관 노동법률상담소 운영을 위해서 3억 9983만 1000원, 모범근로자 해외연수 1억 1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 위탁대행비로 12억 2500만원, 근로자문화센터 운영 대행사업비에 14억 7195만 9000원, 북부ㆍ남부ㆍ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시설보수비로 1억 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26쪽 지역 노사민정 협력 활성화 사업에 1억 500만원, 노사민정사무국 운영 지원에 8600만원,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3억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27쪽 인권포용도시 기반강화를 위해서 인권교육, 인권현장조사, 인권기구 운영 등에 대한 지원 사업비 6968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29쪽 산업진흥과 세출예산이 되겠습니다.
전년도 예산 316억 5091만 8000원 대비 30%가 증액된 410억 2996만 7000원이 되겠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및 미추홀아이마켓 운영 등 출연금으로 6억 6585만 7000원과 경영안정자금 위탁 수수료 출연금 2억 3100만원, 중소기업공제 사업기금 이차보전금 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30쪽이 되겠습니다.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사업에 160억원, 우수기업 육성 및 지원 사업비에 5060만원, 공예명장 선정 등 공예품 육성개발비에 535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31쪽 수출지원단 지원 등에 1억원과 해외시장 개척 및 해외박람회 참가 지원 등을 위해서 13억 3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인천 FTA활용지원센터 운영 1억 1000만원, 기업광고 지원 및 해외지사화 사업, 아세안 인천 우수상품 전시회 출연금으로 3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해외규격인증 획득과 국내 전시ㆍ상담회 지원, 수출초보기업 멘토링, 수출보험 보증료 지원사업 등에 4억 8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32쪽 글로벌강소기업 육성에 4억 1000만원과 중국 마케팅 전담 지원 10억원, 인천 지방산단 관리 위탁비 1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33쪽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3억원, 스마트공장 보급 지원 25억원, 스마트 혁신산단을 위한 투자 지원에 1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34쪽 강화공공 폐수처리시설 2단계 설치 사업비 32억 2700만원과 강화공공 폐수처리시설 원인자부담금 5억 9720만원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중소기업 기술지원단 운영 그리고 쾌속조형 시제품 제작 지원, 인천테크노파크의 노후장비 대체 등 산업기술기반 조성사업 출연금으로 10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 사업에 15억원, 중소기업 기술교류단 지원에 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35쪽 중소기업 모터시험 인증 지원사업에 2억원,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에 6억원, 희소금속 고순도화 실증기반 조성사업에 5억 4000만원, 기술혁신지식재산 IP 창업기업 연계프로젝트 7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36쪽이 되겠습니다.
산업디자인 육성 및 지원을 위해서 인천디자인지원센터 운영에 5억원, 디자인기반 구축에 2억원 그리고 지역 특성화 산업육성 22억 2900만원, 융합기술 핵심기술개발에 3억원을 편성하였고 파브산업 육성을 위하여 20억원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37쪽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건립 차입금 및 이자상환금 4억 2873만 7000원과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1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38쪽 미래산업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예산이 227억 7896만 1000원이었는데 27%가 증액된 289억 5888만 2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역으로 글로벌스타트업캠퍼스 운영에 21억 9700만원,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기반센터 구축을 위해서 6억 982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SW미래채움 등 지역 소프트웨어 산업진흥 지원을 위해서 출연금으로 1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39페이지 SW융합클러스터 2.0 사업 15억원과 인천 성장펀드 조성사업 10억원을 신규편성하였고 뷰티산업 육성지원에 12억원, 바이오산업 지원에 8억 1000만원, 자동차 부품기업 육성 지원에 7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40쪽입니다.
인천테크노파크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2억 5800만원, 인천연구개발지원단에 2억원, 테크노파크 운영비 36억원을 편성하였고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서 18억원, 로봇산업 진흥시설 운영에 31억원, 인천 과학영재교육 지원 등 과학기술 진흥을 위해서 18억 1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41쪽 어린이과학관 위탁운영비 49억 5580만 1000원과 어린이과학관 및 로봇랜드 조성사업에 따른 예수금 원금 및 이자상환에 22억 6525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41쪽 에너지정책과 세출예산이 되겠습니다.
전년도 예산액 379억 3410만 8000원 대비해서 33%가 증액된 505억 9283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743쪽 승기하수처리장, 남항사업소, 가좌하수처리장, 노인종합문화회관 등 공사ㆍ공단 전출금으로 14억 2400만원을 편성하였고 744쪽 취약계층 에너지복지사업에 11억 5345만원, 부평소방서 등 태양광 발전설비 시설비에 9억 750만 9000원, 신재생에너지 지역 지원사업에 7억 648만 2000원을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비로 편성하였습니다.
745쪽 하단에 군 단위 LPG배관망 지원사업에 36억 80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46쪽 LPG집단공급 사업에 9억 1800만원 그리고 동구에 전선류 지중화사업 5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고 다음 747쪽 전기자동차 보급사업으로 전기승용차 민간보급사업에 262억 6660만원, 전기버스 70억원, 전기화물차에 33억 6000만원, 공공기관 전기자동차 보급에 2억 8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48쪽 전기이륜차 민간보급사업에 16억 1000만원, 천연가스 버스 구입비 보조에 4억 8000만원, 천연가스 시내버스 연료비 보조에 3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49쪽 하단에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옹진군 영흥면 해역환경 개선공사비로 1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이어서 750쪽 농축산유통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643억 3250만 1000원 대비해서 53%가 감액된 780억 5566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751쪽 정부양곡 할인 지원사업 택배비 14억 3845만 4000원, 고품질 쌀 육성단지 조성 지원 2억 9500만원, 곡물건조기 지원을 위해서 5억 4900만원, 도정시설 현대화 지원에 2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52쪽 하단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금 3억 438만 5000원, 753쪽 농업인 자녀장학금 지원에 8224만원, 농업농촌 교육훈련 지원에 4800만원, 여성 농업인 육성 지원에 5760만원,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에 1억 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54쪽 청년농업인 영농 스타트업 지원에 3000만원, 도시농업 육성에 5600만원, 쌀 소득 등 보전직불제 보조금 12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55쪽이 되겠습니다.
직불금 사업을 위한 행정경비 지원에 4890만원, 조건불리지역 직불제 보조금 13억 3425만원, 밭농업 직불금 2억 6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56쪽 친환경 농업직불금 1억 2497만 3000원, 논타작물 재배 지원 직불금 9억 1800만원과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에 따른 시설비 314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57쪽 강화고려인삼 축제 지원 1억원과 생산기반시설 조성비 4억 4160만 4000원, 수출농식품 육성을 위해서 1억 5262만 6000원, 바른 식생활교육 지원비 2억 5000만원,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사업에 6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59쪽 초등돌봄교실 과일간식 지원사업에 5억 6550만원, 친환경 농법 지원 및 인공상토 공급 지원 등 친환경 농업지원사업에 12억 3223만 6000원, 유기질비료 지원에 47억 6169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60쪽에 토양개량제 지원에 7억 4188만 7000원, 유기농업자재 지원에 1억 42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61쪽입니다.
농작물 경쟁력 기반조성을 위해서 친환경 소형농 기계공급사업에 2억 4024만원, 농기계 임대사업소 지원에 1억 6000만원, 농기계 임대사업에 3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62쪽입니다.
강화 농축산물 판로확대 및 농산물 유통물류비 지원에 3억 2631만 5000원, 농산물 유통 저온저장고 지원에 8억 7100만원, 농산물 표준규격 출하를 위한 포장재 지원에 3억 9841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63쪽 도시근교 농업 및 강화 첨단농업 육성 지원을 위해서 6억 9899만 3000원, 길정지구 배수개선사업에 8억 1500만원, 국가관리 방조제 개보수사업에 15억 1100만원, 지방관리 방조제 개보수사업에 14억 7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64쪽이 되겠습니다.
농업용 소류지 개발사업에 6억원, 가뭄대비 농업용 관정개발 지원을 위해서 2억 9955만원, 수리계 수리시설 운영 지원 사업에 1억 5000만원, 서부간선수로, 진촌4리 배수시설, 영흥면 외 4리 농배수로 정비비로 7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65쪽 삼산지구 대구획 경지정리사업에 18억원, 군ㆍ구 관리 수리시설 개보수 사업에 13억 2500만원과 농촌 관광주체 지원사업에 5485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66쪽입니다.
우량모돈 교체 및 양봉기자재 지원 등 가축개량 지원과 우수축산물 생산사업에 2억 5955만 5000원, 조사료 사일리지 제조운송비에 1억 8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67쪽 축산환경개선제, 가축분뇨 수분조절제 지원 등에 3억 5429만원을 편성하였고 학교 우유급식 지원을 위해서 17억 3018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68쪽 강화 한우브랜드 육성사업에 3억 5060만원, 학생 승마체험 사업에 2억 5083만 5000원, 폭염피해 예방을 위한 축사 안개분무시설 설치 지원에 1억 4899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69쪽 축산물 수거비 및 재료비 등 축산물 안정성 강화사업에 4억 1977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71쪽 광견병 예방,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전염병 근절대책 추진에 4억 1767만 9000원, 가축질병 예방 및 약품 구입 등 직접사업에 1억 6894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72쪽에 돼지 써코바이러스, 광견병, 소 브루셀라병 등 가축질병 예방 및 약품 구입 등 지원사업에 1억 9438만 5000원, 구제역 예방주사 및 백신 등에 3억 3968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73쪽입니다.
가축매몰지 사후관리를 위해서 3억 5000만원, 통제초소 운영 및 소독비용 지원을 위해서 1억 5000만원, 살처분보상금 2억 137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74쪽에 방역요원 임금보조에 1억 9050만원, 일제소독의 날 공동방재단 운영사업에 3억 687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75쪽입니다.
길고양이 중성화수술 지원사업에 1억 2375만원, 반려동물 문화축제 사업에 2억원을 신규편성하였고 다음 페이지에 유기동물 관리를 위해서 자치단체경상보조금 1억 5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에 따른 예수금 이자상환을 위해서 1억 624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924쪽으로 넘어가겠습니다.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예산이 40억 4765만 1000원이 되겠습니다만 이에 대비해서 79.6%가 증액된 72억 6915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으로 유통종사자 역량강화 등 유통질서 확립 사업비가 3599만 4000원, 시설장비 유지비에 3억 16만 6000원, 다음 페이지 925쪽 청사시설 및 청소관리, 부설주차장 운영 등 위탁대행비로 18억 7497만 1000원, 남촌도매시장 사후환경영향조사 용역비 등 시설비로 5억 6206만 5000원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925쪽에 인건비 등 인력운영비와 927쪽 공공요금 등의 기본경비를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929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가 되겠습니다.
세출예산은 전년도 39억 9388만 6000원 대비 3.5%가 증액된 41억 3507만 2000원이 되겠습니다.
내역으로는 유통종사자 역량강화 등 유통질서 확립 사업비가 3014만 9000원, 시설장비 유지비에 1억 9298만 7000원, 930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청사시설 및 청소관리비로 8억 6457만 2000원 그리고 옥상 송풍기, 분전반 누전차단기, 옥상 방수공사 등을 위한 시설비 4억 8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930쪽과 933쪽에는 인건비 등 인력운영비와 공공요금 등 기본경비를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253페이지 특별회계 쪽으로 넘어가겠습니다.
1253페이지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특별회계 예산편성 내역입니다.
특별회계 규모가 순세계잉여금 16억 1400만원으로 편성된 특별회계가 되겠습니다.
다음 1261쪽 주요 세출내역으로 에너지정책과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보급 기금사업으로 서구청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업비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1433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예산편성 내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특별회계 규모는 기금 10억 5120만 5000원과 일반회계 전입금 71억 1855만 8000원으로 전년 대비 96% 증액된 총 81억 6976만 3000원이 되겠습니다.
방금 말씀드린 에너지정책과의 16억 1400만원은 특별회계 예산이 되겠습니다.
다음 주요 세입내역으로 소상공인정책과 세입이 되겠습니다.
1438쪽 주차환경 개선사업 기금으로 10억 5120만 5000원과 1439쪽 일반회계 전입금 46억 1855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산업진흥과의 세입은 일반회계 전입금 10억원을 편성하였고 에너지정책과 세입은 일반회계 전입금 15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46쪽 세출내역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소상공인정책과 세출은 전년도 33억 6108만 6000원 대비 69%가 증액된 56억 6976만 3000원으로 편성하였는데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에 7억 8700만원, 특성화 첫걸음시장 육성사업에 2억 8000만원,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에 32억 1315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전통시장 주차환경 개선사업에 1억 5360만 7000원과 주차환경 개선사업 건립사업을 위해서 12억 3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47쪽 산업진흥과 세출은 전년도 8억원 대비해서 2억원이 증액된 10억원으로 산업시설 환경개선 사업비를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48쪽 에너지정책과 세출예산 사업으로 옹진군 영흥면 해역환경 개선공사비를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74쪽 계속비사업조서입니다.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사업비로 총 사업비가 기존액 3600억 대비해서 149억 5000만원이 늘어난 3209억 50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당해연도 예산은 기존의 1185억 1587만원에서 165억원이 삭감된 1020억 1587만원으로 투자계획 및 총사업비 변경에 따라 계속비예산액을, 연부액을 조정하였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1484쪽입니다.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의 이전에 따라서 사업준공 후 3년까지에 대한 사후환경영향조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남촌도매시장 사후후환경영향조사 계속비를 반영한 내용입니다.
총사업비 6억 1200만원으로 당해연도 3억 600만원과 2021년도 3억 600만원으로 2개년 사후환경영향조사를 실시할 계획이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1497쪽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 중에 경제산업분과 일반참여형 예산편성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경제산업분과 주민참여예산은 총 8개 사업에 9억 6800만원이 제안되었습니다. 인천e음을 활용한 일자리창출사업 등 7개 사업에 5억 9800만원이 반영되었고 중소유통물류단지 조성연구 용역을 위한 1억 5000만원은 용역심의의 부적정 등으로 해서 반영되지 못하였습니다.
사업별 세부내역은 앞서 보고드린 부서별 예산안 설명에 포함되어 있어서 추가설명은 생략드리는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다음은 1501쪽입니다.
시 계획형 청년 분야 주민참여예산으로 본부 소관 5개 사업에 5억 5000만원을 제안하였는데 인천 중소기업 청년노동자 지원사업 등 3개 사업에 1억 8000만원이 반영되었습니다.
인천지역의 자취대학생을 위한 월세 지원사업 등은 반영되지 못하였습니다.
다음은 시 계획형 사업은 민관협치를 통한 의제 발굴 및 사업계획제안으로 분야별 주민참여예산을 반영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0년도 일자리경제본부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