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경제본부장 김상섭입니다.
먼저 항상 열정을 가지시고 시민복지 향상을 위해 의정활동에 전념해 주고 계시는 김희철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일자리경제본부 간부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홍준호 산업정책관입니다.
장병현 일자리경제과장입니다.
김기학 투자유치과장입니다.
강병진 국제협력과장입니다.
이병태 소상공인정책과장입니다.
권영현 청년정책과장입니다.
김재웅 사회적경제과장입니다.
신남식 노동인권과장입니다.
이남주 산업진흥과장입니다.
김준성 미래산업과장입니다.
박철현 에너지정책과장입니다.
한태호 농축산유통과장입니다.
이동기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장입니다.
김연영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장입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지금부터 배부해 드린 2020년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를 중심으로 일자리경제본부 소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에 대해서 간략히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5쪽부터 보고드리겠습니다.
5쪽부터 34쪽까지는 일자리경제본부의 일반현황이 되겠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는 현재 11과 54개 팀 그리고 2사업소로 현원이 256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 2020년 일반회계 예산액은 4724억 700만원입니다.
전년도 최종 예산액 대비해서 4.9% 증액된 규모가 되겠습니다.
특별회계 예산액은 2019년도 최종 예산현액 대비 39%가 감액된 99억 1600만원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 소관 위원회는 총 44개입니다.
기타 부서별 사무분장과 기타현황에 대해서는 보고서로 갈음하는 부분들을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다음은 35쪽부터 40쪽까지 주요예산사업 현황 총괄이 되겠습니다.
35쪽부터입니다.
일자리경제본부 2020년 주요예산사업은 총 49건에 총사업비는 4662억 5300만원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4163억 3200만원으로 4월 10일 현재 1386억 7600만원을 집행해서 집행률은 33.3%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43쪽부터 부서별로 주요사업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45쪽입니다.
일자리경제과에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이 사업은 지역고용안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고용노동부가 공모한 사업으로 우리 시가 4월 이 공모사업에 선정됨에 따라서 4월 29일 고용부와 협약식을 체결하고 5월부터 인천뿌리산업일자리센터 개소 준비를 하는 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올해 예산은 73억 5000만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46쪽입니다.
코로나19에 대응한 지역고용 특별지원사업이 되겠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프리랜서 및 50인 미만 사업장의 무급휴직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생계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지난 4월 10일부터 5월 1일까지 총 2만 9626명이 신청했습니다.
심의위원회 결정을 통해서 5월 중으로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에 있습니다.
다음은 47쪽입니다.
시와 군ㆍ구가 함께하는 상생협력 특화일자리 지원사업입니다.
군ㆍ구별 지역특성을 반영한 현장 중심의 사업들을 공모를 통해서 선정해서 올해는 8개 군ㆍ구에 14개 사업을 선정해서 추진 중에 있습니다.
예산액은 16억원 중에 15억 99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다음은 48쪽입니다.
정년퇴직 고용연장 중소기업 지원사업입니다.
우리 시 내에 제조업 분야의 중소기업 근로자 1인당 월 30만원씩 최대 12개월을 지원해서 정년퇴직자의 생활안정과 중소기업 인력난을 동시에 해소하기 위한 사업으로 예산액 7억원을 전액 교부했습니다.
다음은 49쪽입니다.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은 인천인력개발원 등 5개 공동훈련기관에서 수행하는 99개 과정 3005명에 대한 대상 직업훈련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운영과 관련한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7억 5800만원 중에 4억 37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7월달에 국고보조금 2차 교부가 되면 전액 집행할 예정에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51쪽 투자유치과 소관입니다.
53쪽입니다.
국내외 투자기업 보조금(인센티브) 지원사업이 되겠습니다.
외국인 투자에 대한 법인소득세 감면 폐지와 위축된 투자환경 개선을 위해서 시 차원의 현금지원이 되겠습니다.
예산액 1억원은 투자유치기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서 하반기에 전액 집행할 계획이라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국제협력과 소관입니다.
57쪽입니다.
국제기구와 함께하는 국제도시 조성사업이 되겠습니다.
국제기구 운영지원사업과 국제기구 청년인턴십 프로그램 운영사업이 되겠습니다.
특히 국제기구 청년인턴십 프로그램 사업은 4월 10일 기준으로는 17명이 청년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예산액은 36억 900만원 중에 27억 8700만원을 집행했고 집행률은 77.2%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58쪽 인차이나포럼입니다.
한중교류 비즈니스의 대표적인 포럼으로 올해는 12월달에 송도에서 개최할 예정입니다.
예산액 3억 5500만원 중에 3억 5000만원을 교부했습니다.
59쪽입니다.
중국 위해에 있는 인천경제무역대표처 운영사업입니다.
중국 웨이하이시에 위치한 인천경제무역대표처는 중국 수출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예산액은 인건비 등을 포함해서 6억 3500만원 중에 5900만원을 집행해서 집행률은 9.2%입니다.
대표처의 건물임차료 4억 3000만원이 하반기에 집행될 예정에 있습니다.
다음은 소상공인정책과 소관 사업이 되겠습니다.
63쪽입니다.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지원사업입니다.
소상공인과 소기업의 금융지원을 통해서 서민경제 안정과 코로나19 피해 등 긴급지원이 필요한 소상공인, 소기업들에게 이차보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297억 1000만원 중에서 62억 93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65쪽에 인천e음 전자상품권 플랫폼 운영사업입니다.
인천e음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플랫폼 운영과 사용자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올해 예산액 중에서 244억 9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다음은 67쪽입니다.
전통시장 활성화 도모 사업입니다.
아케이드와 비가림 시설의 보수, 주차장 건립 등 시설 현대화와 특성화시장 육성, 상인조직 역량 강화 등 경영 현대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63억 6900만원 중에 56억 6900만원을 집행했습니다.
다음은 69쪽 소상공인 보호ㆍ육성을 위한 특화사업이 되겠습니다.
우리 시의 이야기를 담은 소상공인 발굴ㆍ육성 및 영세 소상공인들에게 금융지원을 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28억 4000만원 중에 18억을 집행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청년정책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73쪽입니다.
먼저 1석5조 인천청년사랑 프로젝트입니다.
중소제조기업에 근무하는 청년근로자에게 복리후생 등의 복지지원을 통해서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으로 예산액 12억원을 전액 교부한 바가 있습니다.
4월 10일 기준으로 전체 지원대상 900명 중에 336명에게 지원되었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은 74쪽입니다.
구직 청년을 위한 드림체크카드 사업입니다.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직 청년에게 드림체크카드를 지급해서 1인 최대 300만원의 취업활동비 지원을 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 21억 8600만원 중에 현재 11억 86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75쪽, 76쪽입니다.
인천창업성장자금 조성사업입니다.
잠재력 있는 벤처ㆍ스타트업 기업을 발굴해서 그들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방식의 지원정책입니다.
조성 목표는 240억이고 올해 예산액 10억원을 2개의 펀드로 나누어서 추진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77쪽입니다.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사업입니다.
창업과 주거를 복합한 공간으로 창업허브를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올해 편성된 예산액 34억 2600만원은 현재 집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속한 시일 내에 사업추진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사회적경제과 소관입니다.
81쪽, 82쪽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및 가치증진 사업으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운영과 사회적경제 활성화 공모사업 그리고 공유기업 발굴 지원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 10억 1500만원 중에 5억 94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83쪽 사회적기업의 성장기반을 돕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일자리 창출비 지원, 사업개발비 지원, 사회보험료 지원, 지역특화사업비 지원 등을 추진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81억 3100만원 중에 18억 96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85쪽, 86쪽 지역상생을 위한 마을기업 활성화 지원사업입니다.
마을기업의 육성 및 교육ㆍ컨설팅 지원,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 확보 그리고 인천상생유통지원센터 운영 등의 사업으로 예산액 7억 300만원 중에 3억 1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88쪽 저소득층 공공일자리 제공사업이 되겠습니다.
저소득층 취약계층에 공공근로 및 지역공동체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50억 8500만원 중에 현재 17억 9300만원이 집행되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89쪽입니다.
노동인권과 소관 사항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91쪽입니다.
노동법률상담소 운영입니다.
근로자의 권익보호를 위해서 법률상담소를 운영하고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3월까지 7개의 상담소에서 2217건을 상담한 바 있습니다.
예산액은 6억 7600만원 중에 3억 38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92쪽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사업이 되겠습니다.
근로자의 교양ㆍ교육, 체육ㆍ문화사업 등을 위탁운영하는 사업으로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차원에서 프로그램을 잠정중단하고 있습니다.
중단 전까지 28개의 강좌, 1332명 규모로 운영을 한 바 있습니다.
예산액은 12억 2500만원으로 이 중에 6억 48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93쪽 근로자문화센터 운영입니다.
근로자의 복지증진을 위해서 문화센터를 운영을 하고 근로자의 임대아파트를 운영하는 사업으로 3월까지 63개 강좌에 1158명 규모로 운영한 바 있습니다.
현재는 휴관 중에 있다는 말씀드립니다.
예산액 14억 7200만원 중에 5억 9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94쪽 노사민정 협력 활성화 지원사업입니다.
고용노동 현안을 해결하고 노사협력 등 건전한 노사문화 정착을 위해서 노사민정협의회와 근로자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2억 700만원 중에 현재 8000만원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95쪽입니다.
인천광역시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되겠습니다.
우리 시의 노동환경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노동정책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지난 3월에 착수하고 11월달에 완료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예산액 3억입니다.
다음은 99쪽에 산업진흥과 소관 사업을 보고드리겠습니다.
99쪽에서 100쪽 효과적인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입니다.
기술력과 잠재력을 가진 기업에 경영안정자금과 구조고도화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4월 10일 기준으로 경영안정자금 779개사에 3974억 7800만원, 구조고도화자금 34개 기업에 159억 3500만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예산액은 730억원 중에서 339억 3500만원을 집행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101쪽, 102쪽이 되겠습니다.
글로벌 마케팅과 수출인프라 구축 지원사업이 되겠습니다.
중소기업의 해외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수출인프라 확충 그리고 특히 중국마케팅 전담 지원 등을 추진하는 사업으로 현재 463개사 지원하고 예산액은 43억 9200만원을 전액 교부하였습니다.
103쪽입니다.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 추진이 되겠습니다.
노후한 남동국가산업단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예산액 16억원 중에서 9억 4500만원을 집행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104쪽에서 105쪽 스마트공장 보급 추진 사업입니다.
스마트공장 교육과 진단컨설팅을 지원하고 또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 28억 8000만원 중에 25억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106쪽 산업디자인 육성 및 지원사업이 되겠습니다.
중소기업의 디자인 개발을 지원해서 기업경쟁력을 제고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올해는 디자인 개발 110건 정도, 우수디자인 20여 건 이상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예산액은 22억 2900만원으로 전액 집행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미래산업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109쪽입니다.
SW융합 혁신기업 육성 지원사업이 되겠습니다.
SW 미래인재를 양성하고 SW융합 혁신기업을 발굴ㆍ육성해서 글로벌 진출과 성장을 돕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57억 4700만원 중에 27억 3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112쪽 바이오헬스산업 육성ㆍ지원이 되겠습니다.
우리 시의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해서 바이오헬스케어 제품 개발, 바이오제품 유효성 평가, 저산소표적질환센터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7억원 중에서 6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114쪽 인천광역시 연구개발 활성화 지원사업입니다.
지역 주도의 R&D 활성화를 통해서 경제성장동력 확보를 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체계적인 R&D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국가 R&D 사업을 적극 기획ㆍ유치를 추진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16억원 전액 교부하였다는 말씀드립니다.
다음은 116쪽입니다.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입니다.
로봇랜드 조성을 기반으로 로봇산업 진흥시설을 운영하고 지역특화로봇 및 로봇기업을 발굴ㆍ육성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49억원 중에서 26억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119쪽입니다.
에너지정책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121쪽 수소연료전지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사업입니다.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보급과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4월 10일 기준으로 수소자동차 88대를 보급하고 올 12월에 신흥동, 가좌동에 수소충전소 2개소를 구축 완료할 예정입니다.
예산액은 233억 3500만원 중에 28억 4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이 미교부된 사유로 인해서 집행률이 저조하나 국고보조금 교부에 따라서 신속하게 집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123쪽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입니다.
부평구 십정동 일원과 강화군 내가면 지역 쪽에 주택 301개, 건물 45개소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설치비를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23억 7000만원 중에 23억 6800만원으로 집행률이 99.9%입니다.
다음은 124쪽입니다.
농어촌지역 LPG 집단공급 사업이 되겠습니다.
강화군의 3개 마을과 옹진군 3개 마을 등 244개 가구에 LPG 소형 저장탱크와 배관망, 보일러 등을 설치 지원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9억 1800만원을 전액 교부했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은 125쪽입니다.
전기자동차 및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이 되겠습니다.
올해 2982대를 보급할 목표를 가지고 추진하고 있습니다.
4월 10일 기준으로는 521대 보급하였습니다.
예산액은 481억 1200만원 중에 95억 29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농축산유통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129쪽입니다.
농가경영안정 및 청년창업ㆍ후계농업인 육성입니다.
공익형직불금 추진과 청년창업ㆍ후계농의 영농정착을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143억 4100만원이고 집행률이 다소 저조하지만 공익형직불금이 대상자 선정 후에 11월달에 전액 집행될 예정이라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131쪽입니다.
경쟁력 있는 농식품산업 육성이 되겠습니다.
친환경농산물 생산기반의 구축 그리고 농식품산업 육성ㆍ지원, 푸드플랜 수립 등의 사업으로 예산액 91억 5700만원 중에 62억 51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134쪽 안정적인 농업기반시설 구축입니다.
배수의 개선, 방조제 및 수리시설 개보수, 대구획경지정리 등의 사업이 되겠습니다.
이를 통해 노후되고 기능 저하된 농업기반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 75억 4200만원 중에 32억 4000만원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138쪽 축산업 경쟁력 제고입니다.
축산농가의 경영안정을 지원하고 축산환경을 개선해서 우수축산물 생산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8억 500만원 예산액을 전액 집행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140쪽입니다.
가축전염병 예방 및 사후관리가 되겠습니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가축전염병을 예방하고 살처분에 대한 보상 및 가축매몰지 발굴ㆍ복원 등 사후관리를 추진하는 사업으로 예산액 89억 3800만원 중에 70억 86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142쪽 동물과 공존하는 도시 조성이 되겠습니다.
유실ㆍ유기동물 적정관리 그리고 야생화 된 유기견의 포획, 길고양이 중성화수술 지원 등 동물과 사람이 공존하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사업으로 예산액 4억 8000만원 중에 3억 5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소관 사업이 되겠습니다.
147쪽 보고드리겠습니다.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의 체계적ㆍ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해서 시설관리 및 청소 용역에 대한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 21억 8000만원 중에 7억 5900만원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사후환경영향조사 용역비는 5월 용역 착수 후에 집행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마지막으로 151쪽입니다.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소관 사업입니다.
옥상 방수공사 사업이 되겠습니다.
도매시장 내에 옥상 노후 및 파손으로 채소동에 옥상 방수공사를 하는 사업입니다.
예산액 3억원 중에서 1억 24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5월 공사 준공 후에 나머지 전액을 집행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152쪽 분전반 누전차단기 교체공사가 되겠습니다.
2018년도 화재안전특별조사 결과 부적합 판정받은 전기시설물에 대해서 보수공사를 실시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예산액 1억 4000만원 중에 9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8월 공사 준공이 되면 전액 집행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2020년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를 간략히 마치겠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의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를 경청해 주신 김희철 위원장님과 여러 위원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드리고 코로나19로 인해서 미집행된 사업에 대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예산이 정상적으로 집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리고 미진하거나 지연 우려가 있는 사업에 대해서는 추진상황을 좀 더 면밀히 분석해서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ㆍ2020년도 일자리경제본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