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주택녹지국장 권혁철입니다.
시정발전과 300만 시민의 행복 구현을 위해 의정활동에 노고가 많으신 존경하는 김희철 위원장님과 위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주택녹지국 간부공무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안상윤 녹지정책과장입니다.
허홍기 공원조성과장입니다.
김병건 인천대공원사업소장입니다.
김천기 월미공원사업소장입니다.
서치선 계양공원사업소장입니다.
(간부 인사)
지금부터 주택녹지국 소관 2019년도 일반회계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안에 대하여 사항별설명서를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보고서 7쪽 일반회계 세입결산안 총괄입니다.
예산현액은 180억 2481만 2000원이며 징수결정액은 188억 4115만 2519원이고 실제수납액은 183억 9948만 1679원입니다.
징수결정액 대비 97.6%를 수납처리하였으며 미수납액은 4억 4167만 840원입니다.
다음은 세입 세부사항을 부서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1쪽 녹지정책과 세입입니다.
징수결정액은 132억 8017만 3221원이며 수납액은 132억 7892만 8581원입니다.
미수납액은 124만 4640원으로 공유재산 임대료 미납금액이며 금년 내에 징수토록 하겠습니다.
남동공단 내 공공공지 공유재산 임대료400만 8880원과 시도비반환금 수입 2억 5562만 6214원입니다.
12쪽 산불방지대책 특별교부세 1억 9000만원과 2019년 산림청 보조사업에 대한 국고보조금 92억 1479만 5000원입니다.
13쪽 산림청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23억 5800만원과 복지시설 나눔숲 조성 등 기금 10억 1800만원, 2018년 산림청 보조사업 국고보조금 집행잔액 2억1083만 2374원입니다.
14쪽 공원조성과 세입입니다.
징수결정액은 9억 9334만 8622원이며 전액 수납처리되었습니다.
2018년 공원녹지 시도비반환금 수입금 1억 4334만 8622원과 개발제한구역 내 생활공원 조성을 위한 지역발전특별회계 국고보조금 8억 5000만원입니다.
15쪽 인천대공원사업소 세입입니다.
징수결정액은 40억 9586만 9308원이며 수납액은 37억 277만 9408원입니다.
미수납액 3억 9308만 9900원 중에서 도시공원 및 공원시설 점용료 2381만 8420원과 그외수입 43만 4000원은 금년에 징수 완료하였습니다.
공유재산 무단점유에 따른 변상금 3억 6883만 7480원은 납부능력이 없어 금년 말에 불납결손 예정입니다.
공원 내 매점 및 공유재산 임대료 수입 12억 3008만 6830원과 공원시설 사용료 및 점용료 등 5788만 3000원, 목재문화체험장 체험수수료 8572만 9300원, 인천시설공단 위탁시설 수입 18억 4627만 8662원입니다.
16쪽 불용물품 매각 및 공원시설 사용료 등 기타수입 2억 6616만 1068원과 공유재산 무단점유에 따른 변상금 3억 8007만 1530원, 중앙공원 체육시설 조성 특별교부세 2억원입니다.
17쪽 월미공원사업소 세입입니다.
징수결정액은 4억 407만 4429원이며 수납액은 3억 7352만 8039원으로 미수납액은 3054만 6390원입니다.
공원 내 매점 및 체험관 등 공유재산 임대료 1억 5933만 3949원입니다.
공원시설 사용료 미수납금액 9만 1800원은 공원시설 사용취소로 결손처리하였으며 공공예금 이자수입 95만 726원과 대행사업비 반납 이자수입 291만 8034원입니다.
문학공원 시유지 무단점유에 따른 변상금 미수납금액 453만 8940원은 금년에 징수토록 하겠습니다.
그 외 미수납금액 37만 8760원은 금년 2월에 징수 완료하였으며 지난연도 수입 미수납 금액 2553만 6890원은 금년에 징수토록 하겠습니다.
19쪽 계양공원사업소 세입입니다.
징수결정액은 6768만 6939원이며 수납액은 5089만 7029원입니다.
미수납액 1678만 9910원은 공유재산 무단점유 변상금으로 금년에 징수하도록 하겠습니다.
주차장 임대료 등 기타사용료 763만 1020원과 공유재산 무단점유에 따른 변상금 1741만 4620원, 신한 법인카드 적립포인트 등 그외수입 2697만 5470원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23쪽 일반회계 세출결산안 총괄입니다.
예산현액은 1036억 5241만 3700원이며 지출액은 985억 131만 1638원으로 예산현액 대비 95.1%를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연도 이월액은 39억 1725만 5870원이고 집행잔액은 12억 1261만 2229원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어서 부서별 세부 세출사항에 대하여 주요사업과 다음연도 이월사업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27쪽부터 42쪽 녹지정책과 세출입니다.
예산현액은 190억 6299만 3450원이며 182억 4921만 726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지자체 도시숲 조성사업비 4억원은 제4회 추경예산 편성에 따라 공기부족으로 다음연도로 명시이월하였습니다.
인천대공원 치유의 숲 조성사업비 3억 4120만원은 GB 관리계획 변경 등 행정절차 지연에 따라 다음연도로 계속비이월하였습니다.
신림 분야 국제회의 지원 집행잔액 549만 2400원, 열린광장 조성 준공식 취소에 따른 미집행 500만원, 사유림 경영정보 DB 구축 집행잔액 514만 3700원 등 5134만 2227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27쪽 생활권 주변 녹화사업, 민간부문 녹화사업 등 도시녹화사업에 3억 8069만 995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28쪽 사방시설 타당성평가, 사방시설 유지관리, 산림재해 일자리, 산불방지 대책비 등 산림재해 예방복구사업에 37억 46만 743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32쪽 식목일 식재공사, 미세먼지 저감조림, 정책숲 가꾸기, 산림병해충 방제 등 산림자원 보호육성사업에 53억 8883만 899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38쪽 숲길 조성관리, 백운산 둘레길 조성, 지자체 도시숲 조성, 도시바람길숲 조성 등 산촌개발 및 휴양공간 조성사업에 84억 8031만 194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41쪽 인력운영비, 기본경비 등 행정운영비 2985만 630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42쪽 2018년 국고보조금 집행잔액 6458만 7440원을 반납처리하였습니다.
43쪽부터 47쪽 공원조성과 세출입니다.
예산현액은 551억 3852만 7250원이며 520억 9752만 4188원을 집행하였습니다.
구월동 중앙공원 보도육교 설치비 21억 5666만 3970원과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3억 3590만원, 이승훈역사공원 조성사업비 1억 4922만원, 선학공원 도시관리계획 결정 용역비 6122만 4800원 등 29억 8518만 4770원은 집행시기 미도래로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동춘공원 조성 집행잔액 977만 7000원과 인천특별시대 공원형 도시재생방안 연구비 2500만 1000원, 선학공원 도시관리계획 변경결정 용역비 1253만 6000원 등 5580만 8292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43쪽 십정녹지 조성 등 자치단체 공원조성 경상보조 32억 7890만 2000원과 중앙공원 보도육교 설치비 12억 8282만 580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44쪽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1억 1410만원과 동춘공원 조성계획 용역비 9022만 3000원, 인천특별시대 공원형 도시재생방안 연구 용역비 1억 7499만 900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45쪽 개발제한구역 내 생활공원 조성사업비 8억 5000만원과 도시자연공원구역 변경결정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비3340만원, 장기미집행공원 특성분석을 통한 공원조성 및 관리운영 구상 용역비 338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46쪽 시ㆍ도 지역개발기금 예수금 원금상환 158억 7250만원과 시ㆍ도 지역개발기금 예수금 이자상환 8억 1445만 5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47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전출금으로 293억 7318만 5000원을 집행하였으며 중앙공원 도시소생태계 조성사업 국고보조금 집행잔액 835만 5280원을 반납하였습니다.
48쪽부터 61쪽 인천대공원사업소 세출입니다.
예산현액은 177억 5914만 4000원이며 170억 1052만 239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중앙공원 체육시설 조성비 1억 9087만 1100원은 집행시기 미도래로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인천대공원 운영비 7981만 1810원과 동부권역 공원관리비 1억 694만 8550원, 인력운영비 3억 4099만 4450원, 기본경비 2999만 5700원 등 5억 5775만 510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48쪽 인천대공원 조경관리, 동물원 운영관리, 수목원 운영관리, 환경미래관 운영, 목재문화체험장 운영 등 인천대공원 관리 및 운영비로 76억 9247만 619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55쪽 동부권역 공원시설과 소래습지생태공원 유지관리 등 동부권역 공원관리 및 운영비로 40억 6782만 535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0쪽 인천대공원사업소 인력운영비 및 기본경비 등 행정운영경비로 52억 5022만 85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2쪽부터 66쪽 월미공원사업소 세출입니다.
예산현액은 56억 7116만 5000원이며 52억 1471만 501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월미공원 운영 집행잔액 1억 1952만 6304원과 서부지역 공원관리 집행잔액 4398만 5780원, 행정운영경비 집행잔액 2억 9293만 7906원 등 4억 5644만 9990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62쪽 월미공원 시설 유지관리 및 공원운영비 등 월미공원 운영비로 20억 6930만 1696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4쪽입니다.
문학ㆍ관교ㆍ청량공원 등 서부지역 공원관리비로 9억 1897만 622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5쪽 월미공원사업소 인력운영비 및 기본경비 등 행정운영경비로 22억 2643만 7094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7쪽부터 71쪽에 계양공원사업소 세출입니다.
예산현액은 60억 2058만 4000원이며 59억 2932만 279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운영비 집행잔액 1억 1952만 6304원과 양묘 생산 및 공급 집행잔액 3688만 6440원과 공원관리 및 운영비 집행잔액 1067만 4880원, 행정운영경비 집행잔액 4369만 9890원 등 9126만 1210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67쪽 수목ㆍ초화의 생산과 공급, 양묘포지 정비 등 양질의 양묘 생산 및 공급에 27억 8398만 456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68쪽 공원시설 유지관리, 시설조정 및 정비, 치유의 숲 운영 등 공원관리 및 운영비로 11억 2912만 712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70쪽입니다.
계양공원사업소 인력운영비 및 기본경비 등 행정운영경비로 20억 1621만 111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인천광역시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 환경개선특별회계 결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81쪽 세출결산안 세부사항입니다.
예산현액은 107억 1698만 2000원으로 92억 9664만 4850원을 집행하였으며 1억 904만 3050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검단15호공원 조성사업 4억 357만 3000원과 검단중앙공원 조성사업 9억 772만 1100원은 준공시기 미도래로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81쪽 숲 복원 및 물순환공원 리모델링 사업비 15억 4471만 7950원과 검단15호공원 조성사업비 9642만 7000원, 자치단체 공원지원 사업비 25억 905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82쪽 검단중앙공원 조성사업비 1499만 9900원과 연희공원 조성사업비 48억원, 원당2호근린공원 시설물 정비 2억 5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도시개발특별회계 결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91쪽에 녹지정책과 세출결산안 세부사항입니다.
예산현액은 34억 5740만원으로 열린광장 조성에 34억 5151만 8010원을 집행하였으며 588만 1990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92쪽 공원조성과 세출결산안 세부사항입니다.
예산현액은 33억원으로 석촌공원 조성사업에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결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97쪽 세입결산 총괄입니다.
징수결정액은 1371억 8602만 5430원으로 전액 수납처리되었습니다.
101쪽 세입결산 세부사항입니다.
공공예금 이자수입 3억 2460만 3380원과 지방채 이자지원 국고보조금 4억 6000만원, 정부자금채 220억원, 모집공채 600억원을 세입처리하였습니다.
102쪽 전년도 이월사업비 250억 2823만 7050원과 기타회계 전입금 293억 7318만 5000원을 세입처리하였습니다.
105쪽 세출결산 총괄입니다.
예산현액은 1352억 3693만 4800원이고 1269억 6549만 714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2억 277만 2350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관교근린공원 조성 등 14개 사업의 80억 6866만 5310원은 계속비사업 및 준공시기 미도래로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109쪽 세출결산 세부사항입니다.
관교근린공원 조성사업비 41억 879만 4710원과 문학근린공원 조성사업비 123억 5528만 7200원, 장미근린공원 조성사업비 86억 6773만 8520원, 청량산림휴양공원 조성사업비 73억 2882만 910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110쪽 청솔근린공원 조성사업비 33억 7496만 4000원과 소래습지생태공원 조성사업비 326억 6214만 2090원, 인천대공원 조성사업비 17억 5186만 9140원, 도롱뇽 도시생태공원 조성사업비 74억 2145만 380원, 함봉근린공원 조성사업비 33억 9273만 170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111쪽 계양근린공원 조성 62억 5100만 780원과 새벌근린공원 조성사업비 33억 664만 9040원, 연희공원 조성사업비 173억 9628만 7880원, 소월미근린공원 조성 등 자지단체자본보조 176억 26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112쪽에 청능공원 조성사업비 7951만 3000원과 십정공원 조성사업비 8707만 4000원, 장기미집행공원 지방채 발행수수료 605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113쪽 지방채증권 이자상환 5억 8800만원과 예수금 이자상환 3억 9662만 4640원, 중앙정부 차입금 이자상환 1억 2923만 101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예산이체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117쪽부터 125쪽입니다.
인천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및 시행규칙 개정으로 조직개편에 따라 사업담당 부서로 예산을 이체하였습니다.
일반회계 556억 9997만 4250원, 인천광역시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 환경개선특별회계 105억 1426만 1000원, 도시개발특별회계 33억원,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1369억 3701만 9800원을 녹지정책과에서 공원조성과 및 시설계획과로 각각 예산 이체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19회계연도 주택녹지국 소관 일반회계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