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경제본부장 김상섭입니다.
먼저 항상 열정을 가지시고 시민복지 향상을 위해서 의정활동에 전념해 주시는 김희철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본 보고에 앞서서 일자리경제본부 간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홍준호 산업정책관입니다.
다음 장병현 일자리경제과장입니다.
김기학 투자유치과장입니다.
강병진 국제협력과장은 현재 교통사고로 입원 중이어서 불참했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 이병태 소상공인정책과장입니다.
권영현 청년정책과장입니다.
김재웅 사회적경제과장입니다.
신남식 노동인권과장입니다.
이남주 산업진흥과장입니다.
김준성 미래산업과장입니다.
박철현 에너지정책과장입니다.
한태호 농축산유통과장입니다.
이동기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장입니다.
김연영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장입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사항별설명서를 중심으로 일자리경제본부 소관 세입ㆍ세출 결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5쪽이 되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결산 총괄입니다.
세입예산 목표액인 예산현액은 총 1783억 3587만 7000원이고 징수결정액은 1795억 2327만 4989원이 되겠습니다. 그중 99.8%를 수납하였습니다.
미수납액인 4억 4749만 780원 중에 1억 921만 3100원은 이중부과로 감액처리하고 3억 3827만 7680원은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세외수입은 141억 5699만 3378원을 징수결정하고 그중에 4억 4749만 780원은 미수납되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을 말씀드리면 경상적 세외수입으로 공유재산 임대료, 기타사용료, 기타이자수입 등으로 1억 3653만 3020원이 미수납되었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미수납 사유로는 소상공인정책과 2018년도분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 이용료 411만 410원이고 미래산업과의 글로벌스타트업 캠퍼스 임대관리비 1억 921만 3100원은 방금 말씀드린 것처럼 세입 회계과목 입력의 오류에 따라서 중복부과된 사항으로 감액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임시적 세외수입은 시도비반환금 수입, 과태료, 기타수입 등이 되겠는데 58억 3075만 7459원을 수납하고 3억 1095만 7760원이 미수납되었습니다.
그 사유로는 산업진흥과 소관 계량법 위반과징금 및 산업집적법 위반과태료 1억 5598만 6000원이 현재 미수납 상태입니다.
또 에너지정책과의 전기공사업법 위반과징금 및 친환경자동차법 위반과태료 972만 1000원은 올해 3월에 수납조치하였고 2013년부터 ’15년에 걸친 석유 및 석유대체 사업법 위반과태료 등 790만 8000원은 현재도 미수납 상태라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농축산유통과 소관 공유재산 무단점유 변상금 3907만 6720원은 현재 미수납 상태입니다.
다음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의 공유재산 대부료 및 기타사용료 6191만 9850원은 현재 미수납 상태입니다.
다음으로 보조금과 관련해서 1104억 4916만 2000원을 징수결정하였고 7억 7818만 8000원은 과오납 반환하였습니다.
그 사유로는 국비 변경내시에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보조금 5억 3400만원을 반납하고 미래산업과의 어린이과학관 사용료 수입 2348만 2000원 과오납 반환하였습니다.
다음 에너지정책과의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에 따른 국고보조금 2억 4418만 8000원도 과오납 반환하였습니다.
다음은 6쪽부터 43쪽까지 각 부서별로 세입결산 세부내역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출결산안에 대해서 좀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44쪽이 되겠습니다.
세출결산 총괄은 예산현액 총 5118억 3582만 9977원 중에서 89.9%를 집행하였습니다.
나머지 중에서 185억 6910만 1000원은 명시이월, 7043만 9440원은 사고이월, 308억 5563만 7399원은 계속비이월하였습니다.
그리고 1350만 7272원은 국고보조금 반납 그리고 51억 1911만 8622원은 불용되었는바 이는 대부분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171쪽 명시이월 사유는 소상공인정책과의 인천e음 QR 간편결제 가맹점 모집인 운영과 관련한 사업에서 가맹점 모집기간 연장에 따라서 6억원을 금년도로 이월한 사안이고 청년정책과의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사업 중에서 건물 외관과 공간구성 관련 의견수렴을 위해서 국민디자인단 구성ㆍ운영 및 설계변경에 따른 사업일정 변경으로 시비로 당초 편성되었던 34억 2600만원을 금년도로 이월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노동인권과 소관 인권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용역 준공기간이 2020년 올해 1월 26일인바 여기에 따라서 시기 미도래로 인해서 준공금 2667만 5000원은 이월하였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에너지정책과의 전기자동차 구매 및 충전인프라 구축사업의 경우에는 전기자동차 제작ㆍ판매사의 출고지연으로 88억 6742만 6000원은 이월하였고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의 경우에도 차 제작ㆍ판매사의 출고지연으로 27억 9500만원이 명시이월되었습니다.
농축산유통과의 경우에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의 경우에 계약방법을 경쟁입찰로 변경함에 따라서 사업이 지연돼서 1억 5400만원을 이월하였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으로 사고이월 사유는 소상공인정책과의 인천노포에 브랜드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용역이 있는데 이것도 준공기간이 올해 2월 28일까지로 되어 있음에 따라서 준공기간 미도래로 1899만 6200원이 사고이월되었고 사회적경제과에서 추진하고 있는 상생유통지원센터 ‘더담지’가 있습니다. 여기 운영물품 조달 구입하게 됨에 따라서 조달 납품시기를 고려해서 5144만 3240원을 이월하였습니다.
다음 계속비이월 사유는 농축산유통과의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사업의 경우에 준공시기가 2020년 2월 14일로 정해짐에 따라서 이월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이어서 부서별로 사업별 집행사항 및 불용액 사유를 간단히 보고드리겠습니다.
45쪽 일자리경제과입니다.
일자리경제과의 예산현액은 144억 411만 9000원입니다. 그중에 99.8%를 지출하였습니다.
3035만 8440원이 불용되었습니다.
다음은 46쪽입니다.
일자리대상에 2019년도 일자리대상 인센티브 자율활용액의 집행잔액 182만원을 국고보조금 잔액 반납하게 된 사항입니다.
다음은 52쪽 소비생활센터 기간제근로자 보수와 관련해서 집행잔액 502만 4490원은 불용처리하였습니다.
다음은 56쪽 투자유치과 소관입니다.
투자유치과의 예산현액은 16억 9539만 3000원이었고 그중에 98.6%를 지출하였습니다.
57쪽에 시민대상 투자유치 성과급은 집행사유가 발생하지 않아서 예산액 1000만원을 불용처리하였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 59쪽 국제협력과입니다.
국제협력과의 예산현액은 51억 4902만 7840원이었는데 그중에 98%를 지출하였고 1억 433만 1432원은 불용처리하였습니다.
그중에 아시아, 구미권 외빈방문 부족으로 인한 외빈초청행사비 사업비 9888만원 중에서 그 절반가량인 2119만 4844원이 집행잔액 되었습니다.
다음은 61쪽입니다.
공무국외여행 허가사업의 경우에 작년에 인천 서구 수돗물 사태 및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따른 국외출장 및 연수 취소로 인해서 5억 4500만원 중에서 4409만 4530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다음은 65쪽입니다.
주중 인천경제무역대표처 운영의 경우에 전시관 임차료 등 운영경비 절감으로 5억 1338만 4000원 중에서 1329만 2686원을 불용처리하였습니다.
67쪽 주중 인천경제무역대표처 파견공무원 수당 지급은 환율변동 등 환차액이 발생함에 따라서 집행잔액이 554만 7690원이 남았습니다.
다음은 68쪽입니다.
소상공인정책과입니다.
예산현액은 1010억 3204만원이고 그중에 97.2%를 지출하였습니다.
6억원은 방금 말씀드린 QR 가맹점과 관련한 사업비로 해서 명시이월 그리고 1899만 6200원은 노포 관련한 사업으로 해서 사고이월되었고 22억 374만 2380원이 불용되었습니다.
75쪽에 인천사랑전자상품권 일반운영비와 관련해서 32억 2000만원 중에서 28억 7224만 890원을 지출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유지보수비 3억원은 예산절감하여 불용처리하였습니다.
인천사랑전자상품권 운영 일반보상금은 인천e음 지원활동가 운영사업의 경우에 조기퇴사 및 수시인원 변동으로 발생한 집행잔액을 불용처리하였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인천e음 QR 간편결제 가맹점 모집인 운영비용 6억원은 당초 예산편성을 인천e음 캐시백 예산으로 변경 사용하고 3회 추경에 재편성해서 사업공백이 발생함에 따라 명시이월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인천사랑상품권 발행지원사업의 경우에 2019년 10월에 인천e음 개선방안을 다시 설계했었고 그때 월 한도액 및 캐시백 비율조정으로 인해서 14억 7863만 4810원이 최종적으로 불용처리되었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76쪽에 인천e음 도입 예정인 군ㆍ구 지원금 중에서 남동구가 인천e음 미도입한 사유로 인해서 6000만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다음은 78쪽입니다.
청년정책과 소관입니다.
예산현액 221억 6257만원 중에서 84.1%를 지출했고 드림촌 관련한 34억 2600만원은 명시이월하였습니다.
80쪽에 인천청년공간 유유기지 운영과 관련해서는 부평구에 조성한 유유기지2호점 사업으로 집행잔액 7000만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84쪽 청년활동 활성화 지원사업의 경우에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따른 행사 취소 등으로 1751만 9000원이 집행잔액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다음은 86쪽 사회적경제과입니다.
사회적경제과 예산현액은 152억 1064만 6000원 중에서 96.7%를 지출하였습니다.
5144만 3240원은 사고이월하였고 4억 4458만 4470원이 불용처리되었습니다.
불용처리 사유로는 상생유통지원센터 설치사업비의 시설비 중에서 5527만 4700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했습니다.
89쪽에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의 경우에는 국비 미교부에 따른 집행잔액 3억 2982만 3000원을 불용처리하였습니다.
같은 쪽에 상생유통지원센터 운영 민간위탁금 및 운영물품 구입에 따른 잔액은 4839만 7530원으로 불용처리하였습니다.
그리고 조달물품의 납품시기 등은 시기가 좀 늦춰지는 바람에 5144만 3240원을 사고이월하였습니다.
다음은 93쪽 노동인권과 소관입니다.
예산현액은 42억 4132만 4114원 중에서 98.7%를 지출하였습니다.
그리고 2667만 5000원은 명시이월하고 2940만 9564원은 불용처리하였습니다.
불용처리한 사유로는 노동단체 국제교류사업이 중국 내부 문제로 인해서 진행되지 못함에 따라서 1900만원 불용처리하였고 96쪽에 인권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앞서 말씀드린 용역 준공기간 미도래로 인해서 준공금 2667만 5000원이 명시이월되었습니다.
다음은 98쪽 산업진흥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예산현액 370억 3506만 428원 중에서 95.7%를 지출하였습니다.
101쪽에 보시면 불용처리 사유가 있습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투자보조금 지원사업의 경우에 신청기업의 경영악화에 따라서 사업을 포기함에 따라서 발생한 집행잔액 5억 7936만원은 불용처리하였습니다.
다음 105쪽에 유신천 주변 주차장 조성사업은 계속비사업으로 용역 낙찰잔액 9억 9455만 2198원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를 불용처리하였습니다.
다음은 114쪽 미래산업과입니다.
예산현액은 251억 6396만 1000원 중에서 99.9%를 지출하였습니다.
다음은 120쪽 에너지정책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예산현액은 549억 8972만 7000원입니다.
그중에 78.8%인 433억 1365만 5030원을 지출하고 116억 6242만 6000원은 명시이월하고 1128만 2068원은 불용처리하였습니다.
다음은 125쪽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사업의 경우에 전기자동차 제작 및 판매사 출고지연으로 이월되었다는 말씀을 드렸고 126쪽에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도 수소차의 제작 및 판매사의 출고지연으로 일부를 명시이월하였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다음은 128쪽 농축산유통과입니다.
예산현액은 2230억 2730만 8595원 중에서 86%인 1917억 2735만 6826원을 지출하였습니다.
1억 5400만원은 명시이월하고 308억 5563만 7399원은 계속비이월하였습니다.
133쪽에 세부사업을 몇 가지 말씀드리면 친환경 농업직불금은 1억 5894만 1000원인데 그중에 국비 미교부에 따른 집행잔액이 8348만원이 발생해서 불용처리했다는 말씀드립니다.
논 타작물 재배지원도 국비 미교부에 따른 집행잔액이 7803만원 발생하였습니다.
134쪽에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사업과 관련해서는 사업의 일부 지연에 따라서 시설비 및 감리비 등을 308억 5563만 7399원을 계속비이월하였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사업의 지연에 따라서 연구 용역비 1억 5400만원은 명시이월하였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143쪽 배수개선사업은 ’18년도에 2019년도로 이월한 국비 1억 600만원을 농식품부에서 삭감함에 따라서 불용처리하였습니다.
다음은 158쪽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입니다.
예산현액은 40억 3717만 7000원 중에서 94.1%를 지출하였습니다.
나머지 부분은 대부분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159쪽 시설물 유지관리의 경우에 현 도매시장인 남촌농산물도매시장의 감정평가 수수료 집행잔액으로 3616만 2450원을 불용처리하였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161쪽 인력운영비 중에서 기타직 보수의 경우 도매시장 이전에 대비한 추가 인건비를 편성하였으나 충원시기 지연 등에 따른 집행잔액이 발생하여 불용처리하였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163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입니다.
예산현액 36억 8747만 6000원 중에서 98%를 지출하였습니다.
7481만 8786원이 불용되었는데 대부분 사업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75쪽으로 넘어가서 특별회계에 대해서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175쪽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세입결산은 세입예산의 예산현액은 185억 6101만 8000원이고 징수결정액을 100% 수납하였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국고보조금 106억 1092만 9000원 그리고 보전수입 등 내부거래 71억 5873만 2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세출결산안이 되겠습니다.
178쪽이 되겠습니다.
178쪽에 세출결산안을 설명드리면 세출예산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및 수도권매립지주변환경개선특별회계로 예산현액이 186억 9401만 800원으로 이 중에서 169억 8286만 1430원을 지출하였습니다.
사고이월은 7억 1855만 7100원이 되겠는데 그 내역은 181쪽에 보시는 것처럼 산업진흥과에서 추진한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 시행계획 수립 용역이 있습니다. 이 용역의 과업기간 미도래에 따라서 7억 1855만 7100원을 사고이월하였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 179쪽 소상공인정책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예산현액 161억 6101만 8000원 중에서 94.4%를 지출하였습니다.
7억 9135만 7000원은 보조금으로 반납하고 1억 1305만 1000원은 불용처리하였는데 대부분 사업 진행잔액이 되겠습니다.
180쪽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전통시장 화재알림시설 설치사업의 경우에 재작년인 ’18년도에 중기부의 예산부족으로 인해서 국비가 미교부된 사유가 되겠습니다.
그래서 ’18년도에 자금 없이 명시이월된 국ㆍ시비 중에서 7억 9135만 7000원은 보조금 반납하고 1억 1305만 1000원은 불용처리하였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 181쪽입니다.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시행계획 수립 용역의 과업기간의 미도래로 인해서 7억여 원을 사고이월하였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다음은 182쪽 에너지정책과 소관입니다.
예산현액 1억 3300만원을 계양구 경로당 태양광설비 설치사업으로 전액 지출한 바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자리경제본부 2019회계연도 기금결산안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187쪽부터 되겠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는 세 가지 종류의 기금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육성기금의 경우에 해당 조례에 의거해서 1993년부터 설치돼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19년도 말에 현재 기금조성액이 745억 3612만 4651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둘째, 에너지사업기금은 인천광역시 에너지사업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에 의거해서 ’92년도에 설치돼서 기후변화대응 관련 사업과 도시가스 보급 확대사업을 목적으로 설치ㆍ운영되고 있습니다.
2019년도 말 현재 168억 3958만 1143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농어촌진흥기금은 인천광역시 농어촌진흥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에 의거해서 ’98년도에 설치되었습니다.
2019년도 말 현재 109억 5338만 5862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중소기업육성기금의 경우에 수입과 지출금액은 1182억 1526만 5381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에너지사업기금의 경우에는 수입과 지출금액이 134억 129만 4943원이 되겠습니다.
주요내역으로는 천연가스차량 연료비와 구입비 보조에 4억 4191만 2800원, 도시가스사업자 융자금으로 14억 6500만원, 신재생에너지설비 보급사업으로 48억 1266만 5660원, 서민층 LP가스 시설개선사업 및 도시가스 공급배관 설치비 지원사업으로 4억 1722만 1330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농어촌진흥기금의 경우에는 수입과 지출의 규모가 120억 2698만 1272원이 되겠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는 많은 사업으로 인해서 시간관계상 상세하게 자세한 개별사업들을 보고드리지 못한 점이 있습니다.
널리 이해해 주시기 바라고 이상으로 2019회계연도 세입ㆍ세출 결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간략히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