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 지금부터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드릴 순서는 일반현황, 주요예산사업 현황,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입니다.
보고서 3쪽부터 7쪽까지 일반현황은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1쪽 주요예산사업 현황입니다.
우리 본부의 예산사업 현황은 1억원 이상 투자사업이 93건 2570억 9700만원, 3000만원 이상 용역이 12건 128억 9600만원으로 총 105건 2699억 9300만원입니다.
7월 31일 기준 예산집행액은 797억 1600만원으로 예산액 대비 29.5%를 집행하였습니다.
각 사업별 집행상황은 11쪽부터 17쪽까지 표기된 주요예산사업 내역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19쪽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입니다.
21쪽부터 23쪽까지 저수능력 확충을 위한 배수지 건설사업으로 용유지역 배수지 건설공사 등 총 3건입니다.
용유지역 배수지 건설공사는 총사업비 433억 5000만원을 투입하여 용유 1만 6000t, 무의 1500t 규모의 배수지를 각각 건설하는 사업으로 금년 5월 공사를 착공, 2022년 6월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학익배수지 및 천마산배수지 증설공사입니다.
총 236억 6500만원을 투입하여 학익배수지 2만t과 천마산배수지 1만t을 증설하는 사업으로 학익배수지는 지난해 9월 착공하여 2021년 9월에 준공할 계획이며 천마산배수지도 지난해 6월 착공하였으며 금년 12월에 준공 예정입니다.
24쪽부터 25쪽 영종도 해저송수관로 건설공사는 영종송수관로 복선화사업으로 해저구간 관로사고 시 안정적인 급수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금년 2월 설계안전검토를 완료했으며 현재 국토교통부에 지하안전영향평가 중입니다.
금년 12월 공사를 착공하여 2023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6쪽부터 27쪽 성산가압장~마곡 간 도수관로 정비공사입니다.
기존 노후관로의 잦은 누수발생에 따라 풍납계통 도수관로를 복선화하기 위해서 총 515억 6700만원을 투입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현재 약 94.6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나 공촌정수장 비상연계관로 설치 추진을 위해서 총사업비를 540억 6700만원으로 25억을 증액하였고 내년 7월 준공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28쪽 부평정수장 도수관로 정비공사 2단계 사업입니다.
총사업비는 47억원이며 2013년 1단계 정비 완료된 1.64㎞를 제외한 잔여구간 870m에 대한 정비사업으로 금년 5월에 준공한 사업입니다.
29쪽부터 32쪽까지 고도정수처리시설 건설공사입니다.
최근에 고도정수처리공법 및 고효율 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하는 사업으로 공촌정수장 산화시설 건설공사는 국ㆍ시비 160억원을 투입해서 금년 3월 공사를 착공했고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평정수장 산화시설 건설공사는 한강수계관리기금 80억원을 지원받아서 총사업비 101억원을 투입해서 금년 5월에 준공한 사업입니다.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공사는 국ㆍ시비 730억원을 투입하는 사업으로 건설기술심의, 수도사업변경인가, 계약심사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있으며 금년 12월 감리를 발주하고 내년 2월 공사를 착공할 계획입니다.
2023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남동정수장 고도처리시설 공사는 총사업비 700억원이 소요되며 현재 설계를 진행 중인 사업입니다.
향후 고도정수처리시설 공사의 차질 없는 추진으로 안전한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33쪽부터 36쪽까지 도서지역 해수담수화 사업은 만성적인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도서지역에 근본적인 용수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대청도 해수담수화 사업은 국비 101억 1000만원을 지원받아 총사업비 143억원을 투입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12월 공사를 착공해서 현재 53%의 공정률로 내년 2월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연평도 해수담수화 사업도 국비 127억 1200만원을 지원받아 총사업비 181억 6000만원을 투입하는 사업입니다.
지난해 12월 공사를 착공해서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습니다.
37쪽부터 45쪽까지 도서지역 지방상수도 공급 및 식수원 개발사업은 장봉도, 소무의도, 석모도 등 3개 도서지역 지방상수도 사업과 강화, 옹진군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으로 국비 253억 2200만원을 지원받아서 총사업비 422억 8500만원을 투자하는 사업입니다.
중구, 강화군, 옹진군 도서지역에 대한 식수원 확보와 시설개량을 실시해서 도서지역 주민들께 깨끗하고 안전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46쪽부터 47쪽까지 강화군 노후상수도 정비사업은 지난 4월에 국비 공모사업으로 선정되어서 국비 185억원을 지원받아 총사업비 370억을 투입해서 노후된 송수관로의 대체관로를 신설하는 사업으로 현재 환경부의 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절차를 진행 중이며 사전행정절차 이행 후 공사를 착공해서 2024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48쪽에서 49쪽까지 스마트관망 인프라 구축사업은 환경부로부터 국비 263억 6400만원을 지원받아 2개년에 걸쳐 총사업비 527억 2800만원을 투입해서 재염소설비, 정밀여과장치, 자동드레인 설치 등 감시ㆍ예측ㆍ대응이 가능한 스마트관망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금년 9월 환경부의 3단계 기본계획이 확정되면 정밀여과장치 등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50쪽 노후수도관 정비사업입니다.
누수ㆍ녹물 등에 취약한 노후관의 적극적인 정비로 상수도 신뢰성을 제고하고 맑고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417억 5600만원을 투입해서 88.8㎞의 노후수도관을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급수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연중 시행하는 사업으로 금년 목표인 88.8㎞ 노후관 정비에 차질 없도록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51쪽입니다.
블록시스템 분석 및 관리는 4개 수도사업소 전체 블록을 대상으로 전문기관을 활용해서 블록검토 및 유수율 분석 등 블록시스템을 분석ㆍ관리하는 사업입니다.
지난 2018년 10월부터 용역에 착수하였으며 2022년 강화수도사업소 블록시스템 3차 용역까지 차질 없이 진행하여 유수율 제고를 통한 경영효율화를 도모하도록 하겠습니다.
52쪽입니다.
관세척 관리는 급수수질 개선으로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서 14억 2900만원을 투입해서 관세척을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금년 8월부터 특허공법을 선정을 해서 공사를 착공, 12㎞를 차질 없이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53쪽 상수도 GIS 공공측량사업입니다.
상수도 시설물의 지하매설에 따른 공공측량 및 기존 관로에 대한 정확한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ㆍ정비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23억 1000만원을 투입해서 지난 5월에 용역을 착공했으며 금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차질 없이 추진하여 최적의 상수관 관망관리 구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54쪽 노후상수관로 정밀조사입니다.
전국 상수도 관망에 대한 국가 주도의 실태조사를 통해 관망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으로 사업비 16억 2200만원을 투입해서 6월에 착공하였으며 금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5쪽부터 56쪽 인천수도정비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수도법 제4조에 따라서 10년마다 향후 20년 장기계획을 수립하는 법정사업입니다.
인구, 사회여건 변동에 따른 시설의 정비 및 확충 등 현실적 수요량을 토대로 우리 시 상수도의 중장기 미래비전을 설정하는 사업입니다.
지난 2월 기본계획에 대한 환경부 협의를 완료하였으며 금년 11월 용역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57쪽부터 58쪽 원격검침시스템 구축사업입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고 검침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환경부의 스마트관망 인프라 구축사업 내에 스마트미터링에 대한 세부사업으로 올 7월 152억 2200만원의 사업비를 확정하고 원거리 지역 및 시내 난검침지역 대표블럭을 선정해서 2021년까지 차질 없이 설치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59쪽부터 60쪽 강화수도사업소 관사 건축사업입니다.
원거리 사업소인 강화수도 직원들의 복지 향상과 업무편의를 위하여 지상 3층 규모로 관사 건축을 추진 중입니다.
7월에 공사를 착공했으며 올 12월 준공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끝으로 61쪽 현안사항에 대해서 간략하게 보고드리겠습니다.
63쪽부터 64쪽 수돗물 유충발생 대응 및 향후 대책에 대한 사항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지난 7월 9일 서구 왕길동의 최초 민원신고를 시작으로 공촌 및 부평수계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어 7월 말에 총 235건의 수돗물 유충이 확인된 사항입니다.
발생 원인으로는 활성탄지 내에 번식된 유충이 수도관을 통해서 가정으로 이동한 것으로 7월 17일 인천시와 한강유역환경청이 합동정밀조사단을 구성해서 유충발생 원인조사와 재발방지대책 등을 마련하였습니다.
저희 인천시에서는 수돗물 안정화를 위해서 사고발생 즉시 공촌 및 부평정수장의 공정을 표준공정으로 전환하고 7월 24일까지 정수지 청소 및 해충방지시설을 개선했으며 역세척 주기도 20일에서 2일~3일 이내로 단축하였습니다.
관련 배수지 14개소에 대해서 청소 및 거름망을 설치하고 소화전 방류와 배수지 및 소화전 등에 수질 모니터링도 실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취약계층과 교육기관 등에 대해서는 병입수 지원 등 대체용수 지원을 하였습니다.
7월 28일 이후 전 과정에서 유충이 미발견되어 수질안정화 단계로 접어들었고 8월 1일 학교급식 재개 및 음용 가능함을 안내하였습니다.
시민 신뢰회복을 위한 재발방지대책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역세척 주기 단축 및 활성탄지 밀폐형 개량 등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개선하고 내년부터는 정수장을 식품회사 수준으로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서 ISO22000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 ISO22000은 국제적인 식품안전표준을 충족하는 위생적인 수돗물 생산체계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또 수용가에게 찾아가는 수돗물 점검서비스인 인천형 워터케어서비스를 8월부터 시작을 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내시경장비 등을 확보해서 인천형 워터코디와 워터닥터를 확대시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스마트관망관리 구축, 노후수도관 정비로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향후에 지난 9월 11일 수립한 수질위생관리 종합계획을 철저히 추진하고 9월 말까지 추석 전에 유충발생에 대한 수용가 및 저수조 청소비 보상을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간략하게 2020년 7월 기준 상수도사업본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을 보고드렸습니다.
금번 수돗물 유충사고로 인해서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대해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으며 재발방지와 금년도 목표한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ㆍ달성될 수 있도록 전 직원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위원님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리면서 이상 보고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ㆍ2020년도 상수도사업본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