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환경국장 유훈수입니다.
평소 환경 분야 발전을 위하여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산업경제위원회 임동주 위원장님과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오늘 환경 관련 주요사업 보고를 통해 위원님들의 발전적인 지도와 조언을 부탁드리며 위원님들이 지적한 사항 및 대안제시 사항에 대해서는 저를 비롯한 환경국 171명은 시정에 적극 검토ㆍ반영하겠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맑고 쾌적한 환경에서 모든 시민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말씀드리며 ’20년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에 앞서 2020년 7월 20일 자 새로 임명된 환경국 간부공무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송현애 환경기후정책과장입니다.
이승열 생활환경과장입니다.
라덕균 대기보전과장입니다.
박철현 에너지정책과장입니다.
정낙식 자원순환과장입니다.
서재희 수도권매립지매립종료추진단장입니다.
민경석 수질환경과장입니다.
함동근 하수과장입니다.
신일섭 자원순환시설건립추진단장입니다.
(간부 인사)
이상 간부소개를 마치고 배부해 드린 보고서를 중심으로 환경국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서 3쪽에서 6쪽까지 환경국 일반현황은 서면으로 갈음하고 보고서 9쪽 ’20년도 주요예산사업 현황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환경국 주요예산사업은 투자사업 41건과 용역사업 17건으로 총 58건입니다.
사업비는 총 3618억 5400만원이며 7월 말 기준으로 집행액은 1532억 2600만원으로 집행률은 42.4%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2020년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을 시간관계상 주요사업 위주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투자사업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페이지 19쪽입니다.
환경기초시설 온실가스 감축사업입니다.
환경기초시설에 태양광 발전설비 및 인버터 설치 등 온실가스 감축설비를 설치하여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을 도모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총 5억 6300만원이며 7월에 사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24쪽 소래습지생태공원 자연마당 조성사업입니다.
소래습지생태공원 자연마당 조성사업은 ’18년부터 ’20년까지 3단계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20년 3단계 사업은 습지 등 생물서식공간 및 관찰대를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금년도 사업비는 총 20억 6500만원으로 12월까지 공사를 완료하여 자연마당을 개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29쪽 슬레이트 처리 지원사업입니다.
노후주택, 창고 등 스레이트 건축물 336동에 대하여 철거 및 개량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8억 3300만원입니다.
3월에 사업비를 군ㆍ구에 교부 완료하였으며 ’21년도에는 슬레이트 건물 실태조사 실시 및 국비를 최대한 확보하여 슬레이트 건축물을 조기에 철거해 나가는 데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0쪽입니다.
건강취약계층 이용시설 및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관리시스템 구축입니다.
본 사업은 어린이집, 노인ㆍ아동ㆍ장애인복지시설 등 관내 건강취약계층 이용시설 및 다중이용시설 등 2746개소에 환기시설과 연계한 공기질 종합관리시스템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금년 예산 2억 5800만원은 집행 완료하였으며 ’22년까지 건강취약계층 및 다중이용시설에 공기질 관리시스템 설치를 완료하여 취약계층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4쪽 기업 환경시설개선 지원사업입니다.
중소기업, 비영리법인, 상업용 건축물 및 가정의 오염물질 배출감축을 위한 사업으로 저녹스버너 설치,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으로 총사업비는 298억 4900만원입니다.
저녹스버너 설치 지원사업은 7월 말 46대 사업 대상자가 확정되어 순차적으로 보조금이 지원되고 있으며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 지원사업은 군ㆍ구에 사업비를 전액 교부 완료하였으며 약 1만 5500대의 보일러가 교체될 걸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소규모 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은 약 309개 사업장에서 신청 접수하였으며 금년 말까지 사업비를 전액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36쪽 미세먼지 저감사업입니다.
먼지 다량발생원 집중관리로 시민 체감환경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는 47억 3500만원입니다.
동구, 미추홀구에 도로먼지 제거차량 구매를 지원하였으며 취약도로 68개 구간에 대하여 물청소 및 분진흡입을 실시하고 관내 초ㆍ중ㆍ고등학교 운동장 142개소를 대상으로 먼지억제제를 구매ㆍ살포하였으며 미세먼지 불법배출 감시인력 33명을 채용, 예방ㆍ감시활동을 추진하고 동구 화수ㆍ화평동 및 계양구 효성동 일대를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하여 해당 지역에는 주민들을 위한 스마트 에어샤워실, 미세먼지 흡입매트 등 맞춤형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39쪽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입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인 노후경유차량에 대하여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엔진개조 지원, 조기폐차 지원, 건설기계 엔진교체 및 저감장치 부착 지원, 1t 트럭 LPG 화물차 신차 구입 지원 등의 사업으로 금년도 예산은 1240억 8900만원입니다.
25.9%로 집행률이 저조하나 12월 말까지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쾌적한 도 시환경을 조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43쪽 수소연료전지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사업입니다.
수소경제의 성공적인 이행과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수소연료전지차 및 수소충전소를 보급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233억 3500만원입니다.
금년 7월까지 수소자동차 151대를 보급하였으며 수소충전소는 도심지 내 적당한 부지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연내 2개소를 확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47쪽 농어촌지역 LPG 집단공급 사업입니다.
강화ㆍ옹진 등 도시가스 공급이 어려운 농어촌 지역에 LPG 소형저장탱크와 공급배관을 설치하여 주민의 연료 환경 및 정주여건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9억 1800만원입니다.
강화군은 삼거2리 등 3개 마을, 옹진군은 소야1리 등 3개 마을에 총 244가구 주민들께 LPG 공급을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48쪽 전기자동차 및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입니다.
인천시에 주소를 둔 개인, 사업자, 법인, 단체소유 차량 2982대의 전기차와 전기이륜차 구매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478억 2300만원이며 7월 말 기준 1831대 전기차 보급을 완료하였으며 12월 말까지 지속적으로 보급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52쪽 생활폐기물 재활용 배출ㆍ수거체계 개선 시범사업입니다.
단독주택과 상가지역의 재활용 배출ㆍ수거체계를 개선하는 금년 신규 시범사업으로 대상지역은 중구와 연수구가 공모에 선정되어 재활용 전용봉투 제작 보급, 거점분리배출시설 설치 및 전담인력 운영, 비압착 재활용 전용차량 보급 및 수거 횟수 확대 등의 사업비를 해당 군ㆍ구에 지원하게 되며 총사업비는 25억 4000만원입니다.
11월에 시범사업에 대한 효과성 등 평가를 통해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내년에는 인천 전 지역으로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다음은 54쪽 일회용품 제로 친환경 장례식장 시범사업입니다.
장례식장 내 무분별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금년 시범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시범대상은 인천의료원이며 대상시설에는 식기세척실 조성공사, 식기세척기 설치, 멸균소독기 설치를 지원하고 다회용품과 세척인력 7명을 지원하는 등 총사업비는 5억 400만원입니다.
앞으로 관내 장례식장들에 대하여 자발 적 협약체결 등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장례식장 일회용품 줄이기 사업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58쪽 남부권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입니다.
연수구 인천신항에 위치한 재활용품 선별시설인 남부권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예산은 23억 4300만원입니다.
7월 말 기준 총 반입량은 5392t이며 선별품 발생량은 총 3628t으로 재활용 선별률이 67.3%입니다.
금년 말까지 자원순환정책 홍보를 다각적으로 실시하여 재활용품 선별률을 높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60쪽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입니다.
부평1동 주민센터부터 부평구청까지 도심지 내 1.5㎞ 복개하천에 대해서 생태하천으로 복원하는 사업으로 복개구간 철거, 인접지 보상, 생태하천 복원 등 총사업비는 486억원입니다.
금년 말까지 도시계획시설 결정과 생태하천 복원 심의를 완료하고 연내에 공사를 착공하여 ’22년에 준공토록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64쪽 서부간선수로 친수공간 조성사업입니다.
서부간선수로는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농수로로 매년 악취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상준설, 유지용수 공급, 친수공간 조성 등을 통한 수질환경 및 악취개선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30억입니다.
10월 말까지 실시설계용역을 마치고 연내에 공사를 착공토록 조치하겠습니다.
다음은 68쪽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수도시설 지원입니다.
도서지역 정주여건 개선을 통하여 생활용수 공급시설을 확충하고 노후된 수도시설 개량 및 유지관리로 깨끗하고 안정적인 식수를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는 128억 7000만원입니다.
7월 중에 사업비를 교부 완료하였으며 10월 중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비를 추가 지원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73쪽 검단공공폐수처리시설 시설재투자적립금 사업입니다.
검단공공폐수처리시설의 노후화 및 공정개선을 위하여 시설물과 기계장비 교체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3억 7500만원입니다.
건축물 보수, 변압기 증설, T-N 측정기 노후부품 교체, 슬러지 건조시설 설치, 기계장비 노후시설 보완 등을 완료하여 폐수처리시설의 안정적인 처리를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다음은 75쪽 노후불량 하수관로 정비사업입니다.
20년 이상 된 노후불량 하수관로를 정비하는 사업으로 사업기간은 2018년부터 ’22년까지이며 총 489억 25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됩니다.
금년에는 7개 구에 해당되는 총길이 9.4㎞의 긴급 보수구간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며 일반 보수구간 8개 구 28.2㎞는 연내 착공하여 ’22년까지 완료하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다음은 77쪽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사업입니다.
2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지반침하 예방 등을 위한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224억 9800만원입니다.
’22년까지 정밀조사 용역을 수행하여 하수관로 보수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79쪽부터 80쪽 가좌분뇨처리시설 확충 및 악취개선사업입니다.
분뇨처리시설 확충사업은 일일 분뇨처리량 약 800㎘를 증설하는 사업으로 2016년부터 총 379억 3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 사업입니다.
금년에는 251억 8400만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7월 말 기준 공정률은 60%로 12월에 준공될 수 있도록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분뇨처리시설 악취개선사업은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악취저감시설과 탈취설비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2017년부터 총 102억 26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금년 1월에 공사를 착공하였습니다.
9월 중 공사 준공 및 시운전을 실시하여 2021년 3월 중 사업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이상 투자사업에 대한 보고를 마치고 다음은 주요 용역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83쪽 수도권매립지 주변 자연부락 환경개선대책 수립 용역입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 자연부락에 대한 환경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부락별 맞춤형 환경개선대책을 수립하는 용역으로 사업비는 10억원입니다.
5월에 용역계획을 수립하였으며 9월부터 ’21년 7월까지 본 용역을 수행하여 수도권매립지로 인해 고통 받는 주민들의 환경개선방안 마련 등 피해 주민에 대한 지원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87쪽 서북부권역 악취실태조사 및 악취시책 수립 용역입니다.
관내 모든 악취배출사업장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용역으로 총사업비는 13억 4700만원입니다.
금년 2월에 용역을 발주하였으나 단일응찰 등 사유로 2회 유찰되어 7월 제안심사를 통해 용역업체를 최종 선정하였기 때문에 7월 말 기준 예산은 집행하지 못했습니다.
8월에 용역계약 및 착수하고 ’22년 3월까지 용역을 완료하여 인천시 악취저감시책 수립 추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89쪽 인천광역시 자연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사업 타당성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입니다.
운영 중인 자원환경시설 현대화 및 확충을 통해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기반을 마련하고 ’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에 대비하여 직매립 제로화 목표달성을 위한 용역으로 사업비는 8억원이며 5억 6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공론화위원회 및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한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의견수렴 등에 만전을 기울이겠습니다.
다음은 100쪽 지방하천 기본계획 변경 수립 용역입니다.
지방하천법 제25조 규정에 의한 의무사항 이행 용역으로 하천기본계획과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수행하게 되며 사업비는 18억 3800만원입니다.
강화지역 내 숭릉천 등 10개 하천에 대한 하천측량, 하천개황, 홍수방어계획, 하천공사 시행 등을 담은 용역과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는 용역으로 금년 12월 중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준공하고 내년 3월까지 하천기본계획을 변경하여 용역을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마지막으로 104쪽 2035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입니다.
하수도사업의 체계적인 추진과 강화된 환경기준에 대한 장래여건 변화를 반영한 종합적인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용역으로 사업비는 15억 5200만원입니다.
2017년 12월에 용역을 착수하여 ’19년 6월에 환경부에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승인을 신청하였습니다.
9월 중 환경부 승인을 득하고 용역을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환경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 현안사업이 잘 추진될 수 있도록 산업경제위원님들의 많은 협조와 지원을 부탁드리면서 이상으로 2020년 환경국 주요예산사업 추진현황 및 주요 용역사업에 대한 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ㆍ2020년도 환경국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