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청 차장 유병윤입니다.
경제자유구역청 2021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은 기 배부해 드린 사항별설명서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3쪽 경제자유구역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 총괄 현황입니다.
내년도 특별회계 예산안 규모는 금년 당초예산액 6175억 9313만 6000원 대비 33.6%인 2072억 7495만 4000원이 증가된 8248억 6809만원이고 일반회계는 당초예산액 331억 9600만 9000원 대비 6%인 19억 9094만원이 증가된 351억 8694만 9000원입니다.
다음 7쪽 2021년도 경제자유구역사업특별회계 예산안 수입ㆍ지출 총괄 내역은 유인물로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9쪽 수익적 수입 보고드리겠습니다.
그 다음에 11쪽 사업수익으로 택지판매 수익은 금년도 4147억 4524만 8000원 대비 50.2%인 2083억 8038만 5000원이 증가된 6231억 2563만 3000원으로 증가사유는 6공구 공동주택용지 A9 등 기 매각분 수입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송도국제도시 택지판매수익은 경제청특별회계 총 수입예산의 75.5%를 차지하고 있는 주 수입원입니다.
다음은 14쪽 기타영업수익은 아트센터인천, 송도자원순환센터, 송도컨벤시아 운영과 공동구 사용 유지관리비 등으로 228억 7552만 4000원을 계상했고 총수입 비중은 2.8%입니다.
다음 16쪽 영업외수익은 총 381억 2390만 9000원을 계상했습니다. 총수입 비중은 4.6%입니다.
주요내역은 공공예금 이자수익 56억 6200만원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되는 국고 경상보조금 38억 3530만원 그리고 기타영업외수익 285억 9660만 9000원입니다.
다음 17쪽부터 20쪽 기타영업외수익의 세부내역은 G타워 청사 임대료 수입이 19억원, 경원재 앰배서더호텔 운영수입 50억원, 인천글로벌캠퍼스 운영수입 66억 2700만원, 18쪽 송도센트럴파크 수상택시 등 운영수입은 12억 7000만원, 솔찬공원 골프연습장 운영수입은 11억 4500만원 그리고 19쪽 인천국제공항공사의 개발이익 재투자액 50억원, 청라 신교통 운영비 지원금 28억 2367만 8000원과 기타 과태료ㆍ사용료 수입 등 총 285억 9660만 9000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21쪽 매년 고정적 지출되는 수익적 지출예산입니다.
주요예산 중심으로 직제순에 따라 편성내역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3쪽과 24쪽 도시디자인단 지출예산은 부서운영 일반경비와 IFEZ 경관아카데미 개최 등으로 8344만원을 계상하였고 25쪽부터 28쪽까지 기획정책과 예산은 사무관리비와 경제청 공통경비, 용지매각 관련 필요경비와 IFEZ 소송 대비 손해배상금 등으로 63억 2017만 7000원을 편성했습니다.
28쪽 경상사업예산 예비비는 예산규모의 0.4%인 31억 6220만 7000원을 반영했습니다.
다음 29쪽부터 34쪽까지 미디어문화과 예산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사무관리비 및 공공운영비 5억 6448만 3000원과 32쪽 국내외 광고료 47억 8000만원, 34쪽 송도컨벤시아 2단계 BTL사업 운영비 40억 4800만원, 경원재 앰배서더호텔 위탁운영비 49억 2000만원 그리고 송도컨벤시아 운영 공기관 대행사업비 119억 8906만 5000원, 송도 연날리기 축제 등 3개 행사에 7억 500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35쪽부터 45쪽까지 운영지원과 예산입니다.
기본업무수행 및 기관 운영경비와 G타워의 각종 시설에 대한 청소 및 조경 등 유지관리비용과 45쪽 공무원 인건비 부담 일반회계 전출금 351억 8694만 9000원과 UNESCAP 등 5개 국제기구에 대한 공관 임차료 5억 238만 7000원 등 총 423억 6811만 8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46쪽부터 49쪽까지 스마트시티과 예산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부서운영 사무관리비와 48쪽 행정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비 등 수선유지비가 3억 7434만 8000원, 유엔 아태정보통신 기술교육센터 등 국제기구 부담금 10억 4000만원, 스마트시티운영센터 통합관제 운영 18억 7319만 2000원, 스마트시티 시설물 통합 유지보수 38억 8959만원 그리고 49쪽 스타트업파크 운영관리를 위한 공기관 대행사업비 89억 800만원 등 총 175억 9746만원을 반영했습니다.
다음은 50쪽부터 57쪽까지 아트센터인천운영과 예산 보고드리겠습니다.
기간제 근로자 등 보수와 사무관리비, 공공운영비, 공연 홍보비 등 공연비 등으로 81억 7191만 9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58쪽부터 63쪽까지 투자유치기획과는 62쪽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출연금 36억 9137만 5000원, 63쪽 아시아ㆍ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등 2개의 국제기구 부담금 20억 6830만원,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관리 경상예산 위탁사업비 134억 414만 6000원과 투자유치 홍보 및 기업지원센터 운영비, 외국인 정주지원 관련 행사운영비, 글로벌센터 운영비 등으로 총 203억 1934만 8000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64쪽부터 65쪽 서비스산업유치과 예산입니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임차료 3억 8245만 4000원과 65쪽 외국교육연구기관 지원사업으로 국비 29억 7800만원을 포함한 59억 5600만원과 인천 패션페스타 2억원 등 총 66억 2395만 4000원을 반영했습니다.
다음은 66쪽과 67쪽 신성장산업유치과는 67쪽 K-바이오혁신센터 건립 타당성 분석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2억원과 부서운영비 등으로 2억 4004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 68쪽과 69쪽 개발계획총괄과는 부서운영비와 송도국제업무단지개발유한회사 재무회계조사 용역비로 1억 1097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70쪽부터 72쪽 송도기반과는 부서운영비와 송도기반시설 유지관리비 등 총 55억 592만 1000원을 반영하였으며 73쪽부터 75쪽 도시건축과 예산은 부서운영비와 75쪽 공동구 사용 유지관리 위탁사업비 47억 178만원 등 총 51억 5174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76쪽부터 79쪽 환경녹지과 예산입니다.
부서운영 사무관리비와 79쪽 GCF 등 환경 관련 4개 국제기구 부담금 65억 8276만 5000원, 송도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 운영관리비와 송도자원순환센터 운영관리비, 송도국제도시의 공원녹지 유지관리비 등 공기관 대행사업비 243억 7975만 5000원 등 총 322억 7739만 1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80쪽부터 82쪽 영종청라개발과 예산은 부서운영 사무관리비와 81쪽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역사 운영손실비 8억 6200만원, 82쪽 공항고속도로ㆍ인천대교 통행료 지원비 63억 8535만 2000원, 청라 신교통 운영비 39억 2507만 8000원 등 총 121억 9778만 4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83쪽부터 86쪽까지 영종관리과 예산은 지적관리 및 부동산 거래신고 관련 기간제 근로자 2명 인건비와 부서운영비 그리고 86쪽 영종국제도시 도시기반시설관리 경상적 위탁사업비 41억 7582만 3000원, 공원관리 경상적 위탁사업비 58억 3220만 1000원, 하늘문화센터 운영 경상적 위탁사업비 32억 282만 3000원 등 총 134억 7341만 1000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은 87쪽부터 89쪽까지 청라관리과 예산은 부서운영 관리비와 89쪽 청라국제도시 10만㎡ 이상 공원녹지와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 유지관리를 위한 공기관 경상적 대행사업비로 152억 686만 3000원 등 총 152억 9030만 3000원을 편성했습니다.
90쪽부터 91쪽 용유무의개발과 예산입니다.
무의대교 및 제방도로 시설물 전기료 3000만원과 부서운영비 등 6674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93쪽 투자사업비를 편성한 자본예산안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자본적 수입예산입니다.
95쪽부터 97쪽까지 자본적 수입예산은 송도컨벤시아 2단계 BTL사업 임대료 49억 4300만원, 송도9공구 아암물류단지 진입도로 개설공사 82억 5000만원, 미단시티 진입도로 개설공사로 90억원, 청라국제도시 IHP진입도로 개설공사 13억 5000만원 등 8건의 국고보조금과 96쪽 2020회계연도 순세계잉여금 309억 700만원, 과년도 미수금 수입 6억 5867만 5000원, 영종~청라 연결도로인 제3연륙교 건설사업 부담금 수입 811억원 등 총 1370억 6347만 6000원을 계상해서 총수입 비중은 16.6%입니다.
다음 99쪽 자본적 지출로 분류한 각 부서별 투자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101쪽 도시디자인단 지출예산은 IFEZ 10대 야간경관 명소화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수립용역으로 3억 900만원 등 총 3억 2104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102쪽과 103쪽 기획정책과는 케냐프 등 유휴용지 먼지저감식물 식재사업 3200만원, 2022년도 경제자유구역사업 적립금 720억원, 103쪽입니다. 산업용지 환매대금 289억 3133만 5000원과 자본예산 예비비 50억원 등 총 1059억 7908만 3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 104쪽부터 106쪽 미디어문화과는 IFEZ 홍보관 정비비 4억 8000만원과 한옥호텔 정밀안전진단 9500만원, 환경개선사업 2억원, 105쪽 도시미술사업으로 7억원, 106쪽 송도컨벤시아 2단계 BTL사업 임대료 123억 5800만원 등 총 138억 6254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 107쪽 운영지원과 예산은 G타워 환경개선을 위한 시설비와 노후화된 관용차량 대체취득비 등으로 총 4억 2759만 1000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108쪽과 109쪽 스마트시티과 예산입니다.
감리비와 시설부대비를 포함한 금액으로 송도6ㆍ8공구 스마트시티 기반시설 구축공사비 26억 7800만원과 11공구 스마트시티 관로 구축공사비 16억 6660만원, 다목적 CCTV 확대 설치사업비 8억 8600만원, 청라 노후 CCTV 개선사업비 33억 300만원과 109쪽 업무용 PC구입으로 1억 5252만원 등 총 87억 4612만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110쪽과 111쪽 아트센터인천운영과 예산은 연회장 시설개선 공사비로 7억 1172만 9000원과 다목적홀 음향 및 조명장비 구입비 등으로 총 11억 2878만원을 편성했습니다.
112쪽과 113쪽 투자유치기획과는 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자본예산 위탁사업비로 42억 7518만 8000원과 113쪽 글로벌캠퍼스 교수아파트 증축공사비 56억 800만원, 글로벌캠퍼스 기숙사 증축설계비 13억 1600만원 등 총 112억 3718만 8000원을 반영했습니다.
114쪽 서비스산업유치과 예산은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사무공간 확장공사와 사무물품 구입비로 5억 950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 115쪽 개발계획총괄과 예산은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조성사업비로 312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16쪽부터 118쪽 송도기반과 예산은 감리비와 시설부대비를 포함해서 송도11공구 공유수면 매립공사 27억원, 송도11-1공구 기반시설 건설공사 1433억원, 6ㆍ8공구 대2-1호선 건설공사 247억 3000만원, 6ㆍ8공구 광2-14호선 외 15개소의 건설공사로 250억원, 6ㆍ8공구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설치공사 215억 1940만원, 9공구 아암물류단지 진입도로 개설공사로 165억원, 117쪽 송도5교 고가차도 건설공사 타당성평가 용역 3억원, 송도 지하수유출 오접정비 검증용역 5100만원, 송도국제도시 학교주변 보도육교 실시설계용역 1억 9300만원 등 총 2367억 6274만 4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 119쪽 도시건축과 예산은 송도의 공동구 스마트모니터링 방재시스템 구축비 1000만원을 반영하였고 120쪽부터 124쪽 환경녹지과 예산은 송도 조류 대체서식지 조성사업 설계비 7억 5000만원과 랜드마크시티 1호 수변공원 조성공사로 90억 6000만원, 소리공원 조성공사 5억원, 랜드마크시티 2호 수변공원 외 1개소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용역 6억 5700만원, 랜드마크시티 3호와 5호 근린공원 조성공사 45억 24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121쪽 첨단산업클러스터단지 4호 근린공원 조성공사 22억 3550만원, 가드너교육센터 신축에 14억 1800만원, 랜드마크시티 7호 근린공원 조성공사에 30억 5400만원, 달빛공원 그늘나무 식재사업 3억원, 해돋이공원 산책로 등 정비공사 7억 400만원, 122쪽 솔찬공원 캠핑장 정비사업에 30억 700만원, 미추홀공원 활성화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용역 1억 2000만원 그리고 달빛공원 등(등) 정비공사 3억원, 송도11공구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공사 기본계획 수립 및 입찰안내서 작성용역으로 1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송도 조성사업의 사후환경영향평가조사 용역비 10억원, 송도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 염분제거설비 설치사업비로 13억 5200만원 등 총 334억 6638만 6000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125쪽부터 127쪽까지 영종청라개발과 예산은 영종 해안순환도로 개설공사에 180억원, 청라국제도시 진입도로인 대로1-16호선 및 봉수대로 501번길 도로개설비 150억 7057만 3000원, 영종~청라 연결도로인 제3연륙교 건설공사비 811억원, 127쪽 서울도시철도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사업비로 148억 8700만원, 영종~신도 연륙교 사업비 50억원 등 총 1355억 2777만 3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 128쪽부터 130쪽 영종관리과 예산입니다.
영종기반시설관리 사무공간 증축비로 7억 6873만원과 씨사이드파크와 박석공원 등 영종 공원 조성 및 정비비로 24억 6656만원 등 총 35억 7346만 3000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131쪽과 132쪽 청라관리과 예산은 호수공원 수목생육 환경개선사업비로 10억원, 호수공원 야외음악당 그늘막 전기공사 3억원, 녹청문화공원 주차장 조성사업비 3억원 등 총 31억 2984만 9000원을 반영했습니다.
다음 133쪽과 134쪽 용유무의개발과 예산입니다.
공항서로~남북도로 간 도로개설 공사비로 170억원, 134쪽 잠진도 어촌정주어항 개발사업으로 30억원, 하나개해수욕장 공영주차장 조성 18억 6350만원 등 총 221억 1350만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137쪽과 138쪽 계속비사업조서입니다.
연부액 조정 등 변경사업 14건과 2021년도 신규사업 1건이며 2021년 당초예산에는 3938억 7700만원을 계상했습니다.
세부내역은 유인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141쪽 중요자산의 취득 및 처분계획입니다.
개발사업비 조달을 위해서 5공구 등 상업용지 3필지와 산업용지를 매각할 계획입니다.
다음 143쪽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을 보고드리겠습니다.
경제청 소관 일반회계 예산은 경제자유구역사업특별회계와의 내부거래 예산입니다.
145쪽 세입예산은 특별회계에서 전입 받은 경제청 직원 인건비 351억 8694만 9000원을 편성한 것이며 146쪽부터 154쪽 세출예산은 세입 관련 경비를 동일하게 세출예산에 편성했습니다.
직원 인건비 편성 세부내역은 유인물로 보고를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경제자유구역청 소관 2021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