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상수도사업본부장 박영길입니다.
지금부터 2021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021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예산안은 급수기반시설 조기확충과 시민과 소통하는 시스템 구축을 기본방향으로 수돗물사고 후속조치 관련 사업, 노후수도관 지속적인 정비 및 고도정수처리시설 확충, 정수장 위생관리 개선, 비상연계관로 설치와 스마트 관망 인프라 구축 등 주요 상수도 인프라 개선과 확충을 중심으로 재원을 배분해서 예산안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러면 배부해 드린 사항별설명서를 통하여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사항별설명서 5쪽 예산안 총괄표입니다.
2021년 예산안 규모는 우측 예산총계와 같이 총 3775억 6600만원입니다.
이는 2020년도 본예산 4149억 8200만원 대비 374억 1600만원이 줄어든 규모이며 이월재원 감소와 인프라 구축, 국고보조금 연부액 축소 등이 주요 감소원인입니다.
왼쪽 상단 사업수익은 전년 대비 103억 2400만원이 증가된 2737억 5800만원이고 중앙에 자본적 수입은 전년 대비 477억 4000만원이 감액된 1038억 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왼쪽 하단 세출예산입니다.
사업비용은 2020년도 본예산 대비 32억 2500만원이 감액된 2286억 8800만원입니다.
자본적 지출은 전년 대비 341억 9000만원이 감액된 1488억 7800만원입니다.
다음은 세입ㆍ세출 주요 반영사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11쪽부터 14쪽까지는 수익적 수입에 관한 것으로 11쪽 영업수익은 수도전 수 증가에 따른 사용량 증가분과 민원인의 급수공사 신청에 의한 급수공사 수익 등을 반영하여 전년 대비 94억 8700만원이 증가된 2634억 9800만원을 반영하였고 다음 13쪽 영업외수익은 상수도자금 운용에 따른 이자수입과 도서지역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시설 유지관리비, 용도변경 교부된 특별교부세 수돗물 수질피해지역 수질개선 상수관로 정비사업 7억 1400만원, 하수도위탁징수 수수료 등 전년 대비 8억 3600만원이 증가된 102억 59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15쪽 수익적 지출에 관한 사항입니다.
17쪽부터 41쪽까지는 경영관리부, 수질안전부 소관 사항으로 17쪽 경영관리부 영업비용은 전년 대비 32억 2400만원이 증가한 820억 1600만원이며 인건비 상승분과 수질안전 소관 부서 설치에 따른 정원 확대 등이 주요 증가요인입니다.
구체적 반영내용을 보면 18쪽 정수장 일반직 219명의 보수 142억 300만원과 21쪽 본부 일반직 116명 보수 95억 3000만원과 24쪽 일반수용비와 공공요금 그리고 업무추진비, 32쪽 지역수도사업소 일반직 보수 146억 600만원 등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36쪽 수질안전부 소관 사항으로 풍납 및 팔당 원수구입비로 전년 대비 20억 700만원 증액된 604억 8700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강화ㆍ영흥ㆍ운연동 지역의 수돗물 공급을 위한 정수구입비는 14억 24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39쪽은 수용가 수질검사 서비스를 위한 인천형 워터케어 소모품 구입 등 재료비로 1억 7900만원과 ISO22000 인증 컨설팅 용역비로 1억 5000만원을 신규반영하였습니다.
수질안전부는 금년 7월 20일 신설됨에 따라 전년도 예산액이 0으로 표기된 점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42쪽 급수부 소관 사항입니다.
43쪽 상수도시설물 원격감시제어망 통신요금 5억원을 포함한 조직운영 기본경비를 반영하였고 45쪽 상수도 급ㆍ배수과정의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수운영시스템의 통합유지관리비 예산으로 총 4억 9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6쪽 시설부 소관 사항으로 풍납취수장 등 운영 동력비로 72억 3200만원, 4개 정수장 동력비로 93억 8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쪽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급수시설 수선유지비는 대청도 해수담수화 등 관리대상 시설물 증가요인으로 전년도 대비 8억 1800만원이 증액된 18억 99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49쪽부터 64쪽은 맑은물연구소, 수도시설관리소 소관 예산으로 52쪽 수질시험용 재료비와 각종 시험장비 유지비를 반영하였고 60쪽 수도시설관리소 수선유지비는 송ㆍ배수관로 세척공사에 4억 6000만원, 수도시설관리소와 30개 배수지 시설물 유지관리 등 49억 63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64쪽 공동구 유지관리 부담금은 인천시 지하공동조사 부담금 신규편성 등 32억 54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65쪽부터 109쪽까지는 부평정수사업소를 포함한 4개 정수사업소 소관 사업 예산으로서 74쪽 부평정수사업소 정수처리 및 슬러지 약품비 10억 8200만원, 85쪽 남동정수사업소 전기ㆍ기계ㆍ계장시설물 수선유지비 13억 2000만원, 96쪽 공촌정수사업소 폐기물처리부담금 1억 3000만원, 107쪽 백령정수장 시설물유지비 8100만원과 각 기관별 공공요금, 일반운영비 등 필수경비를 반영하였습니다.
110쪽부터 157쪽은 중부수도사업소를 포함한 5개 지역 수도사업소 소관 사항으로 116쪽 중부수도사업소 소관 노후 옥내급수관 개량비용 지원사업은 4억원을 반영하였으며 5개 지역 수도사업소에 반영된 전체 개량비용 지원사업비는 전년보다 3억 3000만원이 증액된 16억 30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24쪽 남동부수도사업소 소출수 등 상수도시설물 개ㆍ보수공사비로 18억 5000만원을 반영하였고 135쪽 북부수도사업소 누수수리비 14억원 등 수선유지비 26억 8800만원을 반영하였으며 144쪽 서부수도사업소 블록시스템 분석 및 관리비 등 시설물 유지관리비 18억 3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49쪽 강화수도사업소 정수장 유지관리비 4억 50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외의 수도사업소 예산은 매년 반복적으로 소요되는 시설물 유지비와 일반운영비 등 필수 소요경비를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159쪽 자본예산입니다.
163쪽 하단에 자본잉여금 수입은 전년도 대비 55억 7400만원이 감액된 507억 9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64쪽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 공사 국고보조금 60억 6300만원, 정수장 등 위생관리 개선사업 국고보조금 38억 5300만원 등을 반영하였으며 자본잉여금 수입의 주요 증감요인은 신설 급수공사 감소에 따른 시설분담금 수입 감소 29억 8300만원과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 구축사업 전년 대비 국고보조금 147억 4600만원 감액 등입니다.
165쪽 순세계잉여금은 ’21년도 이월금 추계에 따라 236억 66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67쪽 자본적 지출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69쪽부터 172쪽은 경영관리부와 수질안전부, 급수부 소관 사항으로 169쪽 본부 청사 부서재배치 리모델링 비용 등 시설비 3700만원, 171쪽 수질안전부 정수장 위생관리 개선사업 128억 4200만원, 172쪽 급수부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 구축 117억 9800만원 등을 반영하였습니다.
173쪽 시설부 소관 사업입니다.
공촌~부평 및 남동~수산 간 비상연계관로 공사는 2025년까지 510억 1100만원이 소요되며 역방향 비상연계 문제점 해소를 통해 안정적인 용수공급 등의 목적을 위해서 2021년도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비 12억원을 신규반영하였습니다.
174쪽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공사는 ’21년도 국비 60억 6300만원을 신규 교부받아 126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성산가압장~마곡 간 도수관로 정비공사는 공촌 및 부평정수권역의 안정적 원수 공급을 위해 21억 7800만원의 사업비를 반영하였으며 내년 7월까지 준공할 예정입니다.
175쪽 용유지역 배수지 건설공사부터 176쪽 영종도 해저송수관로 건설공사 사업까지는 계속비사업으로 공사 공정 및 연차별 계획에 따라 예산이 반영된 사항입니다.
176쪽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은 전년 대비 28억 1300만원이 증액된 111억 30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77쪽 강화군 노후상수도 정비사업은 2020년도 국비 공모사업으로 ’21년도분 36억 90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79쪽 맑은물연구소 소관으로 유전자분석을 통한 생물 동정을 위한 유전자증폭기 등 자산취득비 1억 10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81쪽 수도시설관리소 시설비는 옥련동 일원 등 6개소 노후수도관 교체ㆍ정비와 원적산배수지 및 4개소 보수공사를 위하여 64억 78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84쪽에서 199쪽까지는 부평정수사업소 등 4개 정수사업소 소관 자본예산으로 185쪽 부평정수사업소 경비실 및 TMS실 철거 및 신축비 5억 4300만원, 전력계통 이중화 구축을 통한 안정적 정수생산을 위해서 수변전시설 계량비 30억원을 반영하였고 190쪽 하단에 남동정수사업소 소관 배출수 처리공정 배관 개선공사 4억 5000만원, 194쪽 공촌정수사업소 여과지 현장조작반 개선공사 10억원, 198쪽 수산정수사업소 외곽침입 감지시스템 교체공사 2억 5000만원을 반영하였으며 기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등 정수장 운영에 필요한 시설보강 예산을 반영한 사항입니다.
200쪽에서 214쪽까지는 중부수도사업소 등 5개 수도사업소의 자본적 지출 사업으로 201쪽 중부수도사업소 급ㆍ배수관 부설공사는 상수관로 미부설구간에 급ㆍ배수관을 부설하는 사업으로 무의도지역을 포함하여 31억 2600만원을 반영하였으며 204쪽 남동부수도사업소 블록 정비공사는 문제블록 정비 및 노후관 교체를 위해서 10억 10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206쪽 북부수도사업소 시설비는 수질안전팀 신설에 따른 사무공간 재배치를 위해서 1억 5000만원을 반영하였고 209쪽 서부수도사업소 노후관 교체비는 서구 원창동 일원 등 9개 지역 노후관 교체와 왕길배수권역 무인가압장 설치 등을 위해서 56억 55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212쪽 강화수도사업소 시설비는 신규 급ㆍ배수관 부설공사로 75억원을 반영하였고 213쪽 하단, 수운영 중앙감시실 이전구축비 4억 50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외에도 5개 지역 수도사업소의 연례 반복적인 노후관 정비, 급ㆍ배수관 부설 등의 사업비를 반영하였습니다.
존경하는 임동주 위원장님과 위원님 여러분!
지금까지 보고드린 바와 같이 2021년도 예산안은 수돗물사고 후속조치 이행 및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위한 수도시설 인프라 조기구축 등을 위하여 경비를 반영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상수도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필수경비를 반영하여 예산안이 제출된 것을 감안하시어 원안대로 심사, 의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상으로 2021년도 수도사업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