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환경국 소관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예산서를 중심으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총괄현황을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총 1832억 6044만원으로 2020년 대비 240억 6199만원을 감액편성하였고 세출예산은 2020년 대비 220억 3522만원이 감액된 총 3446억 792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에 대한 세부 증감내역은 부서별 예산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16쪽 환경기후정책과는 ’20년 예산 대비 68억 3433만원 증액된 107억 354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생활환경과는 2억 3371만원 증액된 14억 619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17쪽 대기보전과는 812억 3193만원 감액된 398억 3572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118쪽 에너지정책과는 506억 6796만원 증액된 840억 7222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자원순환과는 75억 2792만원 증액된 368억 6936만원으로 편성하였고 120쪽 수질환경과는 19억 4261만원 증액된 94억 6471만원을 편성하였으며 121쪽 하수과는 100억 3660만원 감액된 8억 529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798쪽부터 846쪽 세출예산을 부서별 주요내역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798쪽 환경기후정책과는 ’20년 예산 대비 12억 1933만원 증액된 148억 1883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내역은 GCF 사무국 사무공간 조성에 4억 4972만원을 증액 편성하였고 2050년 인천광역시 탄소중립 전략 용역 1억 8000만원,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수립용역 6000만원, 도시생태 현황지도 작성 및 구축용역 3억,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사업 3억 7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806쪽 생활환경과 소관 예산입니다.
예산액은 38억 368만원으로 ’20년 예산 대비 1532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기후변화 대응 협력체계 구축 2억, 탄소포인트제 운영 4억 5300만원, 슬레이트 처리지원 10억 4541만원, 국가지질공원 관리운영 5억 2500만원 등 총 38억 368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슬레이트 실태조사 사업 1억 2000만원, 양서ㆍ파충류 서식환경 모니터링 용역 5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813쪽 대기보전과입니다.
예산액은 715억 1287만원으로 ’20년 예산 대비 1100억 8124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기업환경시설 개선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대상업체 수 감소로 52억 6813만원을 감액편성하였고 노후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에 저공해 조치 대상차량 감소로 1055억 4418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824쪽 에너지정책과는 ’20년 예산 대비 712억 8346만원 증액된 1213억 493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내역은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직접보조에 ’20년 예산액 대비 460억 8420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에 102억 4000만원 증액된 307억 35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천연가스 콘크리트 믹서트럭 구입보조에 8억원을 신규편성하습니다.
다음 831쪽 자원순환과입니다.
예산액은 690억 177만원으로 ’20년 예산 대비 20억 617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으며 주요내역은 폐기물 감량 및 직매립 제로화사업 28억 6200만원, 생활폐기물 홍보 및 교육으로 7억 3660만원을 편성하였고 자원 재활용 활성화 추진사업에 21억 3699만원을 증액한 41억 2302만원을 편성하였으며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운영으로 2억 3367만원을 증액한 574억 651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39쪽 수질환경과 소관 예산입니다.
예산액은 535억 8710만원으로 ’20년 예산 대비 273억 156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동락천, 교산천, 운연천, 심곡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으로 전년 대비 179억원을 증액편성하였고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전년 대비 75억원을 증액한 108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도서지역의 안정적인 식수원 공급을 위해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으로 14억 34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846쪽 하수과입니다.
예산액은 총 105억 7657만원으로 전년 대비 134억 2143만원을 감액편성하였으며 가좌분뇨통합처리시설 위탁운영비 104억 9128만원과 분뇨처리비 징수대행 교부금 852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1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고 이어서 2021년도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타특별회계 세입예산은 총 2370억 2172만원으로 ’20년 대비 616억 13만원을 감액편성하였고 세출예산은 ’20년 대비 515억 1086만원이 감액된 총 1637억 819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 증감내역은 회계별 예산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입니다.
세입예산은 2254억 8246만원으로 전년도 대비 640억 7606만원을 감액편성하였고 세출예산은 1522억 4273만원으로 전년도 대비 539억 8679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1278쪽 세입예산은 공공예금이자와 기타사용료수입 30억 9600만원을 증액하였고 순세계잉여금 661억 7206만원을 감액 반영하였습니다.
1286쪽부터 1293쪽까지 세출예산 주요내역을 부서별 예산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286쪽 생활환경과는 취약계층 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개선에 6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1287쪽 대기보전과는 수도권매립지 먼지 저감사업에 8억원, 옥외 미세먼지 저감시설 설치사업에 1억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1288쪽 에너지정책과는 수도권매립지 간접영향권 내 공동주택 등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비 지원사업으로 29억 452만원을 편성하였고 1289쪽 자원순환과는 자원순환시설 개선을 위한 사업에 100억 11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자원순환시설 개선사업 설치를 위한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등 13억 6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클린서구 조성을 위한 예산으로 50억 32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290쪽 수도권매립지매립종료추진단은 수도권매립지 주변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에 ’20년 대비 10억 9064만원이 감액된 43억 1405만원을 편성하였고 자체매립지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기본조사 설계비 등 7억 1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비비로 795억 3179만원이 감액된 956억 832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292쪽 수질환경과는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하천 환경개선사업 및 서부간선수로 친수공간 조성사업에 60억원, 검단일반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 2억 1428만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1293쪽 하수과는 전년 대비 147억 9522만원을 증액한 220억 3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서구 분류식 하수관로 정비사업에 5억 8500만원, 아라뱃길 북측 하수관로 정밀조사용역비 7000만원, 공촌하수처리시설 공정개선 공사에 128억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가좌분뇨처리시설 확충 및 악취개선사업에 70억 2000만원과 가좌하수처리시설 내 전처리시설 설치사업으로 15억 6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310쪽부터 1314쪽 수질개선특별회계입니다.
예산액은 세입과 세출예산이 동일하게 92억 4144만원으로 전년도 예산 대비 31억 5342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세입예산은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운영되는 한강수계관리기금 지원사업비와 순세계잉여금을 반영한 사항이며 세출예산 주요내역은 상ㆍ하류 협력 지원사업 중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42억원을 신규편성한 것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321쪽부터 1324쪽까지 공공폐수처리시설특별회계입니다.
예산액은 세입과 세출예산이 동일하게 전년도 예산액 대비 2억 3751만원을 증액한 총 17억 128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입예산은 검단산업단지 입주업체의 시설재투자 적립금 등이며 세출예산 주요내역은 검단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관리비 3152만원, 시설재투자 적립금을 노후시설 긴급보수 및 교체 등에 70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예비비에 4억 802만원이 증액된 16억 1128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41쪽부터 1485쪽까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입니다.
세출예산 주요내역은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관련 옹진군 LPG 집단 공급사업에 5억 8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환경국 소관 2021년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2021년도 본예산 편성방향은 어려운 시 재정 여건 속에서도 환경주권 확립과 생활환경 개선에 역점을 두고 당면 현안사항 추진을 위한 최선의 예산편성이 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아무쪼록 본예산이 원안대로 가결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