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경제본부 2021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위원님들께 배부해 드린 2021년도 세입ㆍ세출 예산안을 위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예산안 총괄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111쪽부터 2021년도 일반회계 세입은 총 2589억 7947만 3000원으로 2020년 본예산 2759억 3788만원 대비 6.1%인 169억 5840만 7000원이 감액된 규모입니다.
세입이 증액된 주요사유는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사업 선정과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 국고보조금 103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국고보조금 940억원, 통합관리기금 예수금 750억원, 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 27억원 등 국고보조금과 세외수입 증가가 있으나 2020년 본예산에는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 건립에 따른 공유재산 매각수입금 1224억원이 편성되었으나 ’21년에는 미편성되어 전체적으로 규모가 감액되었습니다.
717쪽부터 2021년도 일반회계 세출은 총 5920억 6189만 6000원으로 2020년 본예산 3645억 5522만 4000원 대비 62.4%인 2275억 667만 2000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주요 증액사업 내용은 일자리경제과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 87억원, 소상공인정책과 인천신용보증재단 보증재원 출연 30억원,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지원 특례보증 20억원, 소상공인 전용 노란우산 공제 가입지원 14억원,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지원 특례보증 이차보전 33억 7000만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1142억원, 청년정책과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13억 5935만원, 사회적경제과 지역방역 일자리사업 27억 4950만원, 노동정책과 검단복합문화센터 건립 13억 8800만원, 가좌복합문화센터 건립 30억 600만원, 산업진흥과 디지털 무역 전문인력 양성사업 24억 6000만원, 중소기업 녹색혁신 상생협력사업 25억원, 남동스마트산단 조성지원 52억원, 주안ㆍ부평국가산단 재생사업 10억원, 실내 초미세먼지 차단시스템 조성 10억원, 미래산업과 AI 플레이그라운드 인천 조성 30억원,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운영비 지원 10억원, 인천로봇랜드 유상증자 출연금 19억 1512만원, 투자창업과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 10억원, 농축산유통과 길상지구 배수개선사업 11억 8500만원, 삼산지구 대구획 경지정리사업 18억원, 학교 우유급식 지원 17억 503만 1000원 등이며 보고드린 사업들은 신규로 편성되거나 증액된 사업들입니다.
주요 감액사업 내용은 국제협력과 공무국외출장 운영 관련 국외업무여비와 국제화여비 감액 3억 4000만원, 소상공인정책과 일자리 창출 특례보증 감액 8억원, 골목상권 활성화 특례보증 감액 2억원, 사회적경제과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비 지원 감액 10억 3033만 3000원,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감액 6억 3855만 6000원, 산업진흥과 인천 파브산업 육성 감액 10억원, 농업용 소류지 개발 감액 1억 5000만원 등입니다.
그러면 주요 세입ㆍ세출 예산편성 내역을 부서별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11쪽 세입예산안입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입은 전년도 51억 7252만 2000원 대비 135% 증액된 121억 402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기존 제물포스마트타운 임대료 등 세외수입과 국고보조금 외 2020년 선정된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과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사업 국고보조금으로 103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국제협력과 세입은 국제기구 관련 부담금 36억 1068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상공인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860억원 대비 96.5% 증액된 169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관련 국고보조금과 통합관리기금 예수금이 주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112쪽 청년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30억 2400만원 대비 47.4% 증액된 44억 568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인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등이 국고보조금으로 편성된 것입니다.
112쪽 사회적경제과 세입은 전년도 90억 8270만 4000원 대비 6.7% 증액된 96억 92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마을기업 청년일자리 지원 국고보조금 사업과 코로나19에 따른 지역방역 일자리 국가균특 보조금사업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112쪽 노동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4억 3174만원 대비 620% 증액된 31억 107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검단과 가좌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에 대한 국가균특 보조금과 기금을 신규편성한 것입니다.
113쪽 산업진흥과 세입은 전년도 10억 9만 6000원 대비 159% 증액된 25억 854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인 디지털 무역 전문인력 양성 지원사업과 주안ㆍ부평국가산단 경쟁력 강화사업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113쪽 미래산업과 세입은 전년도 26억 9093만 7000원 대비 14.9% 감액된 22억 9072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어린이과학관 입장료 수입과 대관 등 사용료 수입이 코로나19의 여파로 감액편성되었습니다.
114쪽 농축산유통과 세입은 전년도 1581억 5392만원 대비 72% 감액된 442억 8257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배수개선사업 11억 8500만원, 방조제 개ㆍ보수 10억 900만원, 학교 우유급식 지원 10억 2301만 8000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으나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 건립에 따른 공유재산 매각수입금 1224억원이 2021년에는 미편성되어 전체적인 규모가 감액된 것입니다.
126쪽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세입은 전년도 76억 5194만 6000원 대비 32% 감액된 51억 9866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감액사유는 남촌농산물도매시장의 시장사용료, 시설사용료, 공공요금 등 세외수입에서 19억 1456만 9000원이 감액되었습니다.
126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세입은 전년도 27억 3001만 5000원 대비 4.35% 감액된 26억 1106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감액사유는 시장사용료 등 세외수입이 1억 1997만 5000원 감액편성되었습니다.
다음 부서별 세출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규모가 매우 방대한 관계로 부서별 핵심사업 위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예산안 717쪽입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69억 1998만 3000원 대비 37.4%인 63억 2129만 4000원이 증액된 232억 4127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신중년 새로일하기 사업 93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 8120만원, 신중년 경력활용 지역서비스일자리 1억 2000만원, 고용안정 선제대응패키지 지원사업 2년 차에 따른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 87억원, 중소기업 근로자 기숙사 임차료지원 2억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일자리박람회 및 취업설명회 개최 2000만원, 일자리희망버스 8700만원, 고령소비자 피해 제로화사업 5000만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24쪽 국제협력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60억 4583만 7000원 대비 6.2%인 3억 7535만 9000원이 감액된 56억 7047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전략도시 교류사업 5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공무국외출장 운영 관련 국외업무여비와 국제화여비 3억 4000만원, 인차이나포럼 운영 관련 일반운영비와 위탁사업비 7115만원 등은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31쪽 소상공인정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436억 978만 6000원 대비 156.2%인 2243억 6189만 3000원이 증액된 3679억 7167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재개발지역 상권활성화 특례보증 5억원, 지하도상가 활성화 특례보증 8억원,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지원 특례보증 20억원, 재개발지역 상권활성화 특례보증 이차보전 7600만원,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특례보증 이차보전 33억 7000만원 등 전체적으로 이차보전과 관련되거나 특례보증 관련된 예산이 되겠습니다.
참여예산사업으로 2건 개인사업자 온라인마케팅 활동지원 1억 2000만원, 삼산2동 상가지역 지주사인물 설치 1억 50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인천신용보증재단 보증재원 출연금 30억원, 소상공인전용 노란우산 공제 가입지원 14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1142억원, 중소기업육성기금 전출금 10억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일자리 창출 특례보증 8억원, 골목상권 활성화 특례보증 2억원, 홀로서기 창업금융융자 이차보전금 1억 7000만원, 소상공인 희망키움 금융융자 이차보전금 2억 1000만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37쪽 청년정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19억 4698만 7000원 대비 20.3%인 24억 2801만 7000원이 증액된 143억 7500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군ㆍ구 지원사업 13억 5935만원, 인천청년 계층별 부채 실태조사 연구용역 70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재직청년을 위한 드림For청년통장 10억 63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대학일자리센터 운영지원 1억 2500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40쪽 사회적경제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44억 8565만 9000원 대비 9.4%인 13억 6236만 1000원이 증액된 158억 4802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사회적경제기업 금융지원 1억 7100만원, 마을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2억 895만원, 지역방역 일자리사업 27억 495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으며 마을기업 육성으로 총 1억 3930만원, 인천상생유통지원센터 운영 4000만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비 지원 10억 3033만 3000원,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6억 3855만 6000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46쪽 노동정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47억 1786만 5000원 대비 89.7%인 42억 3320만 3000원이 증액된 89억 5106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검단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 13억 8800만원, 가좌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 30억 6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한 것입니다.
751쪽 산업진흥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413억 2996만 7000원 대비 18.9%인 78억 936만원이 감액된 335억 206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디지털 무역 전문인력 양성 지원사업 24억 6000만원, 중소기업 녹색혁신 상생협력사업 25억원, 남동스마트산단 조성지원 52억, 주안ㆍ부평국가산단 재생사업 10억원, 실내 초미세먼지 차단 시스템 고도화 기반조성 10억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으며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사업 5억원,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 개발사업 9억원, 희소금속 고순도화 실증기반 조성지원 4억 4000만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인천 파브산업 육성 10억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60쪽 미래산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289억 5888만 2000원 대비 29.6%인 85억 7671만원이 증액된 375억 3559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AI 플레이그라운드 인천 조성 30억원, SOS랩 구축 및 SW서비스 개발 8억원,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운영비 지원 10억, 인천로봇랜드 유상증자 출연금 19억 1512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765쪽 투자창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47억 1855만 8000원 대비 44.3%인 20억 8944만 9000원이 증액된 68억 80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창업마을 드림촌 운영 활성화 방안 수립용역 1억원,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 5억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 10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지원 3억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769쪽 농축산유통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804억 1747만 1000원 대비 16.2%인 129억 9782만원이 감액된 674억 1965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참여예산사업으로 3건 인천형 공동체 도시텃밭 조성사업 1억 5000만원, 미추홀구 자투리텃밭 조성사업 1억원, 다목적스튜디오 조성사업 5000만원과 소독차량 방역장비 지원 1억 6800만원, CCTV 등 방역인프라 설치 1억 35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으며 길상지구 배수개선사업 11억 8500만원, 지방관리방조제 개ㆍ보수사업 7억 8000만원, 삼산지구 대구획 경지정리사업 18억원, 군ㆍ구관리 수리시설 개ㆍ보수 6억 2500만원, 학교 우유급식 지원 17억 503만 1000원, 예방약품 등 지원 4억 1318만 4000원 등을 증액편성하였고 가축매몰지 발굴ㆍ복원 2억 9312만 5000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943쪽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세출예산은 전년도 72억 6915만 7000원 대비 11.9%인 8억 6253만 5000원이 감액된 64억 662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캐노피 설치 관련 시설물 보완공사 1억 6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시설장비유지비 1억 8126만 1000원, 시설보수용 소모성 자재구입 1억 2300만원, 청사시설 및 청사관리는 물가상승을 반영, 3억 4775만 7000원 등을 증액편성하였고 공공요금 및 제세 7억 1193만 5000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948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세출예산은 전년도 41억 3507만 2000원 대비 4.3%인 1억 7881만 9000원이 증액된 43억 1389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승강기 구입설치 1억 5300만원, LED등 교체공사 55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옥상 방수공사 1억 4400만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특별회계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본부의 특별회계는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로 소상공인정책과와 산업진흥과가 해당됩니다.
1450쪽, 1451쪽 특별회계 세입과 1458쪽, 1460쪽 특별회계 세출은 총 157억 138만 9000원으로 기정예산 66억 6976만 3000원 대비 135%인 90억 3162만 6000원이 증액된 규모입니다.
1458쪽 소상공인정책과의 경우 총 147억 138만 9000원으로 기정예산 56억 6976만 3000원 대비 90억 3162만 6000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주요내용은 주차환경 개선사업 60억 3912만원 증액편성, 화재알림시설 설치사업 17억 8976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1460쪽 산업진흥과의 경우 총 10억원으로 전년도와 동일하며 산업시설 환경개선사업을 위한 사항입니다.
다음은 계속비사업입니다.
본부의 계속비사업은 1건으로 1490쪽 가좌복합문화센터 건립비 총 136억 7200만원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1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코로나19 상황이 예상과 달리 장기화되고 있어 2021년 본예산은 행사, 국외공무 등에 대한 예산은 감액편성하였고 소상공인과 피해 중소기업 경영안정화 도모와 인천형 뉴딜사업 추진과 공모 선정된 사업들에 주안점을 두고 본부 예산편성을 하였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아무쪼록 원안대로 심의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