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일자리경제본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를 중심으로 일자리경제본부 소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에 대하여 간략하게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순서는 일반현황, 주요예산사업 현황,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순입니다.
보고서 3쪽부터 27쪽까지 일반현황입니다.
일자리경제본부는 10과, 48담당, 2사업소로 현원은 245명입니다.
일자리경제본부 2021년 일반회계 예산액은 6652억 6700만원으로 2020년 최종예산 대비 4.7%가 감액되었으며 특별회계 예산액은 157억 100만원으로 2020년 최종예산 대비 67.6%가 증액되었습니다.
기금은 697억 8700만원으로 2020년 최종예산 대비 46.8%가 감액되었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 소관 위원회는 총 43개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타 부서별 사무분장 및 현황에 대해서는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보고서 31쪽부터 34쪽까지 주요예산사업 현황입니다.
일자리경제본부 2021년 주요예산사업은 총 68건에 총사업비는 8037억 1400만원입니다.
투자사업 64건, 용역사업 4건이 되겠습니다.
예산액은 5169억 8600만원으로 4월 30일 현재 2715억 5500만원을 집행하여 집행률은 52.5%입니다.
보고서 39쪽부터 부서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입니다.
양이 방대한 관계로 주요사항 위주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39쪽부터 45쪽까지 일자리경제과 소관 7개 사업입니다.
39쪽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은 지역 고용안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으로 2년 차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뿌리일자리센터 운영 등 뿌리산업 지원체계 구축, 기술혁신 컨설팅 및 근로환경 개선을 도모하는 뿌리기업 성장지원, 경력형성장려금 등 근로자 지원사업으로 구성되며 지난해 1341명 고용창출, 505명 경력형성장려금 지원, 99개소 근로환경 개선을 추진하였습니다.
지역 주력산업인 뿌리산업에 대한 중장기 일자리창출과 지역산업 및 경제정책과 연계한 뿌리산업 기반조성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8억 8600만원을 집행, 41.3%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40쪽 지역혁신프로젝트 사업 역시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으로 직업계고ㆍ대학생 취업연계와 뷰티ㆍ바이오 사업화 지원을 하는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과 공항 관련 일자리센터 구축 등 공항경제권 일자리 창출사업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항경제권의 위기근로자 고용안정을 위해 에어잡센터 운영 등 특화된 일자리 지원사업을 신규로 전개합니다.
8억 8000만원을 집행, 39.1%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41쪽 시, 군ㆍ구 상생협력 특화일자리 지원사업입니다.
9개 군ㆍ구, 12개 사업을 추진 중이며 사업비 시비 16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42쪽 정년퇴직 고용연장 중소기업 지원사업은 관내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 근로자 1인당 월 30만원씩 최대 12개월 지원하여 정년퇴직자의 생활안정 및 중소기업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 시비 7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43쪽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은 2억 7500만원을 집행, 42.8%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맞춤형 일ㆍ경험 지원사업도 역시 50%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어서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45쪽 지역 숙련기술인 기술전수 및 인식개선사업 역시 1억원을 집행, 66.7%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49쪽부터 50쪽까지 국제협력과 소관 2개 사업입니다.
49쪽 국제기구 협력 및 청년인턴십 운영은 22억 4400만원을 집행, 60.5%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50쪽 인차이나포럼 운영입니다.
이 부분도 위탁비를 교부 완료, 2억 8000만원을 집행하여 98.6%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53쪽부터 63쪽까지 소상공인정책과 소관 6개 사업입니다.
53쪽 소상공인 맞춤형 종합서비스 지원은 15억 8300만원을 집행, 49.6%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55쪽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통한 성장 촉진은 136억 1400만원을 집행, 80.8%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57쪽 인천e음 전자상품권 플랫폼 운영입니다.
1199억 100만원을 집행, 61.1%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59쪽 쾌적하고 경쟁력 있는 전통시장 조성은 73억 8000만원을 집행, 48.2%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보호 및 육성을 위한 특화사업은 33억 500만원을 집행, 71%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63쪽 인천 소상공인 금융소외자 금융접근성 확대를 위한 연구용역입니다.
4600만원을 집행, 65.7%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음 보고서 67쪽부터 71쪽까지 청년정책과 소관 5개 사업입니다.
67쪽 구직청년 드림체크카드사업은 사업비 11억 86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68쪽 재직청년 드림for청년통장사업은 사업비 21억 67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69쪽 청년고용 우수기업 근로환경 개선사업은 사업비 11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70쪽 대학일자리센터 운영 지원입니다.
1억 25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71쪽 청년 계층별 부채실태 및 해소방안 연구용역은 6월 중 계약체결 후 선금집행 예정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75쪽부터 82쪽까지 사회적경제과 소관 4개 사업입니다.
75쪽 사회적경제 생태계 기반강화입니다.
사업비 6억 7300만원을 집행, 50.6%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77쪽 사회적기업 성장기반 구축 지원입니다.
사업비 42억 6200만원을 집행, 58.7%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79쪽 지역상생을 위한 마을기업 활성화 지원, 사업비 4억 3700만원을 집행, 47.9%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81쪽 저소득층 공공일자리 제공입니다.
사업비 44억 600만원을 집행, 74.4%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85쪽부터 91쪽까지 노동정책과 소관 5개 사업입니다.
85쪽 노동법률상담소 운영은 사업비 3억 3700만원을 집행, 49.9%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86쪽 남동 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은 사업비 6억 1600만원을 집행, 47.8%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87쪽 근로자문화센터 운영은 사업비 7억 7600만원을 집행, 51.1%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88쪽 지역 노사민정 협력활성화 지원은 사업비 9800만원을 집행, 46.4%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90쪽 근로자복합문화센터 건립은 현재까지는 중앙투자심사, 공공건축심의 등 사전 행정절차 이행 등으로 집행률이, 참고적으로 이 근로자복합문화센터는 두 군데가 있는데 이 부분은 중투심사가 통과되었습니다. 그래서 정상 진행될 것으로, 차질 없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은 보고서 95쪽부터 110쪽까지 산업진흥과 소관 11개 사업을 보고드리겠습니다.
95쪽 효과적인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은 인천혁신모펀드 10억원을 출자해 공유서비스펀드 125억원 등을 조성하였습니다.
사업비 295억 4600만원을 집행, 53.7%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97쪽 글로벌 마케팅 및 수출인프라 구축 지원은 사업비 53억 8700만원을 집행, 95.2%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98쪽 노후산단 대개조를 통한 혁신성장 기반마련은 산단대개조 및 스마트그린산단 사업의 경우에 국비교부 지연에 따라 집행이 지연되고 있으며 부평 주안산단 재생사업은 국토교통부의 재생계획 및 재생시행계획 통합계획 수립 요구로 용역발주가 지연되어 7월 중 예정입니다.
102쪽 스마트공장 보급 추진은 사업비 25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04쪽 중소기업 지식재산 및 디자인 지원 강화는 사업비 42억 29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05쪽 녹색혁신 상생협력사업은 사업비 25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06쪽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은 사업비 12억 4800만원을 집행, 83.2%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07쪽 실내 초미세먼지 차단시스템 고도화 기반조성은 사업비 10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08쪽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지원은 사업비 1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09쪽 희소금속 고순도화 실증 기반조성은 사업비 9억 80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10쪽 융합기술 핵심 기술개발은 사업비 4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113쪽부터 124쪽까지 미래산업과 소관 7개 사업입니다.
113쪽 D.N.A산업 혁신성장 지원은 사업비 60억 5000만원을 집행, 69.2%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15쪽 바이오헬스산업 육성ㆍ지원은 사업비 12억원을 집행, 38.1%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18쪽 미래 신산업 연구개발 활성화 지원으로 사업비 16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20쪽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으로 사업비 53억 6500만원 집행, 76.5%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22쪽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지원은 사업비 3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23쪽 SOS랩 구축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개발 사업비 8억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24쪽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운영 지원 사업비 5억 6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127쪽부터 133쪽까지 투자창업과 소관 5개 사업입니다.
127쪽 창업마을드림촌 조성입니다.
금년도 사업비 10억원은 공사 착공 시 바로 지출할 계획입니다.
129쪽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입니다.
사업비 5억원은 수행사 선정 이후 조속히 집행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130쪽 기술창업 지원을 통한 창업생태계 활성화는 사업비 16억원을 집행, 35%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32쪽 국내외 투자기업 인센티브 지원으로 이 사업비의 경우에는 6월 이후 사업공고와 신청서 접수를 실시하고 투자기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집행할 계획입니다.
133쪽 창업생태계 조성 및 창업마을드림촌 운영방안 연구용역입니다.
4월 계약 착수하였으며 10월 중 용역 완료 예정이라 사업비의 경우 용역진행에 따라 집행 예정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135쪽부터 151쪽까지 농축산유통과 소관 11개 사업입니다.
137쪽 농가경영안정 및 청년창업 후계농업인 육성입니다.
사업비 2억 9400만원을 집행, 1.1%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38쪽 안전하고 질 높은 학교급식 지원은 사업비 187억 8300만원을 집행, 25.2%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39쪽 고부가가치 스마트 농식품산업 육성사업은 사업비 57억 2900만원을 집행, 88.6%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40쪽 안정적인 농업생산기반시설 구축은 사업비 73억원을 집행, 61.9%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42쪽 한우브랜드 육성 지원은 사업비 4억 56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44쪽 예방 중심의 가축전염병 방역 추진은 사업비 5억 200만원을 집행, 56.9%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45쪽 시민들과 함께하는 도시농업 활성화 추진은 사업비 3억 10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47쪽 동물과 함께하는 희망도시 인천은 사업비 3억 9400만원을 집행, 87%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49쪽 청년 외식창업 공동체 공간 조성은 1억 13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50쪽 소독차량 지원은 사업비 1억 6800만원 전액 집행하였습니다.
151쪽 CCTV 등 방역인프라 설치 지원은 사업량 대폭 감소로 2회 추경에 사업비 잔액 일체를 감액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154쪽부터 156쪽까지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소관 2개 사업입니다.
155쪽 체계적ㆍ효율적 청사시설 및 청소관리 운영은 사업비 11억원을 집행, 64.4%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56쪽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 승강기 유지관리 용역은 사업비 1700만원을 집행, 33.3%의 집행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159쪽부터 161쪽까지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소관 3개 사업입니다.
159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승강기 구입설치는 사업비 1억 5300만원에 대해서는 ’21년 8월 중 공사 준공 후 집행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160쪽 야채쓰레기 감량화시설 교체공사는 사업비 5억 3200만원에 대해서는 ’21년 8월 중 공사 준공 후 집행할 계획입니다.
161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옥상 방수공사 사업비 1억 5600만원에 대해서는 ’21년 7월 중 공사 준공 후 집행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 167쪽 주요현안 보고입니다.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 현대화사업 공모신청입니다.
인천 서북권역의 핵심도매시장으로 육성하기 위한 시설 현대화사업을 추진하는 사항으로 삼산도매시장은 건축한 지 20년이 경과되었습니다.
시설물 노후화 및 다양한 물류기능이 부족하여 시설 현대화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도매시장 내 농산물 물류 및 유통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총사업비는 약 590억원으로 국비 177억, 시비 177억, 융자 236억원이며 구근류 경매장, 중도매인 점포, 전처리시설 등을 신축하는 사업입니다.
’21년 5월 말 농림축산식품부 시설 현대화사업 공모에 신청하였고 ’21년 9월 중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1년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일자리경제본부의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를 경청해 주신 임동주 위원장님과 위원 여러분께 다시 한번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미집행되었거나 사업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사업들에 대해서는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빠른 시일 내에 예산을 집행하도록 하겠으며 사업추진이 어려운 경우라도 예산의 불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면밀히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보 고)
ㆍ2021년도 일자리경제본부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보고서
(부록으로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