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보건복지국장 박판순입니다.
평소 존경하는 문화복지위 황흥구 위원장님 또 김경선 위원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먼저 보고에 앞서서 우리 국 과장님부터 소개를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공감복지과장 고태성 과장님이십니다.
다음은 장애인복지과 김태미 과장입니다.
다음은 보훈다문화과 최충헌 과장이십니다.
다음은 보건정책과 김혜경 과장입니다.
다음은 건강증진과 최장현 과장입니다.
다음은 위생안전과 천정묵 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다음은 보건복지국 소관 2017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2회 추경예산안에 대해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고드릴 순서는 예산서안을 중심으로 해서 보건복지국 전체 예산 규모와 또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내역 또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 순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금번 보건복지국 추경예산 총 규모는 세입이 기정예산 대비 6.5%인 518억 9,324만 8,000원이 증액된 8,478억 6,142만 8,000원을 편성하였고 보건복지국의 세입예산은 우리 시 전체 예산의 9.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 세출예산은 1조 883억 8,354만 2,000원으로 기정예산액 1조 261억 352만 9,000원 대비 6%가 증가된 규모로 일반회계에서 4.5% 증가한 303억 2,501만 3,000원, 특별회계에서 9.2% 증가한 319억 5,5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보건복지국 세출예산 규모는 인천시 예산 대비 11.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보건복지국 세출예산 재원은 국비가 70%, 시비가 30%로 대부분 국고보조사업으로 운영이 되고 금번 추경은 국고사업의 증액 또는 감액 내시 사항이 변경된 것을 반영한 것입니다.
생계급여 등 복지사업 확대 실시 등을 위해서 편성되었습니다.
그러면 세입예산부터 세부내용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원님 가지고 계신 67쪽 공감복지과 세입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 대비 2.7%에 해당하는 83억 282만 3,000원이 증액된 3,084억 9,320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생계급여 등 7개 사업에 대해서 국고보조금 변경내시를 반영해서 기정예산 대비 70억 8,282만 3,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지역발전 특별회계 3억원을 추가 확보했고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 등 자체 사업비를 조정해서 13억 5,01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장애인복지과 세입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 대비 6.2%에 해당하는 61억 2,980만 6,000원이 증액된 1,049억 7,323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은 장애인일자리 지원 등 5개 사업에 대해서 국고보조금 변경내시를 반영했고 기정예산 대비 61억 2,980만 6,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 68쪽 보건정책과 세입에 대해서는 기정예산액 대비 0.3%에 해당하는 8,708만원이 증액된 279억 6,955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은 취약지역 응급의료센터 기관 운영 등 5개 사업에 대해서 응급의료기금 변경내시를 반영해서 8,708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다음 건강증진과 세입에 대해서는 기정예산액 대비 32.5%에 해당하는 54억 1,853만 9,000원이 증액된 220억 8,299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사업으로는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운영 또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집행잔액 반납 또한 정신요양시설 운영 지원, 통합건강증진센터 사업 등 6개 사업에 대해서 건강증진기금 53억 1,546만 8,000원이 증액된 198억 7,12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에 대해서 분야별 내용을 보고드리면 153쪽 공감복지과 소관으로 기정예산액 대비 91억 3,941만 5,000원이 증액된 3,581억 3,401만 9,000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정책사업별로 주요 증감내용을 보고드리면 저소득 생활보장 3,180억 314만 3,000원을 편성하였고 주요내용은 국고보조사업 변경내시에 따라서 해산장제급여는 1,623만 1,000원을 감액하였고 생계급여, 긴급복지, 자활근로, 지역자활센터 등 74억 7,624만 8,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또한 지역복지 기반확립 분야는 기정예산 대비 4.3% 증가한 399억 8,591만 2,000원을 편성하였고 주요내용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수급자 등 복지 분야 민원상담을 위한 상담실 설치비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아울러서 인천형 공감복지 실천을 위한 시민 공감 오디션에 대한 행사운영비를 1,000만원 편성하였고 또한 인천형 공감복지 홍보를 위해 인천형 공감복지 로고를 위한 출원등록비 21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58쪽 되겠습니다.
장애인복지과 기정예산 대비 4.6% 증액이 되었습니다.
장애인 복지증진 분야는 기정예산액 대비 75억 1,218만 3,000원을 증액한 1,692억 3,838만 9,000원이 증액 편성되었습니다.
주요내용은 국고보조금 변경내시에 따라서 장애인복지 일자리 지원 또 발달재활서비스 바우처 지원, 장애아가족 양육 지원, 언어발달 바우처 지원, 장애인보호시설 등 6억 7,176만 5,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160쪽에 보건정책과 소관 분야로 기정예산 대비 5.8% 증액한 1,228억 42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응급의료기금 변경내시에 따라서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운영비, 응급의료 고도 취약지 지원, 취약지 원격협진 네트워크 구축과 운영, 에이즈 및 성병예방 지자체 보조비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아울러서 고품격 의료제공 분야는 4억 2,140만원이 증액된 340억 1,458만 2,000원을 편성하였고 주요내용은 감염병 역학조사 여비라든가 또 비축약품 구입비, 콘퍼런스 개최 등 2,14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또한 에이즈환자 진료비와 의료급여 특별회계 전출금도 63억 9,100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163쪽 되겠습니다.
건강증진과 소관 분야로 기정예산액 대비 24% 증액한 360억 9,809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건강증진기금 변경내시에 따라서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암검진 지자체 보조, 암환자 의료비 지원, 기초정신건강증진센터 지원, 광역치매센터 운영, 치매안심센터 설치비 등 68억 4,676만 5,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166쪽 되겠습니다.
위생안전과 소관 분야로 기정예산액 대비 0.4% 감액한 38억 7,313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은 시민들의 재능기부로 불용 예정인 릴레이 프로젝트 실비보상비 1,800만원 전액을 감액하였고 271쪽부터 279쪽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 추경예산안에 대해서는 금번 의료급여 특별회계 추경예산 규모는 세입ㆍ세출에서 기정예산액 대비 9.2% 증가한 319억 5,500만원이 증액된 3,790억 8,60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76쪽에 세입 분야 주요 증감내용은 국고보조금 255억 6,400만원 또 일반회계 전입금 63억 9,100만원을 증액하였고 278쪽 보시게 되면 세출 분야의 주요내용으로는 의료급여수급권자 의료기관 이용 증가에 따른 의료급여진료비 예탁 및 심사수수료 317억 9,778만 1,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아울러서 의료급여 지급대상 확대에 따른 3,144만 3,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금번 추경예산안은 2017년도 정부 추경예산 확정 이후에 보건복지부로부터 증액 또는 감액된 내시 변경사항을 반영하고 인천시 재정건전화에 따른 혜택을 시민에게 돌려드리기 위한 복지사업 확대에 중점을 두고 편성을 하였습니다.
300만 인천시민의 복지수준 향상을 위해서 이번 추경에 반영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위원님들의 많은 도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건복지국 소관 2017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