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잘 알겠습니다.
(보고계속)
행정사무감사 12건에 대해서는 모두 종결이 되었기 때문에 금년도 업무추진 실적에 대해서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27쪽의 지역특화농산물 안정생산 기반 조성사업은 지역특화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ㆍ공급을 위하여 지역 활력화작목 기반 조성 시범 3개소 등 3개 사업 5개소에 대한 사업을 추진 완료하였습니다.
29쪽의 원예작물 재배환경 개선 사업은 재배작물 최적 환경 조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시설원예 환경개선 시범 3개소 등 4개 사업 7개소를 추진 완료하였습니다.
31쪽의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기술 보급 사업은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 및 환경개선 시범 1개소 등 2개 사업 3개소에 대한 사업을 추진 완료하였습니다.
33쪽입니다.
고품질 쌀 생산, 노동력 절감 신기술 보급 사업은 쌀 품질 고급화와 노동력을 절감하고자 고품질 쌀 생산 건조저장 시범 4개소 등 3개 사업 10개소에 대한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이 중 비료절감형 벼 재배기술 시범 3개소를 제외한 사업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사업이 완료되지 못한 비료절감형 벼 재배기술 시범사업은 사업대상 농지가 성토됨에 따라 사업 추진이 불가하여 정리추경에 관련 예산 1260만원을 삭감 요구하였습니다.
35쪽입니다.
농가 경영개선 지원사업은 농업경영체와 청년 농업인 등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214명에 대한 컨설팅과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우수 농산물 생산농가 2개소에 대한 포장재 개선과 상표 등록 등을 지원 완료하였습니다.
37쪽의 인천농업아카데미 운영은 귀농ㆍ귀촌 등 5개 분야 7322명의 교육을 추진하였으며 12월까지 12개 과정 2034명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41쪽의 청년 농업인 및 농업인학습단체 육성 사업은 청년 농업인과 농업인학습단체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청년 농업인 등 890명에 대한 교육과 10개 단체에 대한 활동을 지원하였으며 12월까지 연간계획에 따라 관련 교육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43쪽의 지도공무원 전문화 및 현장활동 지원 사업은 지도공무원 맞춤형 교육 지원을 통한 전문가 양성과 영농현장 활동지원을 위하여 지도공무원 역량개발 교육 등 4개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12월까지 전문능력 향상을 위한 벤치마킹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45쪽의 도시농업 기술시범 사업은 도시농업 확산을 위한 사업으로 그린스쿨ㆍ오피스 조성 기술시범 3개소, 상자텃밭 보급 2000세트, 초ㆍ중학교 텃밭 활동 시범 6개소 등을 추진 완료하였습니다.
47쪽의 도시농업 활동기반 조성사업은 도시농업 전문가들의 활동기반을 마련하고자 치유농업 육성 시범 1개소 등 2개 사업 3개소를 추진 완료하였습니다.
49쪽의 도시농업 체험시설 운영 사업은 농업기술센터 내 부속시설을 활용하여 시민들이 도시농업을 직접 체험하는 사업으로 10월까지 2073명에 대한 체험ㆍ교육을 실시하였으며 9월, 10월 주말에는 하루 평균 1000명이 넘는 시민들이 관련 시설을 이용하는 등 농업기술센터가 지역 명소로 자리 잡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51쪽의 농산물가공 활성화 지원 사업은 농산물가공 기술지원과 농업인의 소규모 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농산물 종합가공 기술지원 1개소 등 3개 사업을 추진 완료하였습니다.
53쪽의 농업의 6차 산업화 지원 사업은 농촌자원을 활용한 체험학습 농장을 육성하기 위하여 식농학습농장 1개소 등 2개 사업을 추진 완료하였습니다.
55쪽의 농작업 환경개선 실천 사업은 농작업 재해 예방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안전 및 보호장비를 지원 완료하였습니다.
57쪽의 농촌지도기반 조성사업은 신청사 기능보강을 위하여 국ㆍ시비 14억 8900만원을 투입 전통문화체험교육관과 농업홍보관 등을 조성하였으며 업무용 전기자동차 1대를 구입 완료하였습니다.
59쪽의 농작업 기계화 지원 사업은 농작업 기계화 촉진을 위하여 농기계 임대사업소 2개소 운영과 농기계 수리 지원 1505건,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사업 1개소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61쪽의 친환경실천 과학영농 기술지원 사업은 농업기술센터 내 과학영농시설 운영으로 고품질 농ㆍ축산물을 생산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토양 정밀검정 812점 분석과 유용 미생물 배양 32t 그리고 국가병해충방제단 등을 운영하였으며 12월까지 연간계획에 따라 관련 시설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농업기술센터 2021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렸습니다.
다음은 2022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65쪽의 품질 고급화 및 안정생산 기술보급 사업은 국ㆍ시비와 자부담 등 1억 7000만원을 투입하여 지역 활력화작목 기반 조성사업 등 4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66쪽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 및 환경개선 기술보급 사업은 국ㆍ시비 1억 7500만원을 투입하여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 및 환경개선 시범 등 3개 사업 5개소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67쪽 미래성장 농업기술 보급사업은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밀농업 실천을 위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국ㆍ시비와 자부담 등 3억 1000만원을 투입하여 스마트 트랩 이용 온실 실시간 병해충 자동예찰 기술 시범 등 5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68쪽 고품질 쌀 생산 및 노동력 절감 신기술 보급 사업은 시비와 자부담 5250만원을 투입하여 고품질 쌀 생산 건조저장 시범 등 2개 사업 3개소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69쪽의 농가 경영개선 사업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70쪽의 인천농업아카데미 운영은 농업ㆍ농촌 평생교육기관으로 운영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 농업기술 교육 등 5개 분야 18개 과정 9616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72쪽의 청년 농업인 및 농업인학습단체 육성 사업은 청년 농업인과 농업인학습단체의 안정적 영농 정착을 지원하고 지역농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국ㆍ시비 5740만원을 투입 청년 농업인 등 152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73쪽의 농업ㆍ농촌 가치 확산을 위한 시민교육 활성화 사업은 전통문화체험교육관 등의 부속시설을 활용하여 농업과 농촌의 가치를 공유하고 코로나19로 지친 시민에게 치유공간을 제공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 시민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3개 사업 116회의 체험교육과 전시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75쪽의 지도공무원 전문화 및 현장활동 지원 사업은 지도공무원 맞춤형 교육지원을 통한 전문가 양성과 영농현장 활동 지원을 위하여 지도공무원 역량 개발 교육 등 4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76쪽의 시민공감ㆍ치유형 도시농업 기술시범 사업은 국ㆍ시비 1억 7500만원을 투입 상자텃밭 보급 등 3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77쪽의 농업과 공존하는 힐링 도시공간 조성 사업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78쪽의 도시농업 활성화 사업은 도시농업 전문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반 마련과 학교텃밭을 활용한 도시농업 체험을 위하여 국ㆍ시비 8700만원을 투입 원예활동 전문가 활용 도시농업 시범 등 3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79쪽의 농산물 가공 마케팅 지원 사업은 농산물의 부가가치 향상과 농업인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국ㆍ시비 1억 2400만원을 투입 농산물종합가공 기술 지원 등 3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80쪽의 농업의 6차 산업화 지원사업은 국ㆍ시비와 자부담 9120만원을 투입 오감만족 재미있는 쌀 체험여행 교실 운영 등 3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81쪽의 농작업 기계화 및 재해예방 지원 사업은 농작업 기계화 촉진 및 재해예방을 위하여 국ㆍ시비 3억 2550만원을 투입 농기계 임대사업 운영 등 3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82쪽의 친환경실천 과학영농 기술지원 사업은 농업기술센터 내 과학영농시설 운영으로 고품질 농ㆍ축산물을 생산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토양 정밀검정 1200점 분석과 유용 미생물 배양 60t, 벼 병해충 관찰포 3개소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농업기술센터 2021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및 2022년도 주요업무 계획을 보고드렸습니다.
아무쪼록 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는 모든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리며 농업기술센터 주요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ㆍ농업기술센터 주요업무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