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경제본부 2022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 위원님들께 배부해 드린 2022년도 세입ㆍ세출 예산안을 위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예산안 총괄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111쪽부터 2022년도 일반회계 세입은 총 1259억 4609만 6000원으로 2021년 본예산 2513억 5804만 6000원 대비 49.9%인 1254억 1195만원이 감액된 규모입니다.
세입이 증액된 주요 사유는 청년 월세 비용 지원사업 국고보조금 53억 1000만원, 배수개선사업 국고보조금 67억원, 국가지방관리 방조제 개보수 국고보조금 111억 4000만원 등의 신규 증액이 있으나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을 위한 국고보조금의 경우 2021년 본예산에서는 940억원 편성되었던 것이 2022년에는 292억원으로 648억원 감액 편성되어 전체적으로 규모가 감액되었습니다.
775쪽부터 2022년도 일반회계 세출은 총 6094억 3686만 5000원으로 2021년 본예산 6508억 8908만원 대비 6.4%인 414억 5221만 5000원이 감액되었습니다.
주요 증액 사업 내용은 소상공인정책과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지원 특례보증 이차보전 134억 6300만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2192억원, 청년정책과 인천 지역전략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36억 6187만 5000원, 청년 월세비용 지원사업 79억 6500만원, 산업진흥과 산단대개조 사업 지원 30억 2800만원, 특별자유화구역 내 상용화 인프라 구축 20억원, 미래산업과 플라스틱 대체물질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센터 구축 13억원, 로봇랜드 조성사업 22억원, 투자창업과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사업 96억 2800만원, 청년창업 성장플러스 지원사업 16억 6000만원, 농축산유통과 농어업인 공익수당 82억원, 배수개선사업 67억원, 학교급식 현물지원사업 148억 5850만원 등이며 보고드린 사업들은 신규로 편성되거나 증액된 사업들입니다.
주요 감액 사업 내용은 일자리경제과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27억원, 청년정책과 창업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13억 6875만 2000원, 산업진흥과 스마트산업단지 추진사업 31억원, 농축산유통과 유기질비료 지원 28억 5484만 4000원, 무상급식지원 129억 1292만 6000원 등입니다.
그러면 주요 세입ㆍ세출 예산편성 내역을 부서별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11쪽 세입예산안이 되겠습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입은 전년도 121억 4024만원 대비 20% 감액된 97억 263만 5000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사업의 국고보조금 축소가 주된 사항이며 제물포 스마트타운 임대료 등 87억 9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상공인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1690억원 대비 82.8% 감액된 292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국고지원 축소가 주된 사항입니다.
청년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44억 5685만원 대비 159.7%인 71억 2142만 4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인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지원사업과 국토교통부 한시 특별지원 사업인 청년월세 비용지원 사업 등 115억 7827만 4000원을 국고보조금으로 편성하였습니다.
112쪽 사회적경제과 세입은 전년도 96억 9250만원 대비 29.8% 감액된 67억 965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1년도 한시적 지원사업인 지역방역일자리사업이 종료되어 감액 편성되었습니다.
산업진흥과 세입은 전년도 16억 8542만원 대비 92.8% 증액된 32억 5124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남동스마트산단 조성 지원사업(통합관제센터 구축), 주안ㆍ부평 국가산단 경쟁력 강화사업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미래산업과 세입은 전년도 22억 9072만 9000원 대비 16.9% 감액된 19억 24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어린이과학관 입장료 수입과 대관 등 사용료 수입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113쪽 투자창업과 세입은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인 청년창업 성장플러스 지원사업의 국고보조금 8억 30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농축산유통과 세입은 전년도 442억 8257만 7000원 대비 23% 증액된 545억 7171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정부양곡관리비 등 국고보조금과 기본형공익직불금 등 기금 사업이 주요 증가 요인입니다.
배수개선사업 67억원, 방조제 개보수 111억 4000만원 등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125쪽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입은 전년도 51억 9866만 1000원 대비 7% 증액된 55억 612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 사유는 남촌농산물도매시장의 시설사용료, 시장 사용료 등 세외수입이 3억 6260만 9000원 증액 편성되었습니다.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입은 전년도 26억 1106만 9000원 대비 2.3% 감액된 25억 5198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감액 사유는 시장 사용료 등 세외수입이 5908만 2000원 감액 편성되었습니다.
다음은 부서별 세출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 규모가 매우 방대한 관계로 부서별 핵심 사업 위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예산안 775쪽이 되겠습니다.
일자리경제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233억 4377만 7000원 대비 4.4%인 10억 2771만 7000원이 감액된 223억 160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전환ㆍ이양사업 10억 4743만 7000원을 신규 편성하였으며 신중년 경력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 2억 4000만원, 시, 군ㆍ구 상생협력 특화일자리사업 2억 5000만원, 잡스인천 운영 2억 4800만원 등을 증액 편성하였고 직업소개 환경개선 2500만원, 숙련기술인 기술전수 및 중소기업 인식개선사업 5000만원,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 등 홍보 2000만원 등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782쪽 소상공인정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3663억 7167만 9000원 대비 27%인 985억 834만 7000원이 감액된 2678억 6333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취약계층 희망드림 특례보증 이차보전 7억 5900만원,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특례보증 이차보전 134억 6300만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242억원 등을 증액 편성하였으며 예수금 원금 및 이자상환과 관련하여 예수금 원리금 상환 1344억 2098만원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788쪽 청년정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43억 7500만 4000원 대비 93.06%인 133억 7871만 2000원이 증액된 277억 5371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취ㆍ창업지원 분야 청년고용 우수기업 근로환경 개선 지원사업 11억원, 창업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24억 406만 8000원, 인천지역 전략산업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36억 6187만 5000원, 주거ㆍ생활 지원 분야 청년월세 비용지원 한시사업 79억 6500만원, 재직청년을 위한 드림포 청년통장 35억 4010만원 등을 편성하고 인천형 청년정책 발굴 프로젝트 일환으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1억원, 인천 청년 로컬라이저 2억원, 청년 맞춤형 재정 설계 지원사업 50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792쪽 사회적경제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61억 1102만원 대비 11.3%인 18억 1123만 3000원이 감액된 142억 9978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공유경제몰 운영 5500만원,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운영 6000만원, 사회적경제기업 금융지원 9280만원, 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비 지원 8억 6800만원, 인천상생유통지원센터 운영 3000만원 등을 신규 증액 편성하였으나 2021년 코로나19로 취업, 취약계층 지원을 위하여 한시 운영된 국비 사업인 지역방역일자리사업 예산액 27억 4950만원이 2022년에는 국비가 편성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감액 편성되었습니다.
798쪽 산업진흥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323억 2060만 7000원 대비 31.1%인 100억 7013만 2000원이 증액된 423억 9073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남동스마트산단 조성 지원(통합관제센터 구축) 19억 60만원, 산업단지 중소기업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15억 7700만원, 특별자유화구역 내 상용화 인프라 구축 20억원,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용역 1억 4000만원 등을 신규 편성하였으며 스마트공장 보급 지원 5억원,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 사업 4억원,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 사업 1억원 등을 증액 편성하였고 남동스마트산단 조성 지원 31억원, 주안ㆍ부평 국가산단 재생사업 4억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808쪽 미래산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375억 3559만 2000원 대비 3.4%인 12억 6267만 6000원이 증액된 387억 9826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플라스틱 대체물질 소재부품 장비산업지원센터 구축 13억원, 인천 로봇랜드 조성 지원사업 22억원 등을 신규 편성하였고 미래자동차 부품산업 육성지원 15억원 등을 증액 편성하였으며 AI 플레이그라운드 인천 조성사업비 15억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813쪽 투자창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68억 800만 7000원 대비 162.9%인 110억 8804만 3000원이 증액된 178억 960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청년창업 성장플러스 지원사업 16억 6000만원 등을 신규 편성하였으며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 96억 2800만원,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 15억원 등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817쪽 농축산유통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427억 5008만 1000원 대비 16.9%인 240억 6213만 2000원이 증액된 1668억 1221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벼건조저장시설 7억 5000만원, 농어업인 공익수당 82억원, 노후 경유 농업기계 조기폐차 지원 3억 2060만원,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타당성 조사 1억 6000만원, 학교급식 현물지원 사업 148억 5900만원 총 5건에 대해 240억 61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으며 참여예산 사업으로 인천형 공동체 도시텃밭 조성사업 등 도시농업 사업분야 3억원, 구도심 길고양이 중성화 지원사업 등 동물보호분야 1억 4300만원과 기본형공익직불금 270억원, 배수개선사업 67억원, 방조제 개보수사업 136억 1000만원, 대구획 경지정리사업 45억원, 학교우유 급식지원 17억 503만 1000원, 가축매몰지 발굴복원 7억원 등을 증액 편성하였고 유기질비료 지원 20억 6842만원, 농업용 소류지 개발 3억원 등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996쪽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출예산은 전년도 64억 602만 2000원 대비 11.1%인 7억 1129만 4000원이 증액된 71억 1731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소방시설 보완공사 1억원을 신규 편성하였으며 시설보수용 소모성 자재구입 6000만원, 청사시설 및 청사관리는 물가상승을 반영해 1억 8455만 8000원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1000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출예산은 전년도 48억 6729만 1000원 대비 14%인 6억 7790만 7000원이 감액된 41억 8938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 내용은 승강기 구입설치 1억 4700만원,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설치공사 6000만원, CCTV카메라 교체공사 20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으며 시설장비유지비 2억 8998만 7000원은 기계설비 성능점검 및 쓰레기 처리비 등을 반영 전년도 대비 35% 증액하였으나 옥상방수공사 등 시설물 보강 사업비가 전년도 대비 8억 1200만원 감액되어 전체적으로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특별회계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본부의 특별회계는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 및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로 소상공인정책과와 산업진흥과가 해당됩니다.
먼저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입니다.
1368쪽 산업진흥과는 검단산업단지 에코산단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비 20억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입니다.
1601쪽부터 1603쪽까지 세입과 1610쪽부터 1612쪽까지 세출은 총 215억 6814만 9000원으로 전년도 예산 157억 138만 9000원 대비 37.4%인 58억 6676만원이 증액된 규모입니다.
1610쪽 소상공인정책과의 경우 총 134억 6814만 9000원으로 전년도 예산 147억 138만 9000원 대비 12억 3324만원이 감액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은 문화관광형 시장육성사업 등 경영현대화사업 2억 80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으며 시설현대화, 주차환경 개선사업 등 인프라 개선사업 예산은 전년도 140억 2438만 9000원 대비 10.8% 감액된 125억 1114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612쪽 산업진흥과의 경우 총 81억원으로 기정예산 10억원 대비 71억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은 산업시설 환경개선사업을 전년도 예산 10억원 대비 5억원 증액 편성하였고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 66억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계속비사업입니다.
본부의 계속비사업은 1건으로 1644쪽 남촌농산물도매시장 사후환경영향조사 용역비 1억 7640만원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2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빠른 민생 회복을 위한 소상공인, 피해 중소기업 경영 안정화 도모와 지역산업 구조를 고부가가치 경제모델로 전환하기 위한 사업들에 주안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원안대로 심의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