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환경연구원장 이성모입니다.
시민의 대변자로서 항상 시민의 복지증진과 시정발전을 위해 애쓰시는 황흥구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러면 위원님들께 기 배부된 2018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의 2018년도 예산안을 주요사업 중심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세입예산입니다.
예산서 93쪽이 되겠습니다.
세입은 2017년도 당초예산액 18억 9,462만 9,000원보다 408만 6,000원이 감소한 18억 9,054만 3,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시험검사 증지 수수료 수입은 7,000만원을 증액한 5억원으로 편성하였고 기금을 포함한 전체 국고보조금은 5,978만 6,000원이 감소한 13억 9,054만 3,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의 주된 감소요인은 지자체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비와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장비 지원, 노로 바이러스 검사 장비 지원 등의 국비가 감소되었습니다.
같은 쪽 하단에 지역발전특별회계 보조금은 45만원이 증가되었고 기금은 축산물 위생검사기관 운영비 지원 등 12개 사업에 1억 2,506만 6,000원이 증가되었습니다.
다음은 예산안 546쪽 세출예산에 대해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세출예산 전체 규모는 2017년 당초예산 195억 5,993만 4,000원보다 19억 5,018만 7,000원이 증액된 215억 1,012만 1,000원으로 9.97%가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면 분야별 주요사업 위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산안 546쪽 보건 분야 예산입니다.
보건 분야 세출예산은 2017년도 본예산에 비해서 2억 6,650만 4,000원이 증가한 42억 6,782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47쪽입니다.
지역거점진단센터 운영비 지원은 생물안전연구시설 재인증을 위한 비용 및 법정감염병 3군 감염병 확대 지정과 감염병 확인 진단항목 증가로 인한 시험연구비 등이 증액 편성되어 8,421만 3,000원이 증액되었습니다.
다음으로 548쪽 에이즈 및 성병예방 지자체 보조사업은 에이즈 양성 검체 증가로 인한 시험연구비 증액 등 3,0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550쪽 식중독 진단 및 예방사업 은 요양시설 어르신에 대한 감염병 조사 신규사업을 위한 시험연구비 7,6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고 식중독 진단 및 예방사업에 필요한 미생물동정 장비 등 3종을 구입하기 위해서 3억 1,71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551쪽 하단에 보건 분야 국제학술교류 부분은 2018년 중국 천진시에서 국제학술교류회 개최 예정으로 행사 준비를 위해서 18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552쪽 감염병 진단 및 감시 사업입니다.
일반운영비는 6,550만원 증가한 1억 2,279만 3,000원이며 민간위탁금으로 편성했던 의료폐기물 처리비를 일반운영비로 편성목을 변경하였고 모기자동계측기를 10대에서 120대로 확대 설치함에 따라서 유지보수비를 2,500만원에서 9,200만원으로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시험연구비는 식품미생물 업무를 식품분석과로 이관함에 따라서 6,001만 2,000원을 감액한 7,300만원이 되겠으며 자산취득비는 전년 대비 4,370만원 감액된 1억 6,500만원으로 편성하여 일본뇌염, 큐열 등 감염병 진단 및 감시 업무를 위해 검사 장비들을 구입하고자 합니다.
같은 쪽 하단에 IGRA 검사 지원은 결핵환자 접촉자에 대한 잠복결핵검사에 필요한 예산으로 1억 285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553쪽 하단에 유통식품 검사 강화로 안전한 먹거리 제공 사업의 주요 증가요인은 554쪽의 시설비 4,176만 5,000원과 자산취득비 1억 967만원이 증액된 사항입니다.
시설비는 흄후드 및 클린벤치의 노후화로 화재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어 교체작업을 실시코자 하는 사항이며 자산취득비는 식품 중 조단백질 분석 장비와 농축 장비 구입 건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54쪽부터 556쪽까지의 식약미생물 검사 강화, 특별행정기관 이관 사무 수행경비 지원까지 전년도 예산액이 없는 사항은 2017년 2월 조직개편에 따라서 부서 간 이관된 사업이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556쪽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장비 지원의 감액 사항은 식약처의 2018년 전국 16개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첨단 분석 장비 보강 계획의 총사업비가 감액되었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557쪽부터 558쪽에 2017년도 농산물 안전성 검사에서 삼산농산물 안전성 검사와 구월농산물 안전성 검사로 세부사업명을 분리 편성하여 1억 8,925만 2,000원이 감액되었습니다.
삼산농산물 안전성 검사는 자산취득비 1억 7,200만원이 감액된 것을 포함하여 전년 대비 4억 826만 3,000원이 감액되었고 구월농산물 안전성 검사는 2억 1,901만 1,000원이 신설되었습니다.
다음으로 558쪽 의약품 유해성 조사 및 품질 검사에서 총 2억 1,094만 8,000원이 감액된 것은 공공운영비 456만 8,000원과 자산취득비 2억 728만원이 감소된 사항입니다.
다음으로 559쪽 연구원 운영 및 청사 시설관리 예산은 전년 대비 1억 2,872만 7,000원 증가한 9억 9,517만 6,000원으로 주요 증가요인으로는 예산안 560쪽의 장병 복무여건 개선에 따른 사회복무요원 급여 증가로 사회복무요원 보상금이 2,734만 6,000원 증액되었고 공기관등에대한경상적위탁사업비 9,593만 9,000원, 청사 각종 보수공사 등을 위한 시설비 1,025만원 등이 증액되었습니다.
같은 쪽 중간에 공무원 연금제도 운영 예산이 3,315만원 증가된 사항은 공무원 및 가족의 사망조위금 지급을 연금 업무를 별도로 취급하는 기관별로 편성하라는 지침에 따라 신규 편성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 도시환경관리 분야는 총 45억 4,692만 1,000원을 편성해 2017년 본예산 대비 3억 7,752만 6,000원이 증가되었습니다.
금번에 환경 분야 예산의 주요 증가사유는 최근 미세먼지, 황사 등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증가에 따른 대기오염 관련 노후 장비 교체와 실내공기질 검사 관련 신규장비를 구입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먼저 561쪽 중간에 대기관리시스템 운영의 연구개발비, 대기환경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 4억 582만 3,000원은 2017년도에 노후서버를 교체한 후 법적 필수사항인 웹 접근성, 사이버 보안 등을 보완하기 위한 적정 예산 부족에 따라서 2017년 홈페이지 구축 예산 3,733만 5,000원을 1차 추경 시 반납하고 추가적인 정보화 사업 타당성 검토를 거쳐서 대기환경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사항입니다.
다음 같은 쪽 하단에 시설비 중 대기오염 환경전광판 교체 4억은 내구연한 경과 등 노후된 전광판 2개소를 교체하여 시민들에게 대기환경정보를 신속, 명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다음으로 562쪽 지자체 대기오염측정망 설치 운영 자산취득비 6억원은 인천시에서 운영 중인 18개 대기오염측정소 중 내구연한 10년이 도래한 노후 측정소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국비 3억원을 지원받아 장비를 교체하고자 하는 사항입니다.
같은 쪽 중간에 해양하천 수질환경관리의 공공운영비 1억 4,421만 6,000원은 시험연구 장비 유지 및 민간대행사업비에서 편성목이 변경된 해양과 하천수질의 실시간 측정을 위한 측정소 운영에 필요한 유지보수비, 전기요금 등의 제반비용이며 자산취득비 5,550만원은 하천 및 호소의 조류 분석을 위한 현미경과 시료 채수 및 수질사고 시 신속한 출장을 위해 소형 화물트럭 구입 예산입니다.
다음으로 563쪽 기후대기시스템 운영의 자산취득비 3억 793만 6,000원은 내구연한이 초과된 노후 산성강하물 측정기 4대를 신규 교체하고 수도권매립지 주변 대기질 특별조사를 위한 중금속 전처리 장비를 구입하고자 하는 사항입니다.
다음으로 564쪽 환경 안전성 조사 주요예산은 먹는 물과 토양 및 폐기물 안전성 검사 등을 위한 인건비와 시험연구 및 재료비, 장비 구입비로 전년 대비 1억 9,296만 5,000원이 감액된 5억 3,591만 1,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565쪽 하단에 대기오염도 검사 사업 예산은 전년 대비 4,612만 8,000원이 증액된 1억 8,249만 2,000원으로 주요 증가요인으로는 예산안 566쪽 중간에 자산취득비 중 총 부유먼지의 시료 포집을 위한 고용량 공기포집기 구입 예산이 되겠습니다.
이어서 방류수 검사 사업 예산은 전년 대비 1억 3,157만 6,000원이 감액된 3억 118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주요 증감사유로는 방류수 검사 인건비 2,468만원, 시설장비유지비 및 실험 장비 검교정 수수료 1,350만원 증액과 예산안 567쪽에 시료 추출농축 전처리 장비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를 전년 대비 1억 7,000만원 감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환경 분야 시험검사의 국제적 적합성 기반 구축사업 예산으로 전년 대비 8,764만원 증가한 2억 1,26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가요인으로는 시설장비유지비 2,296만원을 증액하였고 대기 분야 실험 장비 구축 및 폐수 검사를 위한 자산취득비 5,000만원을 증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68쪽에서 569쪽 생활환경오염도 조사의 자산취득비 1억 7,283만원 증액은 다중이용시설 및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검사 등 2018년부터 새로 추가되는 항목에 대한 검사 업무 수행을 위한 시료 채취 장비 및 검사 장비를 구입하고 노후된 장비를 교체하고자 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71쪽 가축방역사업 분야입니다.
가축방역사업 분야의 세출예산은 전년도 본예산 대비 4억 4,811만 8,000원이 증가한 15억 8,445만 7,000원으로 먼저 570쪽 가축전염병 방역관리사업의 시험연구비 2,700만원 증액은 부서 간 업무조정에 따라 편입된 재난형 가축전염병 검사 업무 수행을 위해 증액한 사항이며 자산취득비 960만원 증액은 가축질병 및 방역정보 홍보를 위해 전광판 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71쪽 구제역 및 AI 예방약품 구입 지원의 재료비 840만 6,000원 감액은 국고보조금 감소에 따른 감액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73쪽 축산물 검사 및 위생관리의 일반운영비 1,870만원 감액 부분은 올해 우리 시에서 한국가축위생학회 학술발표대회 개최를 완료하여 내년에는 이를 감액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아울러 시험연구비 3,850만원 감액 부분은 축산물 검사 및 위생관리 업무의 부서 간 업무조정으로 사업량 감소에 따른 감액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74쪽 축산물 위생검사기관 검사 장비 구입 지원의 자산취득비 3억 3,304만원 증액 부분은 식용란 살충제 검사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 노후된 잔류농약 검사 장비를 대체 취득하고자 하는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75쪽 유통축산물 검사 추진의, 다음 장 시험연구비 5,269만원 감액 부분은 재난형 가축전염병 검사 업무의 소관 부서 변경에 따라서 감액한 부분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76쪽 야생동물 구조관리체계 구축사업은 2018년 3월 개관 예정인 야생동물센터를 운영하기 위해 사업비 2억 831만 7,000원을 신규 편성한 것으로 환경부의 국고보조금 6,000만원을 지원받는 사업입니다.
다음으로 578쪽 행정운영경비입니다.
인력운영비는 2017년 본예산 대비 8억 5,777만 5,000원이 증가한 104억 4,901만 6,000원으로 일반직, 연구직 150명의 인건비와 청원경찰 2명, 공무직 근로자 9명, 공중방역수의사 4명의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581쪽 하단에 기본경비는 일ㆍ숙직비, 기본업무 수행 수용비, 공공요금, 국내여비, 업무추진비, 직무수행경비 등으로 전년 대비 26만 4,000원이 증액된 6억 6,19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18년도 보건환경연구원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렸습니다.
시민 보건증진과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등 시민행복을 위해 꼭 필요한 예산만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만 부족한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위원님들께서 많이 지원해 주시고 또 원안대로 승인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이상으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