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환경국 소관 일반 및 기타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예산서를 중심으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총괄 현황을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총 2294억 4700만원으로 ’21년 대비 461억 87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고 세출예산은 ’21년 대비 616억 8900만원이 증액된 총 4062억 1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세입예산에 대한 세부 증감 내역은 부서별로 예산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15쪽 환경기후정책과는 ’21년 예산 대비 2억 4600만원 감액된 104억 5600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116쪽 생활환경과는 3억 7200만원 증액된 18억 34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116쪽 대기보존과는 116억 6600만원 감액된 281억 6900만원으로 편성하였으며 117쪽 에너지정책과는 561억 6400만원 증액된 1402억 37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118쪽 자원순환과는 47억 2700만원 증액된 415억 9700만원으로 편성하였고 119쪽 수질환경과는 23억 1100만원 감액된 71억 5300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847쪽부터 901쪽 세출예산을 부서별 주요 내역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847쪽 환경기후정책과는 ’21년 예산 대비 13억 1600만원 증액된 161억 95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역은 녹색기후 관련 국제기구 협력 및 지원 54억 8100만원,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 8억 15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인천 해양쓰레기 국제포럼 개최 3억, 환경교육문화사업 등 참여예산 2억 5000만원, GCF complex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에 6억 1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57쪽 생활환경과 소관 예산입니다.
예산액은 53억 6800만원으로 ’21년 예산 대비 14억 9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역은 기후변화 대응 협력체계 구축 2억, 탄소포인트제 운영 3억 4600만원, 슬레이트 처리 지원 8억 7700만원, 국가지질공원 관리ㆍ운영 7억 28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소음의 체계적 관리 및 감소를 위한 IoT 기반 스마트 소음관리시스템 구축 용역 10억, 권역형 환경보건센터 운영 지원 4억 5000만원, 사월마을 친환경복원 기본계획 수립용역 1억 5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865쪽 대기보전과입니다.
예산액은 490억 400만원으로 ’21년 예산 대비 225억 800만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역은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 지원 29억 7600만원, 소규모 영세사업장 방재시설 지원 224억 9400만원, 운행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142억 66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체감환경개선 지원에 도로 미세먼지 저감사업 등 40억 34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75쪽 에너지정책과는 ’21년 예산 대비 823억 500만원이 증액된 2036억 54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역은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구축 1194억 5000만원,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 671억 3000만원, LPG 집단공급사업 12억 6900만원을 편성하였고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수소충전소 구축사업 76억원을 신규 편성하습니다.
다음 884쪽 자원순환과입니다.
예산액은 708억 9900만원으로 ’21년 예산 대비 18억 97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역은 폐기물 감량 및 직매립 제로화 사업 51억 1600만원, 남부권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 28억 3200만원, 광역폐기물 처리시설 운영 577억 8900만원을 편성하였고 재활용 선별시설 인력 지원을 위한 재활용품 품질개선 지원사업 1억 18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91쪽 수도권매립지종료추진단입니다.
예산액은 9억 4000만원으로 ’21년 예산 대비 9억 11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역은 자체매립지 조성에 따른 도시관리계획 결정 용역 7억 5000만원, 자체매립지 조성 부지 관리 1억 58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893쪽 수질환경과 소관 예산입니다.
예산액은 449억 5600만원으로 ’21년 예산 대비 82억 5900만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역은 동락천, 교산천, 운연천, 심곡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142억 6800만원,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23억 1000만원, 도서지역의 안정적인 식수 공급을 위해 도서지역 식수개발사업 83억 1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901쪽 하수과입니다.
예산액은 총 151억 9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6억 1800만원을 증액 편성하였으며 주요 내역은 가좌분뇨통합처리시설 위탁운영비 145억 4500만원, 분뇨처리비 징수대행 교부금 9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2년도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고 이어서 ’22년도 기타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타 특별회계 세입예산은 총 1130억 3300만원으로 ’21년 대비 1234억 300만원을 감액 편성하였고 세출예산은 ’21년 대비 1054억 8100원이 감액된 총 420억 8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 증감 내역은 회계별 예산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입니다.
세입예산은 1013억 2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241억 6000만원을 감액 편성하였고 세출예산액은 299억 2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31억 9800만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1361쪽 세입예산은 공공예금이자와 기타 사용료 수입을 10억 200만원, 3개 시ㆍ도 폐기물 반입수수료 부담금 650억원, 순세계 잉여금 353억 1900만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372쪽부터 1378쪽까지 세출예산 주요 내역은 부서별 예산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1372쪽 생활환경과는 사월마을 친환경복원 기본계획 수립용역에 45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고 1373쪽 대기보전과는 도로먼지 제거 청소용역에 8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374쪽 자원순환과는 수도권매립지 종료 등 홍보에 23억원, 클린서구 조성을 위한 5개 사업에 32억 47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375쪽 수도권매립지종료추진단은 수도권매립지 주변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에 ’21년 대비 11억 7200만원이 감액된 31억 4200만원을 편성하였고 예비비로 757억 8800만원이 감액된 29억 76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377쪽 수질환경과는 공촌 수변공간 개선사업에 12억 2000만원, 황어장터 공중화장실 설치사업 4억원, 검단일반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 4200만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1378쪽 하수과입니다.
서구 분류식 하수관로 정비사업에 4억 2000만원, 서구 하수도 정비공사에 2억 4500만원, 신현오수중계펌프장 환경개선 사업에 13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좌하수처리구역 1단계 개선공사에 13억 6000만원, 공촌하수처리시설 악취개선 사업에 7억 1000만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387쪽부터 1403쪽 수질개선 특별회계입니다.
예산액은 세입과 세출예산이 동일하게 총 87억 1100만원으로 전년도 예산액 대비 5억 3000만원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세입예산은 한강수계 상수원 수질개선 및 주민 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운영되는 한강수계 관리기금 지원 사업비와 상ㆍ하류 협력지원 사업비 순세계잉여금을 반영한 사항이며 세출예산 주요 내역은 상ㆍ하류 협력지원 사업 중 한강하구 환경기초조사 연구용역비 5억,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29억 6500만원을 편성한 것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407쪽부터 1421쪽까지 공공폐수처리시설 특별회계입니다.
예산액은 세입과 세출예산이 동일하게 전년도 예산액 대비 12억 8700만원을 증액한 총 3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입예산은 검단산업단지 입주업체의 시설재투자 적립금 등이며 세출예산 주요 내역은 검단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관리비 2600만원, I-Food Park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관리비 9억 4900만원, 시설재투자 적립금을 노후시설 긴급보수 및 교체 등에 2억 95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예비비에 9억 8200만원이 감액된 6억 28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614쪽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입니다.
세출예산 주요 내역은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관련 옹진군 LPG 집단공급사업에 4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환경국 소관 ’22년도 일반 및 기타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22년도 본예산 편성 방향은 어려운 시 재정 여건 속에서도 환경주권 확립과 생활환경 개선에 역점을 두고 당면 현안사업 추진을 위한 최선의 예산 편성이 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아무쪼록 본 예산안이 원안대로 가결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