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이동우입니다.
2022년도 경제자유구역청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총 예산 규모 등은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산안 주요사업 현황 중 보고서 현황은 보고서 16쪽부터 19쪽까지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쪽부터 검토의견입니다만 보다 핵심 사항만 발췌하여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도 경제자유구역 사업 일반 및 특별회계 예산안 총 규모는 전년도 예산액 8600억 5503만 9000원 대비 43.7% 증액된 1조 2355억 6191만 2000원입니다.
다음은 3쪽입니다.
특별회계 세입예산 중 세부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사항별설명서 11쪽, 6ㆍ8공구 119안전센터 용지 등 기 매각분과 신규 매각분이 포함된 택지판매수익이 전년 대비 49.9%인 3111억원 감소한 3120억원이 편성된바 감소사유 및 매각 가능한 경제자유구역의 택지 잔여분 그리고 매각수익 증대전략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또한 사항별설명서 12쪽 일반회계 이관분 500억원과 관련하여 2021년 11월 22일 639억원의 제3연륙교 건설부지 현물수납이 진행됨에 따라 2021년도 4회 추경예산에서 세입 삭감한 500억원을 제외한 잔여분 139억원을 반영하여 2022년 세입액을 361억원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4페이지입니다.
사항별설명서 18쪽부터 27쪽, 경제청의 국고보조금 수입을 보면 수익적 수입예산은 전년도 대비 3억원 감소한 35억원, 자본적 수입예산은 전년도 대비 22억원 감소한 220억원입니다.
인천시 모든 회계를 합한 국고보조금 규모가 전년 대비 8.5% 증가한 3조 7986억원임을 감안할 때 1조 2015억원 규모의 경제자유구역사업 특별회계 국고보조금 총액이 257억원이라는 것은 매우 낮은 수치입니다.
국고보조금 확보가 저조한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며 향후 국고보조금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 5쪽입니다.
사항별설명서 29쪽, 경제자유구역 사업 적립금의 2020년 적립분과 2021년 적립분 원금 회수 7207억원이 경제청 세입 증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바 적립금을 운영하게 된 배경 및 2022년 원금 회수 사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특별회계 세출예산 세부사항입니다.
공기관 등에 대한 위탁사업비 현황은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6쪽입니다.
경제자유구역청 2022년 지출예산안에 따르면 인천시설공단, 인천환경공단 및 인천테크노파크 등의 위탁비 명목으로 지출하는 공기관 등에 대한 위탁사업비를 총 25건에 1316억원 편성하였습니다.
위탁사업비는 자치단체가 시행하여야 할 사무를 공기관에 위임 또는 위탁하는 사업으로 전문성을 가진 기관이 업무를 수행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세밀한 예산 심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하는바 예산편성 시 사업시행 준비상황, 전년도 결산상황 및 향후 집행계획 등을 고려하여 예산 누수가 없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다음 7쪽입니다.
사항별설명서 41쪽, IFEZ 법률 자문 및 소송수행 비용은 1억 5000만원 증액한 7억원, IFEZ 소송 관련 판결금은 35억원을 풀경비 성격으로 편성하였는데 2021년 현재까지의 집행내역 및 경제청 수행 소송 전망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사항별설명서 50쪽, 트라이보울 시설 임차료 6억 4000만원과 트라이보울 운영을 위한 위탁사업비로 31억 1000만원을 편성하였는데 2021년까지는 시 문화예술과에서 행하던 업무를 경제청에서 운영하게 된 사유와 2022년 본예산 기준 운영수입이 2500만원인 시설을 38억원의 운영비를 사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또한 현재 도시공사 소유인 트라이보울을 2022년 매입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필요합니다.
다음 9쪽입니다.
사항별설명서 91쪽, 2022년 출연금 위탁사업비 등 글로벌캠퍼스 관련 예산 283억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이처럼 매년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고 있으나 시민들이 인천글로벌캠퍼스의 지역사회 기여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인천지역 우수학생 입학 기회 확대나 인천 출신 재학생 장학금 제도 등 지역사회 공헌을 위한 글로벌캠퍼스 내 각 대학들의 다양한 기여방안 발굴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경제청의 노력과 실적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 10쪽입니다.
사항별설명서 97쪽,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임차료가 전년 대비 3억 6000만원 증가한 7억 4000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향후 조직 확대 등으로 지원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세계은행 한국사무소에 대한 지원 필요성과 지원에 따른 인천시의 이익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사항별설명서 100쪽, 154쪽, 155쪽입니다.
2021년 시 미래산업과에서 주관하던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 사업과 관련하여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 운영비 등 지원예산 10억원과 건립공사비 59억원, 장비 구축비 68억원을 신규편성하였는데 시 미래산업과에서 경제청으로 사무를 이관한 사유는 무엇이며 향후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의 운영계획 및 필요예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사항별설명서 115쪽 송도국제도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운영비와 청라국제도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운영비가 각 26억원, 15억원이 편성되었으며 이는 지속적인 자치구와 경제청의 운영관리 방식의 분쟁에 따른 조정으로 결정된 사항으로 시민들이 피해받지 않도록 향후 원활한 관리ㆍ운영이 필요한 사항입니다.
사항별설명서 120쪽, 영종국제공항철도 영종역사 운영 손실비가 전년 대비 6억 2000만원 증가한 13억 1000만원으로 편성되었는바 적지 않은 예산이 부담금으로 지급되는 만큼 영종역 운영 손실비용 보전 협약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과 운영수입과 손실비용 향후 부담기간 등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12쪽입니다.
사항별설명서 158쪽, 송도트램 사업화 방안 수립 용역비 3억원과 관련하여 사업에 대한 용역심의위원회는 시 철도과에서 수행하고 예산은 경제청 특별회계 예산으로 편성하는 사유와 철도과 소관인 업무를 경제청에서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 13쪽입니다.
사항별설명서 184쪽입니다.
트리엔날레 폐기물 처리 6억 1000만원이 신규편성되었는데 트리엔날레 철거 문제는 2019년부터 철거냐 보존이냐의 의견 대립이 있었으며 예측했던 비용보다 예산이 늘어나는 등 최근까지도 여러 경로에서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사항입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과 내년도 예산 집행계획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계속비 사업입니다.
14쪽이 되겠습니다.
경제자유구역청 2022년도 본예산 계속비 사업은 총 23건이며 총사업비 2조 8229억원으로 기존 대비 732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변경사업은 총사업비 변경 사유로 3건, 신규사업은 스마트시티 기반 서비스 1단계 구축사업 포함 8건입니다.
계속비 사업은 회계연도 독립원칙의 예외로서 의회의 의결을 얻어 여러 연도에 걸쳐 사업을 추진하는 사항인 만큼 최초 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에서 사업의 예측이 가능하도록 신중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 15쪽입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 세부사항입니다.
사항별설명서 211쪽에서 212쪽, 경제자유구역사업 특별회계 인력운영비 부담금 34억원은 경제청 직원 인건비 일반회계 편성에 따른 재원부담금 수입과 지출에 대한 사항으로 전년 대비 11억원이 감소한 부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22년도 경제자유구역청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