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본부장 조인권입니다.
경제산업본부 소관업무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가져주시고 시정발전과 시민복지 향상을 위하여 의정활동에 전념하고 계신 존경하는 정해권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먼저 경제산업본부 간부를 소개하겠습니다.
전유도 경제정책과장입니다.
이용수 투자창업과장입니다.
이남주 산업진흥과장입니다.
김영미 전략산업과장입니다.
홍창호 소상공인정책과장입니다.
박효영 사회적경제과장입니다.
권오훈 노동정책과장입니다.
강승유 농축산유통과장입니다.
최봉묵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장입니다.
이재휴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장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배부해 드린 보고서를 중심으로 경제산업본부 소관 주요업무에 대하여 간략하게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 순서는 일반현황, 2021년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처리결과, 2022년 주요업무 추진실적 및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순입니다.
보고서 3쪽부터 22쪽까지 일반현황이 되겠습니다.
경제산업본부는 8개 과 2개 사업소 43팀이며 10월 20일 현재 현원은 218명입니다.
다음 보고서 5쪽 2022년도 1회 추경까지 본부 예산은 일반회계 7311억 9900만원이며 이 중 6220억 500만원을 집행하였고 특별회계 354억 2600만원, 기금은 2221억 6000만원이 되겠습니다.
보고서 7쪽 위원회 현황으로 현재 45개 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12쪽 부서별 사무분장과 보고서 14쪽 기타현황은 보고서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25쪽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 처리결과입니다.
2021년도 행정사무감사 지적사항은 시정요구 1건, 처리요구 4건, 건의 5건이며 10건 모두 종결처리하였습니다.
지적사항 10건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서 26쪽이 되겠습니다.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 영업시간 준수와 관련된 사항입니다.
우리 조례에 규정된 15시까지 영업시간 준수를 위해 현장 및 CCTV를 활용한 단속으로 위반한 55건에 대하여 행정처분을 실시하였으며 앞으로도 영업시간 준수로 공영도매시장 공공성 확보가 되도록 노력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27쪽입니다.
농업용 드론 배터리 등 농가 지원방안 강구입니다.
2022년 병해충방제 생력화 지원사업으로 드론 15대를 지원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2020년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총 45대를 지원하였다는 말씀도 드리겠습니다.
2023년도에도 신규 수요조사 결과 총 10대에 대한 예산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다음 보고서 28쪽 양봉농가 지원방안 강구입니다.
양봉기자재 지원사업으로 2022년도에는 관내 70농가에 2억 4048만원을 지원하였으며 ’18년부터 현재까지 총 293개 농가를 지원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양봉농가의 의견수렴을 통해 지원품목 등을 검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29쪽 노동정책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노동 관련 조례 정비 건의입니다.
본 조례 정비를 위해서 현재 필수업무종사자 지원 관련 실태조사 용역이 진행 중입니다.
재난상황 시에 보호에서 누락되는 종사자가 없도록 용역이 끝나고 나면 조례 개정을 통해 정책 수립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30쪽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마련을 하라는 말씀이 있으셨습니다.
고용안정 선제대응패키지, 지역혁신 프로젝트 등 사업을 추진해서 총 1549명의 양질의 일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참여인원의 고용보험 가입여부 확인 등 앞으로도 일자리 사업관리에 철저를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31쪽 인천e음 운영사 일부 지분 취득방안 강구입니다.
시는 지분참여를 통한 기관 설립이 단기적으로는 어렵다고 판단해서 우선적으로 신규 운영대행사를 선정하고 장기적으로 상품권 운영에 참여하는 방안들을 강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32쪽 농축산 관련 부서 신설 검토입니다.
우리 시 농축산유통과는 우리 시 과 중에 가장 많은 8개 팀을 보유하고 있고 앞으로도 농산물 유통이나 동물 보호 등 다양한 업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부서 신설에 관련된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다고 판단되지만 인원과 조직에 관련된 부분은 시 전체적인 여건과 상황을 고려해야 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지속적으로 조직부서와 협의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33쪽 전통주 기업유치를 위한 노력입니다.
2022년 찾아가는 양조장 공모사업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였습니다.
금풍양조가 선정되었고 배다리 전통주 학교를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 중에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2023년도부터는 공익활동 지원사업을 신청받아서 추진할 예정입니다.
보고서 34쪽 선의의 파산자를 위해 실질적인 지원방안 강구사항입니다.
채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금융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총 3500건의 상담을 통하여 500여 명을 지원한 실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경제상황이 많이 안 좋아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래서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35쪽 공공일자리 지속가능성 담보방안입니다.
공공일자리 관련해서는 공공근로사업비 약 30억원,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23억 3400만원 그리고 지역방역일자리사업 17억 2000만원을 투입하여 취약계층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공공일자리 관련해서는 최대한 현행 유지를 확보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37쪽부터 111쪽까지 2022년도 주요업무에 관한 추진실적이고 보고서 113쪽부터 185쪽까지는 2023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입니다.
그런데 보고서 보시는 바와 같이 2022년도 추진실적과 ’23년도 추진계획이 항목이 유사하고 지속적인 사업이 많아서 추진실적과 추진계획을 묶어서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그게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경제정책과 소관사항부터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보고서 41쪽 추진실적과 보고서 118쪽 추진계획을 비교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지역일자리 목표공시제 운영입니다.
지난 3월 30일 2022년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을 공시하였고 9월 기준으로 93.4%인 12만 8327명의 일자리를 창출하였습니다.
아울러 민선8기 2023년부터 2026년까지의 종합계획을 금년 말까지 수립ㆍ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도 3월까지 2023년도 일자리 종합대책과 일자리목표를 공시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일자리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42쪽과 119쪽입니다.
지역ㆍ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입니다.
지역의 여건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1549여 명의 고용 창출을 도모하였습니다.
2023년 향후계획으로는 뿌리산업 일자리 지원을 위한 고용안정 선제대응패키지 지원사업과 지역혁신 프로젝트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43쪽과 120쪽입니다.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력 양성사업입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기술력 향상과 구직자의 취업능력 개발을 위한 사업으로 추진실적으로는 9월 기준 현재 96개 과정 2373명이 수료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4차 산업시대 미래 적응형 교육과정을 발굴하고 구직자ㆍ재직자 2500여 명을 대상으로 직업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44쪽과 121쪽입니다.
소비자 권익증진 및 물가안정관리입니다.
소비자단체 지원ㆍ육성을 위해 11개 사업을 선정하였고 7대 공공요금 동결유지 및 물가안정 현장점검을 추진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소비자 피해예방 및 권익증진사업을 추진하고 지방 물가안정관리를 위해서 물가안정현장을 모니터링하는 부분을 강화하고 착한가격업소 지원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투자창업과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47쪽과 125쪽입니다.
창업생태계 고도화를 통한 성장 강화입니다.
창업정책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간담회 그리고 세미나 개최 등을 실시하였습니다.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콘퍼런스, 워크숍, 아카데미 등을 실시하고 앞으로 창업포럼을 운영하고 거버넌스 활성화를 통한 창업정책을 발굴하고 창업컨트롤타워 역할 수행을 위한 성과관리체계를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지역창업전담기관인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원기능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48쪽과 126쪽입니다.
청년창업 육성 지원입니다.
청년소셜벤처기업 육성사업 6개 팀 선정, 청년창업 성장플러스 지원사업 20개사 지원 등 청년창업기업의 역량 강화 및 성장 지원을 추진하였습니다.
향후에는 청년소셜벤처기업 육성,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청년창업 성장플러스 지원 등 청년창업 활성화 및 청년창업모델을 발굴ㆍ육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청년의 해외진출기지 지원 그리고 신개념 세대융합 청년창업 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다음 보고서 49쪽과 127쪽입니다.
맞춤형 기술창업 지원을 통한 창업 활성화입니다.
인천창업펀드 2020억원을 조성하였으며 성장단계별 기술창업 122개사를 지원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창업기업의 성장단계에 맞춘 사업화 지원으로 안정적인 창업기반을 마련해 나가겠으며 또한 조성된 인천창업펀드 운영을 통해 창업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50쪽과 128쪽입니다.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유치활동 전개입니다.
실적으로는 신성장 전략산업 중심의 전략적 투자유치를 위해 유관기관, 타깃기업 등을 대상으로 계양테크노밸리 등 신규 산업부지 대상으로 기업유치활동 15회, 투자유치 홍보활동 IR 10회를 실시하고 앵커기업 대상 홍보 등 다각적인 투자유치활동을 전개 중에 있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투자유치 전략 수립 및 체계 구축, 투자유치 홍보 및 IR 활동을 강화하겠으며 미래지향적인 첨단산업 등을 유치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산업진흥과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53쪽과 131쪽입니다.
효과적인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경영안정자금 2783개사 1조 2449억원과 구조고도화자금 41개사 385억원을 지원결정하였고 인천혁신모펀드 2620억원을 조성하여 관내 기업 10개사에 90억원을 투자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총 1조원 규모의 경영안정자금 지원 그리고 350억원 규모의 구조고도화자금 지원, 1500억원의 인천혁신모펀드를 조성하여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지원하고 유니콘기업 육성에 집중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55쪽과 133쪽입니다.
노후산단 대개조를 통한 혁신성장기반 마련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산업단지 혁신성장과 일자리 문제 해결기반 마련을 위해 스마트그린산단 조성 그리고 산단 대개조, 산업문화공간 가치 재창조, 산업단지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2년 스마트 융합제조지원센터 개소를 어제 했습니다.
그리고 산업단지환경 조성 패키지사업 공모 선정, 다배출 공정전환 지원사업 공모 선정 등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습니다.
내년에도 소ㆍ부ㆍ장실증화센터,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센터 개소, 남동산단 재생사업 착공 등 사업별 연차계획에 따라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여 인천형 미래선도 산업단지 구현 및 근로자의 근무환경 개선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57쪽과 135쪽입니다.
반도체산업 육성기반 조성입니다.
금년도에는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관련 조례 제정, 국회 토론회 개최, 반도체산업 용역 착수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26일에는 반도체특화단지 유치를 위한 인천 반도체특화단지추진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한 바 있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반도체특화단지 정부 공모사업 유치를 위하여 총력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후공정/소ㆍ부ㆍ장 산업 상생협력기반 구축 그리고 반도체기업 혁신성장 지원, 전문인력 양성 지원 등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58쪽과 136쪽입니다.
글로벌 마케팅 및 수출인프라 구축 지원입니다.
수출 중소기업의 신규 해외시장 개척 등을 통한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해외 판로개척 273개사, 수출인프라 확충 2260개사, 중국 마케팅 전담 408개사를 지원한 실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신흥시장 개척 및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수출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총 4050여 개사를 지원하여 안정적인 수출기반을 조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59쪽과 137쪽입니다.
중소기업 지식재산 및 디자인 지원 강화입니다.
중소기업의 지식재산 권리화 지원을 위하여 지식재산권 지원 776건, 디자인 개발 116건을 지원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특허 및 지식재산권 지원 1330여 건, 디자인 개발 지원 114건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개발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전략산업과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63쪽과 141쪽입니다.
D.N.A. 혁신을 통한 디지털 대전환입니다.
지역특화 첨단산업 및 기업 육성을 위하여 AI와 블록체인기업 지원 251개사, SW코딩강사 및 디지털 전문인력 321명을 양성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내년도에는 특히 블록체인ㆍAI 활성화 지원 및 지역SW기업 지원ㆍ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자산 산업기반 마련과 4차 산업혁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65쪽과 142쪽입니다.
바이오혁신클러스터 육성ㆍ지원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지난 3월 산업부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사업 공모 선정에 이어 8월에는 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습니다.
바이오기업 지원 등 바이오산업 육성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앞으로 인천형 첨단산업복합단지 조성전략 수립 연구용역 추진,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등 바이오 허브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66쪽과 142쪽입니다.
미래차 기술혁신을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입니다.
미래차 부품개발 12개사, 기술전환 컨설팅 6개사, 미래차산업 실태조사 및 기술 로드맵 연구용역 등을 실시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미래차 기술전환 촉진, R&D 지원,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지원 등을 통해 미래차 중심의 산업구조 개편과 자동차산업 기술 고도화를 실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67쪽과 144쪽입니다.
로봇산업 육성ㆍ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지난 8월 로봇랜드 기반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착수하였습니다.
그리고 로봇스타트업 육성 10건, 사업화 지원 29건, 스타기업 육성 등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로봇랜드 조성사업 기반시설공사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겠으며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을 통하여 로봇산업 경쟁력 강화에 노력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소상공인정책과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71쪽과 147쪽입니다.
소상공인 경영안정 맞춤형 종합서비스 지원입니다.
소상공인 지원, 서민금융복지, 공정거래 지원 3개 분야 28개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코로나19의 선제적 재기 지원, 스마트ㆍ디지털 기반 소상공인 경영환경 혁신 그리고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등 경쟁력을 갖춘 소상공인 육성을 위한 종합지원책을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72쪽과 148쪽입니다.
소상공인 경영안정 지역경제 활성화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소상공인 경영안정을 위해 7개의 맞춤형 특례보증사업을 통한 대출 지원, 12개 이차보전사업을 통해 소상공인 대출이자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연말까지 총 2925억원의 특례보증 대출을 지원하고 217억원의 이차보전금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향후계획으로는 특례보증 8개 사업을 통해 총 2350억원의 소상공인 신규대출을 공급할 예정이며 이자부담 완화를 위한 각종 이차보전사업을 통해 연간 244억원을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73쪽과 149쪽입니다.
인천사랑상품권(e음카드) 운영 활성화입니다.
인천사랑상품권은 10월 18일 기준 누계로 가입자 236만명, 충전액 11조 377억원, 결제액 12조 6050억원입니다.
지난 9월 5일 인천사랑상품권 개편방안을 마련하였으며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에 의해 신규 운영대행사를 선정할 계획입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인천사랑상품권 개편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캐시백 운영을 다변화 그리고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통해 시민편의성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74쪽과 150쪽입니다.
활기차고 매력 있는 전통시장 도모입니다.
전통시장 시설 개선과 특화시장 육성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으로 금년도에는 시설현대화 16개 시장 32개 사업 그리고 특성화시장 육성 11개 시장, 주차환경 개선사업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앞으로도 19개 시장에 27개 시설현대화사업 그리고 6개 시장 주차환경 개선사업, 5개 시장 특성화시장 육성사업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다음 보고서 75쪽과 151쪽입니다.
소상공인 보호 및 육성을 위한 특화사업입니다.
이어가게 육성과 노란우산공제가입 장려금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어가게 10개소를 선정하였으며 1만 7669명에 18억원을 지원하여 노란우산공제가입을 장려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계속해서 이어가게를 내년도에도 10개소 정도를 선정할 계획이며 노란우산공제가입 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76쪽과 152쪽입니다.
지하도상가 운영 정상화입니다.
관내 지하도상가는 총 15개소에 3474개의 점포가 있으며 인천시설관리공단에서 3개소, 상가법인에서 12개소를 위탁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27일 대법원에서 인천시와 행정안전부가 제소한 재판이 승소를 확정함에 따라 시에서는 지하도상가 운영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서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지하도상가에 입주한 상가주민들을 위한 사용료 감면 그다음에 노후설비 현대화, 마케팅 지원 등을 실시해서 지하도상가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대책을 마련해서 운영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78쪽과 153쪽입니다.
공정경제 선도도시 인천 구현입니다.
공정거래문화 확산과 경제적 약자의 권익보호 및 피해예방을 위하여 가맹사업 정보공개서 심사 및 등록 1000건, 가맹ㆍ대리점 분쟁조정 15건 처리 등 불공정거래 피해상담 및 법률적 구제를 지원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불공정거래 관행 개선, 가맹ㆍ대리점 분쟁조정협의회 운영 등을 통한 공정거래도시 환경을 조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사회적경제과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81쪽과 157쪽입니다.
사회적경제 생태계 기반 강화입니다.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운영, 사회적경제 협업체계 구축 공모사업 선정, 사회적경제기업 금융 지원사업 총 22개 기업에 1억 900만원을 이차보전 지원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지속 지원 그리고 사회적경제기업 자립기반 조성을 위한 금융 지원, 인천형 공유경제 및 공공자원 공유 활성화사업 등을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83쪽과 158쪽입니다.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및 성장 지원입니다.
인천형 예비사회적기업 8개 선정, 사회적기업 재정 지원사업 215개 기업 3850명을 지원하였고 지역특화사업 11개 사업, 마을기업 발굴 및 육성 15개 사업을 선정ㆍ지원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사회적경제기업 59개를 신규 발굴하고 지역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85쪽과 159쪽입니다.
지역상생을 위한 사회적경제기업 판로 활성화 지원입니다.
사회적경제기업 판로 지원 확대를 위해 상생유통지원센터, 더담지몰, 홈플러스 온라인몰 등을 운영하여 2억 5300만원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온ㆍ오프라인 유통채널 진출을 지원하고 사회적경제 유관기관 협업과 사회적경제쇼핑몰 인천이음36.5⁺를 통해 판로 지원을 더욱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86쪽과 160쪽입니다.
저소득층 공공일자리 제공입니다.
공공근로ㆍ지역공동체일자리ㆍ지역방역일자리사업을 실시하여 총 1259명의 취업취약계층에게 직접 일자리를 제공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공공근로 445명, 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270여 명을 목표로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의 생계보장 및 고용안정을 도모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노동정책과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89쪽입니다.
인천노동권익센터 설치 및 운영입니다.
노동자 권익 및 복지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송도 미추홀타워에 3개 팀 11명 규모의 노동권익센터를 9월에 개소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90쪽과 164쪽입니다.
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 및 지원입니다.
근로자 복지증진을 위한 근로자종합복지관 3개소를 운영 중에 있으며 69개 교육강좌에 8573명이 수강하였습니다.
또한 무료노동법률상담소 6개소를 운영하여 6629건을 상담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건전한 노사단체 지원 15개 사업 그리고 노사민정 협력사업 지원 5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91쪽과 165쪽입니다.
노동이 존중받는 안전한 일터 조성입니다.
산업재해 현황 및 노동안전보건환경 실태조사 연구용역을 완료하였고 산업안전보건협의체를 구성ㆍ운영하고 있으며 시민안전감독관을 위촉ㆍ운영하고 산업안전 취약사업장 교육ㆍ컨설팅을 실시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인천시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정책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한 노동일터를 실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92쪽과 166쪽입니다.
직원 중대산업재해 예방 안전보건체계 구축입니다.
전 직원의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 조성을 위해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안전ㆍ보건 정기교육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유해ㆍ위험요인 파악 및 사업장 정기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안전보건의무 관리체계 구축 및 이행 점검 관련 용역을 추진하고 안전ㆍ보건 관련 의무사항 이행 및 교육 등을 통하여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조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농축산유통과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95쪽과 169쪽입니다.
먼저 농업인 삶의 질 향상으로 복지농촌 구현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강화군에 고품질쌀 육성단지 200㏊를 조성하기 위하여 종자대, 홍보비 등을 지원하였으며 청년창업농의 영농정착비 68명,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 1460명을 지원하고 청년ㆍ여성농업인 맞춤형 복지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고품질쌀 육성단지 250㏊를 조성하고 청년농업인과 여성농업인 등을 지원하여 영농의욕을 고취시키고 농업 생산력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보고서 96쪽과 170쪽입니다.
안전하고 질 높은 학교급식 지원입니다.
유치원, 초ㆍ중ㆍ고, 특수학교 전 학년 952개교 35만 311명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지원을 실시하였습니다.
’22년도 하반기에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무상급식 식품비 지원단가를 약 9.7% 인상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948개교 36만 322명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지원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완화하고 물가인상률을 반영하여 학교급식 질 향상을 도모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97쪽과 171쪽입니다.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입니다.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은 총사업비 589억 7000만원을 투입하여 청과물동 증축, 구근류경매장을 신축하는 사업으로 2026년 완공 목표입니다.
’22년 4월에 시설현대화사업 타당성조사를 행안부에 의뢰하였으며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서 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앙투자심사 신청 그리고 기본ㆍ실시설계용역을 시행할 계획입니다.
다음 보고서 98쪽과 172쪽입니다.
공익증진 및 고부가가치 농식품산업 육성입니다.
농업ㆍ농촌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업인의 소득안정을 도모하고자 기본형 공익직불금을 금년 11월에서 12월에 지급할 예정이며 농촌융복합산업 육성으로 부가가치 향상과 농식품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농업인 소득안정을 위해 기본형 공익직불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6차산업 인증제 운영, 지역유통플랫폼 조성 등을 통해 농촌융복합산업을 육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99쪽과 173쪽입니다.
안정적인 농업 생산기반시설 확충입니다.
배수개선 2개 지구, 방조제 개ㆍ보수 13개 지구, 수리시설 개ㆍ보수 2개 군 그다음에 대구획 경지정리사업 1개소를 실시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배수개선, 방조제 개ㆍ보수, 수리시설 개ㆍ보수 6개 사업을 통해 농업 생산기반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농업 생산성 제고를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100쪽과 174쪽입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 육성입니다.
가축인공수정료 지원 410두, 우량모돈 교체 지원 533두, 양봉기자재 지원 70농가, 가축분뇨처리 기계장비 지원 18대, 축산물도매시장 보관시설 개ㆍ보수를 완료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축산농가 경영안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가축인공수정료 지원, 우량모돈 교체 지원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101쪽과 175쪽입니다.
예방 중심의 가축전염병 방역 추진입니다.
금년도 실적으로는 약 23만여 두의 구제역 예방주사 지원 그리고 공동방제단 6개 반을 운영하였으며 우제류, 닭 등 혼합백신, 광견병백신을 지원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구제역 예방주사 약 23만여 두, 가축전염병 예방약품 지원 11종, 광견병백신 3만 6700두를 지원하여 재난형 가축전염병 발생 방지 및 소모성 가축질병 등 예방활동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102쪽과 176쪽입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도시농업 활성화 추진입니다.
도심 내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시민에게 다양한 도시농업 체험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인천형 공동체 도시텃밭 1만 4750㎡을 조성하였고 남촌농산물도매시장 옥상 힐링텃밭을 운영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시민들에게 힐링공간을 제공하고 다양한 도시농업 체험활동을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103쪽과 177쪽입니다.
사람과 동물의 공존을 위한 생명존중도시 조성입니다.
유기동물업무 위탁 8540마리, 길고양이 4775마리 중성화사업 추진으로 시민 갈등을 완화하고 동물공존도시를 조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107쪽과 181쪽입니다.
체계적ㆍ효율적인 청사시설 및 청소관리 운영입니다.
안전하고 쾌적한 시장환경 조성을 위해 시설물 관리, 청소업무, 조경시설 관리를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보고서 108쪽입니다.
시설물 보강사업을 통한 쾌적한 농산물도매시장 조성입니다.
특히 금년도에 남촌도매시장에서는 쾌적하고 안전한 도매시장 환경 조성을 위해 CCTV 카메라 25대 설치 그리고 방화문 16개 교체공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다음은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입니다.
보고서 111쪽과 185쪽입니다.
도매시장 시설물 개선 및 보수사업입니다.
이용시민의 편익과 안전한 도매시장 운영을 위하여 승강기 2개소 교체 및 CCTV 카메라 교체를 완료하였고 전기차 급속충전기 1대를 설치 중에 있습니다.
향후에는 구근류경매장 확장, CCTV 카메라 교체공사 등 노후화된 도매시장 내 시설물을 보강하여 시민의 편익과 안전한 도매시장을 운영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도 추진실적에는 없습니다만 2022년도 주요 신규사업을 따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보고서 117쪽이 되겠습니다.
경제정책과 소관사항입니다.
민생경제 안정관리 강화입니다.
지난 7월 인천시 조직개편에 따라 일자리정책과와 경제정책과로 과명이 변경됨에 따라 저희들은 경제정책에 관련된 부분들을 강화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내년도에는 특히 민생경쟁 안정관리 강화에 힘쓰도록 하겠습니다.
인천형 전략산업 육성 및 인천경제 현안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지역경제 안정화에 노력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지역경제 동향분석기능 강화를 위한 인천연구원 내에 경제동향분석센터 추진단을 설치ㆍ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노동정책과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163쪽입니다.
근로자복합문화센터 건립입니다.
2개소가 있습니다.
가좌복합문화센터는 ’23년 2월에, 검단복합문화센터는 ’23년 3월 각각 착공하여 근로자 복합문화공간을 차질 없이 건립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소관사항입니다.
보고서 182쪽입니다.
남촌농산물도매시장 운영 활성화 용역 추진입니다.
위원님들 다 아시는 것처럼 남촌농산물도매시장에 입주한 중ㆍ도매인들의 민원도 있고 이 해소를 위해서 남촌농산물도매시장 이전 후 종합적인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용역을 시행할 계획입니다.
용역을 시행해서 바람직한 대안을 마련하고 민원도 해소하면서 남촌농산물도매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경제산업본부 주요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경제산업본부 전 직원은 우리 시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조속한 경영회복을 지원하기 위하여 계획한 모든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존경하는 정해권 위원장님과 위원님들의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ㆍ경제산업본부 주요업무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