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본부장 조인권입니다.
2023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위원님들께 배부해 드린 2023년도 세입ㆍ세출 예산안을 위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예산안 총괄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111쪽입니다.
2023년도 일반회계 세입은 총 2398억 3272만 1000원으로 2022년도 본예산 1365억 9743만 2000원 대비 75.6%인 1032억 3528만 9000원이 증액된 규모입니다.
다음 731쪽부터는 2023년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입니다.
총괄내역은 총 5860억 9624만원으로 2022년도 본예산 5986억 3452만원 대비 2.1%인 125억 3827만원이 감액된 규모입니다.
그러면 세입ㆍ세출 예산편성내역을 부서별 주요사항 위주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111쪽입니다.
경제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97억 2635만 5000원 대비 0.4%가 증액된 97억 4358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는 제물포스마트타운 운영에 따른 임대료 및 기타수입 증가가 주된 사항입니다.
다음 투자창업과 세입은 전년도 1억 7208만 6000원 대비 13%가 증액된 1억 944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역은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인 청년창업 성장플러스 지원사업의 국고보조금 2231만 4000원이 증액편성되었습니다.
산업진흥과는 전년도 32억 5124만 8000원 대비 65.9%가 감액된 11억 1019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남동스마트산단 통합관제센터 구축 완료에 따른 국고보조금 미편성사유가 주된 요인이 되겠습니다.
다음 112쪽 전략산업과 세입은 전년도 19억 246만 6000원 대비 19.3%가 증액된 22억 6972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원인은 코로나19의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운영 정상화로 어린이과학관 입장료수입과 대관 등 사용료수입 증가가 주된 내용이 되겠습니다.
다음 소상공인정책과 세입입니다.
전년도 492억원 대비 206.4%가 증액된 1507억 2893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으로 인한 예수금 증가가 주된 내용이 되겠습니다.
다음 113쪽 사회적경제과 소관사항입니다.
전년도 67억 9650만원 대비 4.6%가 증액된 71억 1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로 사회적기업 및 마을기업 육성사업 국고보조금 증가가 주된 요인이 되겠습니다.
노동정책과 세입은 전년도 33억 3901만 4000원 대비 56.3%가 감액된 14억 607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근로자복합문화센터 건립 국비지원이 단계별 국고보조금 지원계획에 따라 감소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농축산유통과 세입은 전년도 541억 2022만 6000원 대비 8%가 증액된 584억 5722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임산부 친환경농산물꾸러미 지원 등 국고보조금과 기본형 공익직불금 등 기금사업이 주요 증가요인이 되겠습니다.
다음 126쪽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입은 전년도 55억 6127만원 대비 11.7%가 증액된 62억 1334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된 증액사유는 남촌농산물도매시장의 시설사용료 그다음에 시장사용료 등 세외수입이 주요 증가요인이 되겠습니다.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입은 전년도 25억 5198만 7000원 대비 0.4% 감액된 25억 4256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감사유로는 코로나19 여파로 임대료 감면에 따른 공유재산 임대료 세외수입은 감소하였으나 시장사용료 세외수입은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부서별 세출예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규모가 매우 큰 규모로 부서별 핵심사업 위주로 간략하게 보고드리겠습니다.
731쪽 경제정책과 소관사항입니다.
경제정책과의 총 세출예산은 전년도 222억 9606만 6000원 대비 3.5%인 7억 7622만 2000원이 감액된 216억 1983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착한가격업소 인센티브 지원 1억 8870만원, 인천 신ㆍ신 커뮤니티존 운영 1억 50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고 시 제물포스마트타운 운영지원 1억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으며 지역ㆍ산업 맞춤형 자치단체 지원사업 10억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37쪽 투자창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157억 8022만 2000원 대비 56.0%인 88억 2929만 5000원이 감액된 69억 5092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된 감액사유는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이 전년도 대비 줄었기 때문입니다.
주된 주요 세출내용으로는 컨택센터 유치기업 보조금 1억 8000만원, 청년 해외진출기지 지원 12억원, 신개념 세대융합 청년창업 지원 90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고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지원 1억 4000만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741쪽 산업진흥과 소관사항입니다.
전년도 434억 473만 9000원 대비 6.2%인 27억 604만 8000원이 증액된 461억 1078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사업 지원 1억원, 2023년 중소기업 융합대전 개최 3억원, 2차 디지털무역 전문인력 양성 지원사업 4억 2200만원, 특허기술 기반 농아청년 혁신일자리 지원사업 2억 8774만 5000원, 파브(PAV)산업 혁신기반 구축사업 10억원, 반도체 후공정 소ㆍ부ㆍ장산업 경쟁력 강화사업 14억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운영 4억 5748만 4000원,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 위탁수수료 1억 5000만원, 인천 파브산업 육성 5억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남동스마트산단 조성사업에 14억 60만원,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사업 지원 6억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49쪽 전략산업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395억 9826만 8000원 대비 2.4%인 9억 5481만 5000원이 감액된 386억 4345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디지털자산 경제특구 마스터플랜 실행계획 수립용역 2억원,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사업 5억원,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계획 수립 연구용역 1억 80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고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 13억 6224만원, 미래자동차 부품산업 육성지원 6억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뷰티산업 육성지원 1억원 등은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54쪽 소상공인정책과 세출예산은 전년도 2711억 8199만 8000원 대비 2.2%인 59억 5031만원이 감액된 2652억 3168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희망인천 소상공인 특례보증 출연금 20억원, 소공인 지원 특례보증 출연금 8억원 등을 신규편성하였고 특례보증에 따른 이차보전금 65억 3300만원, 예수금 이자상환 36억 5753만 5000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으며 인천사랑전자상품권 운영 7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173억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 759쪽 사회적경제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145억 1978만 7000원 대비 2.9%인 4억 2215만 4000원이 증액된 149억 4194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2023년 사회적기업 인지도 제고사업 35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운영 5800만원,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비 지원 2억 1000만원, 사회적기업 사회보험료 지원 2억 1750만원, 인천상생유통지원센터 운영 1억 240만원 등을 증액편성하였고 사회적기업 지역특화사업 4540만원, 공유경제기반 조성사업 1억 1000만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764쪽 노동정책과 소관사항입니다.
전년도 135억 5409만 8000원 대비 55.4%인 75억 531만 5000원이 증액된 210억 5941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안전보건관리체계 컨설팅 및 안전보건의무 이행점검 용역 2억 66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고 남동근로자종합복지관 운영위탁대행비 1억 2878만 2000원, 검단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 56억 4546만 5000원, 가좌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 40억 6646만 5000원, 노동권익센터 운영 1억 666만 7000원 등을 증액편성하였으며 근로자문화센터 운영대행사업비 3억 2292만 8000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69쪽 농축산유통과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1668억 9264만 8000원 대비 4.9%인 80억 9656만 6000원이 감액된 1587억 9608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농작물재해보험ㆍ농업인안전보험ㆍ가축재해보험 가입지원 7억 5910만 9000원, 식품소재 및 반가공산업 육성지원 4억 5000만원,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식생활개선 교육사업 6000만원, 임산부 친환경농산물꾸러미 지원 30억 5735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으며 기본형 공익직불금 40억 9000만원, 대구획 경지정리사업 5억 4000만원, 학생승마 체험사업 1억 1660만원 등을 증액편성하였고 배수개선 2억 2100만원, 지방관리방조제 개ㆍ보수 36억 2900만원, 학교우유급식 지원 2억 6433만 5000원, 학교급식 현물지원 및 무상급식 지원 52억 3016만 1000원 등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934쪽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소관사항입니다.
전년도 71억 1731만 6000원 대비 7.1%인 5억 201만 8000원이 증액된 76억 1933만 4000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세출내용은 남촌농산물도매시장 운영 활성화 방안 용역 1억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남촌농산물도매시장 전동차 충전설비 설치 등을 위한 2억 8360만원을 증액편성하였고 청사시설 및 청소관리 위탁사업비는 조경관리 등 일부 사업을 관리사무소가 직접 추진하는 것으로 변경하여 공기관 등에 대한 경상적 위탁비 2억 5428만 1000원을 감액편성하였습니다.
938쪽 삼산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세출예산입니다.
전년도 41억 8938만 4000원 대비 22.3%인 9억 3340만 1000원이 증액된 51억 2278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구근류경매장 확장공사 3억 2700만원, 경매장 청소용역 1억 5000만원, CCTV카메라 교체공사 4000만원, 에너지저장장치 설치공사 5억 1000만원 등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특별회계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본부의 특별회계는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와 지하도상가특별회계 그리고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로 산업진흥과와 소상공인정책과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입니다.
1283쪽 산업진흥과는 검단산업단지 에코산단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비는 전년 대비 3억 5000만원을 감액한 16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지하도상가특별회계입니다.
1429쪽부터 1430쪽까지 세입과 1431쪽부터 1432쪽까지 세출은 총 73억 6938만원으로 전년도 예산 113억 8521만 4000원 대비 35.3%인 40억 1583만 4000원이 감액된 규모입니다.
세입은 지하도상가 임대료수입 10억 9430만 9000원이 감액된 47억 488만 6000원이 편성되었고 세출은 지하도상가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비용 7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지하도상가 위탁대행사업비는 신)부평지하도상가 냉난방기 교체 등 2억 6000만원이 증액된 41억 7935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비비는 2억 2635만 8000원이 감액된 17억 5002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입니다.
1440쪽부터 1443쪽까지 세입과 1444쪽부터 1454쪽까지 세출은 먼저 1452쪽 산업진흥과의 경우 총 150억 4000만원으로 전년도 예산 86억 대비 74.9%인 64억 4000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주요내용은 산업시설 환경개선사업은 전년도 예산 20억원 대비 10억원이 감액편성되었고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은 전년도 예산 66억 대비 74억 4000만원을 증액편성하였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1454쪽 소상공인정책과의 경우 총 292억 7710만 9000원으로 전년도 예산 134억 6814만 9000원 대비 117.4%인 158억 896만원을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은 전통시장 주차환경개선사업은 전년도 예산 67억 6601만 6000원 대비 159억 5043만 4000원을 증액편성하였으며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 디지털전통시장 육성사업 등 경영현대화사업 예산은 전년도 9억 5700만원 대비 4억 7000만원을 감액편성하였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계속비사업입니다.
본부의 계속비사업은 1건으로 1478쪽 드림업밸리 조성사업 맹꽁이 포획ㆍ이주 및 모니터링 용역비 2억 3201만 2000원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3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코로나19 이후에 빠른 민생회복을 위한 소상공인, 피해 중소기업 경영안정화 도모와 지역 산업구조를 고부가가치 경제모델로 전환하기 위한 사업들에 주안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하였다는 말씀을 드리고 아무쪼록 원안대로 심의될 수 있도록 위원님들께 협조 부탁의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