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유한경입니다.
2019년도 여성가족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검토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배부해 드린 보고서를 중심을 간략히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서 2페이지입니다.
2019년도 여성가족국 소관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세입예산 총괄규모는 1조 2713억 5991만 9000원으로 전년 대비 22.25%인 2313억 6112만 4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세출예산 총괄규모는 1조 8219억 9493만 1000원으로 전년 대비 20.58%인 3109억 8069만 8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3페이지입니다.
2019년도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총규모는 7조 1774억 2727만 2000원으로 전년 대비 10.26%인 6680억 7878만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여성가족국 소관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1조 2639억 3469만원으로 전년 대비 21.6%인 2245억 7934만 5000원이 증가하였고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세입의 17.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출예산의 규모는 1조 8019억 442만 4000원으로 전년 대비 19%인 2928억 35만 7000원이 증가하였으며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세출예산의 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세입의 주요 내역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4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세입의 재원별 구성 비율은 국고보조금, 균특회계 보조금, 기금 등 의존재원이 89.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교육비 특별회계 전입금 등 내부거래가 8.8%, 사용료수입, 공유재산 임대료 등 세외수입이 1.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고보고금은 기초연금 1274억, 아동수당 758억, 영유아 보육료 153억, 보육교직원 처우개선 99억,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비 54억원이 증액되어 전년 대비 2259억 2084만 2000원이 증액된 1조 967억 4309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균특회계 보조금은 아동청소년과에 청소년시설 확충사업비와 출산보육과의 산모ㆍ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비 두 건이 되겠습니다.
전년 대비 9%가 증액된 59억 9900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출산보육과에 산모ㆍ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비 증액이 주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6페이지가 되겠습니다.
기금은 여성정책과의 시설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사업 신규 추진에 따른 예산 6억원,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지원사업비 93억원, 권역 난임우울증상담센터 설치 운영사업비 1억원, 청소년쉼터 운영 지원 3억원 등 지난해 대비 49%인 99억 4714만 7000원이 증액된 301억 7618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7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내부거래는 교육비 특별회계 전입금으로 출산보육과의 방과후 보육료, 어린이집 누리과정 보육료와 아동청소년과의 결식아동 급식 지원사업비 등 전년 대비 9.84%인 121억 5085만 9000원이 감소한 1113억 8861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세외수입은 인천가족공원 공유재산 임대수입 및 장사시설 사용료수입 168억원, 청소년수련관 운영수입 10억원, 노인종합문화회관 시설사용료 4억원, 여성복지관과 서부여성회관의 프로그램 수강료 및 시설사용료 10억원 등 전년 대비 1.8%인 3억 6221만 5000원이 증액된 196억 278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페이지부터 세출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세출은 전년 대비 2928억 35만 7000원이 증가한 1조 8019억 442만 4000원으로 19.4%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이는 인천시 세출예산의 25%에 해당하며 인천시 사회복지예산의 5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여성가족국의 세출예산은 4853억원이 증가하였으며 아동수당, 기초연금, 영유아 보육료 등의 사업비 증가로 연평균 1617억원 이상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세출예산을 재원별로 살펴보면 자체재원인 시비는 37.1%에 해당하는 6689억 8614만 4000원으로 전년 대비 564억 3236만 8000원이 증액되었습니다.
국고보조금 등 의존재원은 세출예산의 60.93%에 해당하는 1조 1329억 1828만원으로 전년 대비 26%가 증액편성되었습니다.
자체재원 3871억원이 순수 시비사업비로 편성되어 있고 그 외 2818억원은 의존재원 매칭에 소요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9페이지입니다.
부서별 증감내역을 살펴보면 아동청소년과가 전년 대비 79.1%로 가장 많이 증액이 되었고 여성정책과가 46.58%, 노인정책과가 23.1%, 아동복지관이 15.5% 증액되었습니다.
출산보육과 및 사업소는 소폭 증액편성하였으며 여성의광장은 청사시설 관리비 감소로 전년 대비 7.27% 감액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1페이지가 되겠습니다.
2019년도 여성가족국 예산안의 주요 특징을 보면 첫째 여성, 출산, 보육, 아동, 청소년, 노인복지 등 분야별로 3000만원 이상 신규사업이 시설 아이돌봄서비스 사업 등 26건에 41억 7511만 7000원이 편성되었습니다.
신규사업의 추진은 과거의 집행실적 등 통계가 존재하지 않고 사업수요에 대한 예측이 어려운 관계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기 어렵고 외부환경에 따라 많은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부환경에 대한 예측실패와 필요한 행정절차 미이행 등 사업지연이 발생하거나 집행이 부진할 가능성이 있는바 초기 시행단계부터 사업계획을 철저히 세워 사업추진의 장애요소를 제거하는 등 집행에 차질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13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조례 개정에 따라 사회복지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복지점수 예산을 323개소 1626명에 대하여 2억 7500만원을 일괄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4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단위사업별 규모가 큰 기초연금, 보육료 등의 지원 단가 인상과 아동수당의 전면 시행에 따른 지방비 예산이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국비기준 보조율에 따라 지방비를 우선하여 의무적으로 편성하도록 하고 있어 지방재정의 경직성이 가중됨에 따라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다음은 15페이지입니다.
저출산의 원인은 비혼 문화, 주거, 교육, 자녀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 가임여성 부족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으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바 저출산 해소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부서별 세출내역을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여성정책과 소관입니다.
여성정책과는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지원사업과 아이돌봄 지원사업 대상자 확대 등으로 국비 보조금 및 매칭시비의 증액과 시설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다함께돌봄 사업 운영비 등 6개 사업에 신규편성으로 전년 대비 157억 2980만 1000원이 증액된 495억 259만 1000원으로 여성가족국 예산의 2.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성정책과 정책사업은 양성평등 실현, 건강한 가족 육성, 행정운영경비로 구분되는데 최근 3년간 예산편성 추이를 살펴보면 양성평등 여건조성과 취약여성 지원, 여성능력개발 및 사회참여 지원 등을 위한 양성평등 실현 분야는 2017년 99억원에서 2019년도 119억원으로 증가하였고 저소득가정 생활안정, 가정인프라 구축을 위한 건강한 가족육성 분야는 2017년 대비 75%인 160억 9581만원이 증액되었습니다.
다음은 29페이지 출산보육과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29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출산보육과는 영유아보육료와 보조교사 지원사업, 청정무상급식 지원사업, 산모신생아 지원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등이 확대된 반면 출생 아동 수 감소로 가정양육수당 지원, 누리과정 운영, I-Mom 출산축하 지원사업 예산은 감액이 되었습니다.
2019년도 예산은 전년 대비 138억 8086만 6000원이 증액된 6232억 4390만 2000원으로 여성가족국 예산의 34.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산보육과의 정책사업은 보육서비스 지원, 친출산 환경조성, 저출산 극복, 행정운영경비로 구분되는데 최근 3년간 예산편성 추이를 살펴보면 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2017년 대비 7.19%인 396억 8651만원이 증액되었고 친출산 환경조성 사업비는 186억 2684만 6000원이 증액된 반면 저출산 극복 사업비는 15%인 19억 782만 3000원이 감소하였습니다.
저출산 극복 사업비가 감소한 이유는 2018년도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의 건강보험 적용으로 저소득층 대상자에 한하여 지원하는 것으로 사업대상이 축소된 것이 주요인입니다.
친출산 환경조성 사업의 경우 2018년 대비 32억 5453만 6000원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출생아 수 감소에 따라 I-Mom 출산축하 지원사업비를 감액편성한 것이 주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44페이지 아동청소년과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44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아동청소년과는 아동수당, 청소년건강 지원, 청소년자립지원관 운영지원 등 국비매칭사업비의 증가와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지역아동센터 환경개선 지원사업 등 2개의 국가 신규사업,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미세먼지 방지마스크 지원사업 등 6개의 시 자체 신규사업을 예산안에 반영하는 등 전체 예산액 1166억 547만 4000원 대비 922억 6307만 1000원이 증액된 2088억 6854만 5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여성가족국 총예산의 11.5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동청소년과의 정책사업은 아동복지권익증진, 건전한 청소년 육성, 행정운영경비로 나뉘는데 아동복지권익증진 정책 분야가 전체의 91.54%를 차지하고 있으며 건전한 청소년 육성 분야는 8.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예산편성 추이를 살펴보면 아동복지권익증진 분야는 예산편성액의 2배 이상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2018년 9월부터 아동수당 지급이 시행되면서 급증한 것입니다.
반면 건전한 청소년 육성 분야는 감소세에 있는데 이는 청소년시설 확충사업 종료에 따른 사업비 감소가 주원인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54페이지 노인정책과 소관입니다.
노인정책과는 기초연금, 노인사회활동 지원사업, 노인돌봄기본사업 확대 등 국비 보조금 및 매칭시비의 증액과 재가노인복지시설 운영, 노인요양시설 운영 등 자체사업비의 증액, 인천형 노인적합일자리 공모사업 등 4개 사업의 신규편성으로 전년 대비 1702억 2636만 3000원이 증액된 9066억 2321만 9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여성가족국 예산의 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노인정책과의 정책사업은 맞춤형노인복지, 행정운영경비, 재무활동으로 구분되는데 최근 3년간 편성 추이를 살펴보면 맞춤형노인복지 분야의 예산이 2017년 6371억원에서 2019년 9002억원으로 약 2631억원이 증가하였는데 소득하위 20% 저소득 노인에 대하여 기초연금을 25만원에서 30만원으로 단가를 인상한 것이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62페이지 여성복지관 소관입니다.
여성복지관은 청사관리 및 시설개보수비, 행정운영경비 등의 증액으로 전년 예산액 29억 1400만 4000원보다 2억 6194만 8000원이 증액된 31억 7595만 2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여성가족국 총예산의 0.1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성복지관의 주요 정책사업은 여성인력양성 분야로 여성교육 프로그램 운영사업, 직업교육훈련,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등의 단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65페이지 여성의광장입니다.
여성의광장은 지난해 완료된 실내어린이놀이터 시설개보수 사업비 5억원과 자산취득비 등의 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1억 8157만원이 감액된 23억 1431만 8000원을 편성하여 여성가족국 예산의 0.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66페이지 서부여성회관입니다.
서부여성회관은 지난해 예산액 38억 8445만 6000원 대비 1.2%인 4956만 5000원이 증액된 39억 3402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여성능력개발 프로그램 운영과 체육시설 운영이 주사업에 해당하며 2019년도 예산안에 체육시설 운영사업비 7907만 1000원이 감소하였고 인력운영비가 1억 2648만 2000원이 증액되었는데 이는 인천광역시 기간제 근로자의 공무직 전환 추진계획에 따라 수영장 강사 2명이 공무직으로 전환되면서 예산 편성목 변경에 따라 변동된 사항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67페이지 아동복지관입니다.
아동복지관은 지난해 예산액 36억 7156만 3000원 대비 15.5%인 5억 7031만 3000원이 증액된 42억 4187만 6000원을 편성하였고 여성가족국 예산의 0.2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단위사업별 예산은 아동학대 예방 분야가 전체 예산의 57%로 가장 많고 인력운영비, 아동복지지원, 가족복지지원 분야가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아동복지지원 분야는 2018년 대비 3억 7520만 5000원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시설아동 자립지원,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경계선지능 아동 자립수당 등 3개의 신규사업 추진에 따른 것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70페이지 특별회계에 대해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2019년도 여성가족국 소관 특별회계는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와 도시개발 특별회계로 세입은 전년 대비 67억 2500만원이 증액되었으며 세출은 전년 예산액 10억원 대비 185억 7110만 7000원이 증액된 195억 711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끝으로 74페이지 기금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여성가족국 소관 기금은 양성평등기금과 화장시설 주변지역주민 지원기금으로 2018년도 말 조성액은 46억 4437만 7000원이고 2019년도에는 수입 7억 22만 9000원, 지출 5억 1940만원으로 1억 8082만 9000원이 증가된 48억 2520만 6000원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기금별 세부내역은 검토보고서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ㆍ2019년 여성가족국 소관 세입ㆍ세출 예산안 및 2019년도 여성가족국 소관 기금운용계획안 검토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