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국장 조태현입니다.
지금부터 보건복지국 소관 2019년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예산안 그리고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예산안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2019년 보건복지국 총 세입예산 규모는 2018년도 예산 대비 12.8%인 1212억 3069만 9000원이 증가한 1조 654억 6080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세입예산 재원의 89.9%는 국고보조금으로 9587억 6951만 7000원이며 9.8%를 차지하는 전입금은 1047억 3978만 8000원으로 일반회계 전출금이 되겠습니다.
26쪽의 세출예산은 2018년도 예산 대비 12.2%인 1495억 5910만 2000원이 증가한 1조 3720억 2921만 5000원이며 우리 시 전체 세출예산의 12.2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출예산의 재원 구성은 국비가 69.9%, 시비가 30.1%로 국비보조금에 대한 시비 매칭금액을 감안한다면 상당부분 법정 또는 의무적 성격의 경직성 경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7쪽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9.1%가 증가한 8469억 2677만 7000원이며 특별회계 세출예산은 17.8%가 증가한 5251억 243만 8000원입니다.
그러면 먼저 일반회계 세입예산안에 대한 세부내역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7쪽 공감복지과 세입은 재산임대수입, 사용료수입, 국고보조금으로 2018년 대비 133억 8903만 3000원이 증가한 3339억 8700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을 말씀드리면 국고보조금이 3332억 4900만 9000원으로 부양의무자의 기준 완화에 따른 생계급여, 해산장제급여 증가분, 자활근로 참여자 급여 인상분, 사회복지인력 인건비 지원액 등을 반영하였습니다.
78쪽 장애인복지과 세입은 국고보조금 및 국민건강증진기금으로 2018년 대비 199억 8423만원이 증가한 1344억 8592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인상, 장애인 활동보조인 인건비 상승분, 장애인의료비 지원사업량 증가분을 반영해서 증액편성하였습니다.
79쪽 보훈다문화과 세입은 양성평등기금으로 조성된 국고보조금으로 2018년 대비 1억 9320만 7000원이 증가한 20억 5476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다문화가족 특화사업, 다문화가족 한국어교육이 되겠습니다.
같은 쪽의 보건정책과 세입은 국고보조금,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보조금 등으로 2018년 대비 58억 9927만원이 증가한 361억 2824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강화ㆍ옹진군의 농어촌보건소 이전신축에 따른 시설개선비 지원 및 지방의료원 기능보강 등으로 국고보조금 73억 9992만 3000원을 증액하였고 80쪽 응급의료기금 287억 1024만원은 지역재난거점병원 2개소의 시설장비 확충과 응급의료 전용헬기 임대 및 운영 등을 위해 편성하였습니다.
81쪽 건강증진과 세입은 국고보조금 및 국민건강증진기금으로 2018년 대비 25억 3566만 7000원이 증가한 309억 2155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정신요양시설 운영 지원 등을 위해 국고보조금 56억 8687만 4000원, 국가암관리사업, 취약계층 방문건강관리사업, 치매안심센터 운영 지원 등을 위해 국민건강증진기금으로 252억 3467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2쪽 위생안전과 세입은 기타수수료 및 국고보조금으로 2018년 대비 2억 6505만 7000원이 증가한 29억 7488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해노랑 브랜드 사용수수료 400만원을 편성하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및 공공급식관리지원센터 시범운영 등을 위해 국고보조금 29억 7088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예산서 329쪽 공감복지과 세출예산은 2018년 대비 139억 437만 1000원이 증액된 3866억 9192만 1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같은 쪽 저소득층 생활안정 분야는 2018년 대비 177억 2586만 4000원이 증가한 3405억 1035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수급자 지원을 위한 생계급여, 교육급여, 해산장제급여 및 양곡할인사업에 2826억 6587만 6000원을 편성하고 330쪽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긴급복지사업 및 SOS 복지안전벨트사업에 122억 842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자활 지원사업은 2018년 대비 47억 6316만 6000원이 증가한 424억 5468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저소득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자활근로사업에 304억 3356만 3000원을 편성하고 333쪽 수급자의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희망키움통장 등 네 가지 통장사업에 62억 8971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같은 쪽 저소득층 사회복귀 지원은 2018년 대비 3억 2166만 1000원이 증가한 31억 554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노숙인시설 운영비와 노숙인시설 기능보강사업비입니다.
334쪽 일반복지서비스 지원은 2018년 대비 15억 6060만 9000원이 감소된 389억 3326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335쪽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으로 국비 내시분을 반영해서 감액편성하였습니다.
338쪽 2019년도 신규편성한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운영사업은 청년들의 중독예방, 운동치료 등을 위해 1억 437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39쪽 지역복지 역량강화는 19억 1147만 5000원이 감소한 45억 33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2015년도 채용된 사회복지직 인건비 지원기간 종료로 인해 사회복지직 인건비가 11억 7600만원이 감액되어 23억 5200만원이 편성되었습니다.
342쪽 장애인복지과 세출예산은 2018년 대비 271억 6626만 9000원이 증액된 2119억 7978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저소득층 장애인 생활안정은 2018년 대비 75억 1283만 6000원이 증가한 611억 7889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장애인연금 지원에 466억 4071만 5000원, 기초 및 차상위 등 장애수당에 91억 6542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44쪽에 장애인 재활 지원은 2018년 대비 41억 7673만 2000원이 증가한 189억 3278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장애인일자리 지원사업에 62억 8171만 2000원, 346쪽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에 55억 599만 7000원, 347쪽 발달장애인 부모교육 지원, 348쪽 주간활동서비스, 방과 후 돌봄서비스 지원에 14억 6855만 8000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49쪽 장애인복지시설 운영은 2018년 대비 8억 4095만 2000원이 증가한 583억 9734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장애인복지관 운영에 128억 5000만원, 신규사업인 황사마스크 지원에 2000만원, 350쪽 장애인거주시설운영 지원에 255억 839만 2000원, 352쪽 1급 중증장애인 활동 지원사업에 35억 7804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54쪽 장애인거주 및 재활시설 기능보강은 2018년 대비 14억 5472만 4000원이 증가한 27억 9924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장애인거주시설, 직업재활시설, 의료재활시설 기능보강사업으로 25억 5038만원을 편성하였으며 장애인복지관 석면ㆍ우레탄 교체공사비로 2억 4298만 4000원을 신규 책정하였습니다.
355쪽 장애인 사회참여 촉진은 2018년 대비 131억 7882만 8000원이 증가한 706억 4315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356쪽 장애인 활동 지원급여 지원사업에 활동보조인의 서비스단가 인상분을 반영해서 651억 5640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57쪽 장애인단체 활성화사업에 13억 9143만 6000원, 359쪽 중증장애인 자립을 위한 사업비로 7억 6380만원, 360쪽 장애인 탈시설 사업비로 5억 1997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2쪽에 보훈다문화과 세출예산은 2018년도 대비 1억 4679만원이 증액된 291억 2335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같은 쪽에 국가유공자 예우 및 지원은 2018년 대비 4억 7551만 1000원이 감소한 252억 6568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보훈가족 격려사업에 32억 7800만원, 보훈대상자 수당 지원을 위해 203억 436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3쪽 보훈단체 지원은 13개 보훈단체 운영 및 사업 지원을 위해 8억 2202만 8000원을 편성하였고 현충시설 및 보훈시설 관리운영을 위해 2억 5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4쪽 다문화가족 사회통합 및 역량강화 지원은 주민참여예산으로 다문화청소년 스포츠 체험교실 운영에 1180만원을 편성하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노후기자재 교체비 32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5쪽 다문화가족 특화사업은 방문교육, 자녀언어발달, 통ㆍ번역서비스 등 5개 사업에 대해 20억 6048만 3000원을 편성하였으며 366쪽 결혼이민자 취업 지원사업도 주민참여예산으로 1억 2626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66쪽 외국인주민 생활 지원은 외국인유학생 행정인턴, 화합한마당 등 외국인 조기정착을 위해 1억 6111만 2000원을 편성하고 외국인지원시설 운영을 위해 1억 5225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8쪽 보건정책과 세출예산은 2018년 대비 264억 4442만원이 증액된 1686억 9995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같은 쪽에 보건기능 활성화는 2018년 대비 110억 3675만 5000원이 증가한 208억 2645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제2인천의료원 건립 연구 용역비 8000만원을 편성하였고 369쪽 인천의료원 및 백령병원 공공의료사업에 76억 1000만원을 출연하였으며 인천의료원 기능보강사업으로 37억 7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70쪽 농어촌보건소 신축이전은 강화ㆍ옹진군 보건기관의 이전신축, 개보수, 장비구입을 위해 56억 394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72쪽 응급의료체계 구축은 2018년 대비 17억 8021만 3000원이 증가한 87억 7204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분만 취약지역인 백령병원의 의료인력 인건비 2억원을 편성하고 373쪽 재난응급의료 무선통신망 운영비로 6879만원, 권역별 재난의료전담인력 배치 운영에 1억 2650만원, 374쪽 재난거점병원 시설장비 확충에 1억 4033만 3000원, 응급의료기관 지원에 23억 1667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영비로 40억원을 편성하였고 375쪽 중증외상환자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중증외상센터 닥터카 운영에 1억 8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376쪽 국가예방접종 실시는 2018년 대비 23억 6575만 5000원을 감액한 284억 953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출생아 수 감소로 어린이 예방접종 예산 19억 4520만원을 감액편성하였으며 377쪽 감염성질환 관리는 2018년 대비 2억 9814만 9000원이 증가한 38억 8719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380쪽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시설 지원에 2억 2710만원, 381쪽 시ㆍ도감염병관리단 운영에 6억 1266만 6000원, 에이즈 및 성병 예방사업으로 7억 5910만 6000원, 382쪽 보건소 결핵관리사업 지원에 7억 8111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84쪽 시민 건강수준 향상은 마약퇴치사업에 8700만원, 385쪽 외국인 등 소외계층 무료진료에 1억 3428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89쪽 건강증진과 세출예산은 2018년 대비 23억 8304만 8000원이 증액된 458억 3458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같은 쪽 지역사회 건강수준 향상은 2018년 대비 27억 8404만 4000원이 증가한 203억 1121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금연서비스 지원에 29억 5517만 5000원을 편성하고 391쪽 통합건강증진사업 지원에 38억 5832만 9000원을 편성하였으며 392쪽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을 위해 34억 1340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93쪽 저소득층 암검진비 지원을 위해 30억 3470만원을, 암환자 의료비 및 재가암환자 지원을 위해 31억 2100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95쪽 정신보건 및 치매관리는 2018년 대비 4억 759만 1000원이 감소한 254억 5606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397쪽 10개의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지원에 27억 4110만원을 편성하고 398쪽 2개 정신요양시설 운영 지원에 29억 3052만 6000원을 편성하였으며 399쪽 치매안심전문학교, 치매안심돌봄센터, 치매안심센터 운영 지원에 126억 667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02쪽 위생안전과 세출예산은 2018년 대비 3억 5596만 9000원이 증액된 45억 9716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같은 쪽에 식품위생관리는 2018년 대비 3억 4408만 8000원이 증가한 44억 823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403쪽 식품안전 감시 및 대응사업에 4702만원, 405쪽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활동 지원에 8148만 8000원, 406쪽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 운영에 1억 7000만원이 되겠습니다.
407쪽 공중위생관리는 공중위생감시원 직무교육 및 운영 등 총 799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153쪽 세입ㆍ세출 예산규모는 2018년 대비 17.7%인 789억 6423만 5000원이 증가한 5249억 843만 8000원입니다.
1158쪽 세입 분야 주요 내용은 의료수급권자 증가에 따라 국고보조금을 전년 대비 631억 1298만 7000원을 증액하여 4189억 5915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161쪽 세출 분야 주요 내용은 의료급여 진료비 예탁 및 심사수수료에 5156억 9279만 2000원, 건강생활유지비에 23억 344만 1000원, 의료급여 군ㆍ구 관리비에 46억 2536만 5000원, 1162쪽 사례관리 전달체계 개선에 10억 3316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174쪽 인천광역시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안입니다.
서구 구립장애인직업재활시설 기능보강사업으로 1억 9400만원을 편성하여 옥상 방수공사 및 쓰레기봉투 제작용 압출기 구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보건복지국 소관 2019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이어서 2019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서 사회복지기금과 식품진흥기금순으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배부해 드린 2019년도 기금운용계획안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선 사회복지기금 운용계획안에 대해서 보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회복지기금은 지방자치법 제142조 및 인천광역시 사회복지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를 근거로 1994년부터 설치ㆍ운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사회복지사업, 기초생활보장사업, 노인복지사업 등 세 가지 계정으로 운용이 되고 있습니다.
먼저 145쪽 사회복지기금 조성 현황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2018년도 말 조성액이 107억 4147만원이고 2019년도 수입이 343만 8000원이 발생하여 2019년도 말 107억 4490만 8000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146쪽 사회복지기금의 총 조성규모는 2019년도 말 조성액 107억 4490만 8000원에 융자금 미회수채권 1억 5681만 7000원을 포함해서 총 109억 172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147쪽 수입액은 9억 6547만 2000원으로 세부내역을 말씀드리면 148쪽 민간융자금 회수 이자수입은 자활기업 융자금에 대한 이자수입으로 180만원을 계상하였으며 그외수입 2억 2500만원은 해체된 자활근로사업단이 현금이나 물품을 정산하고 그 잔액을 시 기금으로 조성한 수입금이 되겠습니다.
민간융자금 회수수입은 자활기업 융자금의 원금 회수수입으로 1500만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치금 회수수입은 전년도 이월금으로서 사회복지계정이 9008만 8000원, 기초생활보장계정이 3억 5953만 4000원, 노인복지계정이 5674만 2000원으로 총 5억 636만 4000원이 되겠습니다.
예탁금 이자수입은 예산담당관실의 통합관리기금에 예탁한 기금의 이자수입으로써 사회복지계정이 7483만 3000원, 기초생활보장계정이 9163만 7000원, 노인복지계정이 5083만 8000원으로 총 2억 1730만 8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50쪽 사회복지기금의 지출계획이 되겠습니다.
창업자금 및 전세점포 융자금은 자활기업의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해 1억원의 융자금을 편성하였고 기초생활 및 자활사업 지원 2억 3000만원은 광역 단위의 자활사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인천광역자활센터에 지원하는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151쪽 사회복지서비스 증진 7483만 2000원은 사회복지시책 홍보비 등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편성하였습니다.
예탁금 2억 3200만원은 기초생활보장계정의 여유자금에 대하여 이자수입 증가를 위해 통합관리기금으로 예탁할 예정입니다.
152쪽 노인복지사업 지원 5083만 8000원은 노인회 육성을 위해 대한노인회 인천광역시연합회 및 군ㆍ구지회 사업비로 편성하였습니다.
예치금 지출로는 사회복지계정 9007만 6000원, 기초생활보장계정 1억 3098만 4000원, 노인복지계정 5674만 2000원으로 총 2억 7780만 2000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할 예정에 있습니다.
154쪽 연도별 기금조성 현황과 155쪽 예치금 및 예탁금 명세는 위원님들께서 양해해 주신다면 유인물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사회복지기금 운용계획을 마치고 159쪽 식품진흥기금 운용계획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식품진흥기금은 식품위생법 제89조 및 인천광역시 식품진흥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를 근거로 1989년도에 설치되었으며 식품위생교육 및 홍보사업, 음식문화 개선사업 등을 추진하여 시민의 영양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운용되고 있습니다.
2018년도 말 조성액은 60억 5212만원이며 2019년도 말 조성액은 전년 대비 2억 6135만 3000원이 감소된 57억 9076만 7000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161쪽 수입액은 28억 9713만 8000원으로 세부내역을 말씀드리면 162쪽 예치된 식품진흥기금의 공공예금 이자수입은 4400만원이며 노후화된 식품접객업소 등에 대한 시설개선 지원 민간융자금 이자수입은 612만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과징금 10억원은 식품접객업소에 대한 영업정지에 갈음하여 부과하는 과징금수입이 되겠습니다.
융자원금 회수 1억 8499만원은 식품접객업소 시설개선자금 융자 지원에 대한 원금 회수금이 되겠습니다.
163쪽 예치금 회수수입 15억 6785만 8000원은 전년도 예치금 이월액이며 예탁금 이자수입 9417만원은 통합관리기금에 예탁한 예탁금의 이자수입이 되겠습니다.
164쪽 지출계획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주요 지출내역으로는 모범음식점 지정 및 관리 내실화 지원으로 2823만 8000원, 인천식품산업 진흥 등 유관단체 지원으로 1억 5000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66쪽 민간융자금 3억원은 식품접객업소 노후한 시설개선 지원을 위해 편성하였으며 167쪽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활동 지원 2억 3892만 5000원과 과징금수입액의 군ㆍ구 과징금 귀속금으로 6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68쪽 예치금은 13억 2650만 5000원으로 다음연도로 이월할 예정입니다.
169쪽 연도별 기금조성 현황과 170쪽 예치금 및 예탁금 명세는 위원님들께서 양해해 주신다면 유인물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건복지국 2019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앞으로도 위원님들의 각별한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리면서 끝까지 경청해 주신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