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국장 정연용입니다.
평소 존경하는 박종혁 위원장님을 비롯한 여러 위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먼저 제안설명에 앞서서 참석한 간부공무원을 소개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응길 복지정책과장입니다.
신순호 장애인복지과장입니다.
박세윤 보훈다문화과장입니다.
김혜경 보건정책과장입니다.
이은영 건강증진과장입니다.
김석환 위생안전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그러면 2019년도 보건복지국 소관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 배부해 드린 추가경정예산안을 중심으로 제안설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설명드릴 순서는 보건복지국 전체 예산규모, 일반회계 세입ㆍ세출 예산내역,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순으로 제안설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보건복지국 소관 추가경정예산 규모를 보고드리면 세입예산은 기정예산액보다 114억 3744만 7000원이 증액된 1조 768억 9825만 2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세출예산은 기정예산액보다 1.25%가 증가된 172억 1470만원을 증액하여 1조 3904억 2291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참고로 보건복지국 세출예산 재원은 국비가 약 70%, 시비가 약 30%로 대부분 국고보조사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금번 추경은 국고사업의 증액 또는 감액내시 사항이 변경된 것을 반영한 것으로 생계급여 등 복지사업 확대 실시를 위해서 편성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그러면 세입예산안에 대한 주요내용을 설명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75쪽이 되겠습니다.
복지정책과가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1억 4180만 2000원이 감액된 3338억 452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을 보고드리면 생계급여는 11개 사업에 대해서 국고보조금 변경내시를 반영하여 기정예산액보다 43억 7419만 8000원을 증액하였고 양곡할인은 기존 복지정책과에서 농축산유통과로 업무 이관이 되면서 국고보조금 45억 1600만원을 전액 삭감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장애인복지과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62억 8067만 7000원이 증액된 1407억 6659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을 보고드리면 장애인전동보장구 충전기 설치, 중증장애인 지역맞춤형 취업지원사업 등 2개 신규사업 및 장애인연금 등 국고보조금 변경내시 8개 사업을 반영해서 기정예산액보다 62억 8067만 7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76쪽에 보훈다문화과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2억 6285만 5000원이 증액된 23억 1761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을 보고드리면 다문화가족 교류소통공간 설치ㆍ운영비 등 2개의 신규사업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등 국고보조금 변경내시 3개 사업을 반영해서 기정예산액보다 2억 6258만 5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보건정책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45억 5598만원이 증액된 406억 8422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을 보고드리면 의료취약지 의료지원사업,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운영 지원사업 등 4개의 신규사업에 대해서 6억 3465만 3000원을 증액하였고 질병관리본부 직접 집행에 따른 감염병관리 교육사업은 국고보조금 3780만 7000원 전액을 삭감하였으며 지방의료원 파견의료인력 인건비 지원사업 등 11개 사업에 대해서는 국고보조금 등 변경내시를 반영한 39억 5913만 4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건강증진과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897만 7000원이 증액된 309억 3052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내용을 보고드리면 치매관리센터 부적정 지급 환수금 등 시ㆍ도비반환금 수입으로 306만 3000원을 신규편성하였으며 방문건강관리사업 등 6개 사업에 대해서 국고보조금 등 변경내시를 반영한 591만 4000원을 증액하였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안 주요내용을 설명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93쪽에 복지정책과 소관이 되겠습니다.
복지정책과는 기정예산액보다 1억 9189만 5000원이 증액된 3872억 8581만 6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국고보조사업 변경내시에 따라서 생계급여, 해산장제급여, 저소득층 자활지원 등에 48억 4437만 7000원을 증액하였고 양곡할인사업은 농축산식품부로의 이관 및 복지용 쌀 공급계획 변경으로 당초 예산액에 편성된 45억 7500만원을 전액 삭감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194쪽에 자활근로사업은 자활근로 인건비가 지난해 대비 27% 인상되어서 43억 5760만 7000원을 증액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197쪽에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사업은 인력 감소에 따라서 인건비 및 운영비 4968만 3000원을 감액하였고 198쪽에 읍면동 통합사례 관리사업비는 기존 읍면동이 150개에서 152개로 증가됨에 따라서 1428만원을 증액하였습니다.
199쪽에 장애인복지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장애인복지과는 기정예산액보다 74억 3713만 8000원이 증액된 2203억 5892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국고보조금 변경내시에 따른 장애인연금 1억 807만 7000원을 증액하였고 발달재활서비스 1억 8366만 1000원을 증액하였으며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에는 3억 8067만 8000원을 증액하였으며 송암점자도서관 관장 신규채용에 따른 인건비 3800만원을 증액한 3억 4300만원과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장애인 활동 지원급여 지원비 65억 881만 6000원을 증액한 725억 4722만 1000원, 장애인전동보장구 충전기 80개소 설치비로 1억 7600만원을 신규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에는 205쪽에 보훈다문화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4억 2801만 5000원이 증액된 293억 5137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과 연계해서 저희 광복회 항일독립 유적지 방문사업으로 66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고 다문화가족 교류소통공간 설치비 1억 5750만원, 운영비 9000만원을 신규편성하였습니다.
208쪽에 보건정책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85억 4529만 8000원이 증액된 1772억 8025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지방의료원 기능보강을 위해서 당초 예산 대비 78억 4000만원을 증액한 116억 1000만원을 편성하였고 임산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1억 7670만원, 지역특화 의료기술 및 유치기반 강화에 2억 9500만원, 생물테러 초등대응요원 교육훈련을 위해서 2424만원을 신규편성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215쪽에 건강증진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1억 4233만 4000원이 증액된 459억 7692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지원사업은 11명 인력 충원에 따라서 당초 예산 대비 2억 8875만원이 증액된 30억 8985만원을 편성하였고 치매안심센터 운영 지원사업은 기준인력이 262명에서 253명으로 조정됨에 따라 기정액 대비 6억 9187만 5000원을 감액한 98억 7637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18쪽에 위생안전과 소관 사항이 되겠습니다.
기정예산액보다 74만원이 감액된 45억 9642만 5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유류비 기준단가 조정으로 인해서 공공운영비 74만원을 감액하였다는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다음은 443쪽에 의료기금 특별회계 추경예산안으로 세입ㆍ세출 연관해서 보고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비내시 증가분과 지방비 매칭을 위한 일반회계 전입금 그리고 2018년도 결산 순세계잉여금을 세입예산에 계상해서 의료급여 관리사 인건비 3611만원, 예비비 4억 3465만원을 세출예산에 증액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19년도 보건복지국 소관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금번 추경예산안은 2019년도 정부추경예산 확정 이후 보건복지부로부터 증액 또는 감액된 내시 변경사항 위주로 복지사업 확대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는 보고를 드리면서 아무쪼록 2019년도 저희 보건복지국 소관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원안대로 승인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리면서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