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국장 김인수입니다.
평소 환경 분야 발전을 위하여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산업경제위원회 정해권 위원장님과 산업경제위원회 위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보고에 앞서 환경국 간부공무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백민숙 환경기후정책과장입니다.
이순구 매립지정책과장입니다.
김달호 자원순환과장입니다.
이용수 환경안전과장입니다.
정낙식 대기보전과장입니다.
서용성 수질하천과장입니다.
지민구 하수과장입니다.
(간부 인사)
이상 간부소개를 마치고 지금부터 환경국 소관 2022년도 일반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안에 대하여 사항별설명서를 중심으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아울러 2023년 2월 6일 조직개편으로 자원순환정책과와 자원순환시설과는 자원순환과로, 생활환경과는 환경안전과로, 수질환경과는 수질하천과로 변경되었음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결산 사항별설명서는 202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므로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먼저 보고서 7쪽 일반회계 세입결산안 총괄표입니다.
2022년 환경국 일반회계의 세입예산 현액은 총 968억 7992만원이며 징수결정액은 1023억 1071만원이고 실제수납액은 1003억 8220만원으로 미수납액은 19억 2851만원입니다.
세부적으로 세외수입은 567억 3055만원을 징수결정하여 548억 204만원을 수납하고 19억 2851만원이 미수납되었으며 보조금은 377억 2586만원을 징수결정하여 수납되었습니다.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는 국고보조금 집행잔액 78억 5429만원이 세입처리된 사항입니다.
다음은 보고서 11쪽부터 30쪽까지 부서별 세입결산안 미수납액 처리사항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11쪽부터 14쪽 환경기후정책과, 매립지정책과는 징수결정액이 전액 납부되어 미수납액이 없습니다.
15쪽부터 19쪽 자원순환과의 미수납액 2464만원은 2022년 12월 부과로 2022년 결산상 납기 미도래로 미수납된 내역이며 금년 1월 현재는 전액 납부 완료되었습니다.
20쪽부터 21쪽 환경안전과는 징수결정액이 전액 납부되어 미수납액이 없습니다.
22쪽부터 26쪽 대기보전과의 미수납액 19억 310만원은 미세먼지법 위반, 대기관리권역법 위반, 과태료 등으로 금년 내에 징수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7쪽부터 29쪽 수질환경과의 미수납액 75만원은 하천 점사용료 미수납 등으로 금년 내에 징수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30쪽 하수과는 징수결정액이 전액 납부되어 미수납액은 없습니다.
다음 보고서 33쪽 일반회계 세출결산안 총괄표입니다.
2022년 환경국 일반회계의 세출예산 현액은 총 2402억 8150만원이며 지출액은 2116억 1326만원이고 다음연도로 208억 8427만원을 이월하였으며 보조금 반납액 16억 6133만원을 제외한 총 61억 2262만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 보조금 정산잔액 15억 3779만원, 계획 변경 등 집행사유 미발생으로 3428만원, 낙찰차액으로 9943만원, 지출잔액 44억 5111만원으로 보조금 정산잔액을 제외한 대부분 지출잔액이 되겠습니다.
보고서 37쪽부터 125쪽까지 부서별 세출결산안 설명서입니다.
먼저 37쪽 환경기후정책과의 세출예산 현액은 총 255억 8275만원으로 228억 689만원을 지출하였고 21억 3473만원을 이월하였으며 집행잔액 6억 4111만원이 발생되었습니다.
37쪽 녹색기후산업 육성 및 GCF 사무국 지원 등에 62억 2149만원을 집행하였고 42쪽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시행 및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 등에 31억 7874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52쪽 2022년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과 자연환경 인프라 구축사업에 41억 9697만원을 집행하고 GCF 사무국 추가 사무공간 조성과 GCF 콤플렉스 조성 타당성조사 용역 등은 협의 지연과 준공시기 미도래로 20억 4969만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다음 61쪽 매립지정책과의 세출예산 현액은 총 3억 6305만원으로 매립지정책 추진 등으로 2억 5039만원을 집행하였으며 가칭 인천에코랜드 주변지역 발전계획 기본구상 용역비는 준공기한이 미도래하여 6482만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하였고 집행잔액 4783만원이 발생하였습니다.
다음 63쪽 자원순환정책과는 세출예산 현액 총 134억 5640만원으로 131억 2781만원을 지출하고 8135만원을 이월하였으며 집행잔액 2억 587만원이 발생되었습니다.
63쪽 폐기물 감량 및 직매립 제로화 사업 49억 4973만원, 67쪽 재활용 활성화 추진사업 35억 5785만원을 집행하였고 70쪽 남부권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에 30억 46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제2차 자원순환시행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제2차 자원순환시행계획 수립용역비는 준공기한이 미도래하여 8135만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다음 73쪽 자원순환시설과는 세출예산 현액 총 529억 5957만원이며 518억 6495만원을 지출하였고 집행잔액 10억 9462만원이 발생되었습니다.
13쪽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운영사업인 도서지역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및 송도ㆍ청라폐기물처리시설 운영사업에 518억 2597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다음 78쪽 환경안전과의 세출예산 현액은 총 40억 7948만원으로 30억 8852만원을 지출하고 9억 4190만원을 이월하였으며 집행잔액 4456만원이 발생되었습니다.
78쪽 인천희망의숲 조성사업과 81쪽 탄소포인트제도 운영 등에 10억 7401만원을 집행하였으며 82쪽 석면피해 구제사업과 슬레이트 처리지원, 권역형 환경보건센터 운영 등에 13억 6634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IoT 기반 스마트 소음관리시스템 구축과 인천환경보건계획 용역은 준공시기 미도래에 따라 9억 4190만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다음 85쪽 대기보전과의 세출예산 현액은 705억 3763만원으로 600억 6325만원을 지출하였고 72억 2662만원을 이월하였으며 집행잔액 16억 3228만원이 발생되었습니다.
86쪽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지원, 소규모 영세사업장 방지시설 지원사업 등 기업환경시설 개선사업에 241억 1709만원을 집행하였으며 89쪽 미세먼지 저감사업 등에 38억 8082만원을 집행하고 93쪽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사업에 169억 8675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준공시기 미도래로 소규모 영세사업장 방지시설 지원사업 50억 8714만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으며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사업 17억 9982만원과 악취환경 개선사업 3억 2000만원은 행정절차 수행 등에 따라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다음 102쪽 수질환경과의 세출예산 현액은 568억 2317만원으로 451억 6810만원을 지출하고 104억 3483만원을 이월하였으며 집행잔액 12억 2022만원이 발생되었습니다.
102쪽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등 하천 정비사업 204억 1992만원, 107쪽 환경기초시설 확충사업에 22억 70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지방하천 정비사업 등은 준공시기 미도래에 따라 97억 5820만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다음 114쪽 하수과의 세출예산 현액은 총 164억 7942만원으로 152억 4332만원을 지출하고 집행잔액 12억 3609만원이 발생되었습니다.
인천1호선 주변 노후하수관로 개선사업 및 송산하수처리시설 악취 개선사업에 9억 7419만원을 집행하였으며 가좌분뇨통합처리시설 위탁운영비 105억 5994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일반회계 세출결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보고서 127쪽입니다.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입니다.
135쪽 세입결산은 공공예금 이자수입 12억 1735만원, 폐기물 반입수수료 50% 가산징수금 569억 8711만원, 순세계잉여금 555억 835만원과 자원회수시설 설치를 위한 타당성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등 전년도 이월사업비 804억 3256만원 등 총 1987억 36만원을 징수결정 및 수납하였습니다.
145쪽 세출결산입니다.
도시철도1호선 검단 연장, 수도권매립지 주변도로먼지 제거사업, 공촌하수처리시설 악취 개선사업 등으로 259억 9814만원을 집행하였으며 수도권매립지캠핑장 개보수사업, 검단일반산업단지 완충조류시설 설치사업 등 56억 240만원을 다음연도로 이월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집행잔액은 낙찰차액 및 예비비 110억 6037만원을 포함한 총 116억 5927만원이 발생되었습니다.
다음은 161쪽 수질개선특별회계입니다.
165쪽 세입은 한강수계관리기금 국고보조금 수입과 공공예금 이자수입 등 85억 9081만원을 수납하였습니다.
173쪽 세출예산 현액은 85억 9531만원으로 오염 총량 관리사업, 민간단체 수질보전활동 지원사업, 상하류 협력지원사업 등에 79억 9648만원을 집행하고 한강하구 생태환경센터 구축ㆍ운영 용역 등 준공시기 미도래에 따른 이월금 1억 1011만원과 상하류 협력지원사업 등 보조금 반납액 1억 967만원을 제외한 예비비 등 총 3억 7903만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다음 보고서 183쪽 공공폐수처리시설특별회계입니다.
191쪽 세입은 검단공공폐수처리시설 시설재투자적립금과 과년도 운영관리비 체납액 등 총 21억 2358만원을 수납하였고 미수납액 2802만원은 금년에 징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99쪽 세출예산은 21억 4359만원으로 검단 및 강화공공폐수처리시설에 대한 노후시설 보수 등에 2억 9370만원을 집행하였으며 통합관리기금에 11억원을 예탁하고 예비비 7억 2161만원을 포함한 총 7억 4964만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하였습니다.
203쪽 악취관리기금에 대한 수입ㆍ지출 결산안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05쪽 수입은 총 96억 9135만원으로 공공예금 및 예탁금 이자수입 9억 9395만원, 융자금 원금상환 3810만원, 예치금 회수 86억 5929만원입니다.
208쪽 지출은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에 3260만원을 집행하였으며 민간융자금으로 1억 6392만원을 집행하였고 94억 8920만원의 잔액을 여유자금으로 예치하였습니다.
분뇨처리시설주변지역지원기금에 대한 수입ㆍ지출 결산안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06쪽 수입은 총 29억 167만원으로 분뇨처리시설 처리수수료 수입 8억 4070만원, 공공예금 이자수입 9967만원, 일반회계 전입금 20억 5100만원입니다.
210쪽 지출은 여유자금으로 14억 647만원의 잔액을 예치하였으며 분뇨처리시설 주변 환경개선 주민편익사업에 14억 9500만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일반회계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ㆍ세출 결산안과 기금 결산안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을 드렸습니다.
앞으로 사업 추진 시 면밀한 사업계획 검토를 통해 불용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환경국 소관 2022회계연도 결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